• 제목/요약/키워드: L-flat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44초

용유동 지형경관에 대한 스토리텔링 내용 구성 (Making Storytelling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Yongyu-dong)

  • 기근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33-145
    • /
    • 2013
  • 소백산지의 문경-상주 일대에는 한국 고유의 전통명승인 동천구곡이 다수 분포하는데, 그 중에서도 용유동은 지형경관이 수려하고,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으며, 과거의 기록이 풍부한 편이어서 흥미로운 스토리텔링 구성에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용유동의 동천석, 회란석, 용추 등의 지형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설명과 선인들이 남긴 시문이나 유람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용유동 스토리텔링 내용 요소로는 지형경관 특성, 동천석의 각자, 회란석의 너럭바위 홈통모양 돌개구멍, 그리고 용추의 형성과정에 대한 논쟁들이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선인들이 향유했던 전통명승을 현대 한국인들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초고압 압력센서용 다이어프램 설계 및 PZT 구동 변형시험기를 이용한 성능평가 (Design of Diaphragm for Ultra High Pressure Sensors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a PZT Actuated Deformation Tester)

  • 윤대중;안중환
    • 센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3
    • /
    • 2019
  • This research aims at designing a diaphragm made of SUS316L stainless steel for ultra high pressure sensors and evaluating its performance with a PZT driven deformation tester instead of high pressure chamber testing up to 100 MPa.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indicates that the optimum thickness of a flat diaphragm is 1.5 mm not only to secure safety of sensors up to 100 MPa but also to enhance displacement measuring sensitivity. For this thickness, the maximum displacement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is $5.3{\mu}m$. The PZT actuator must offer a force of 1,669 N to create a pressure of 100 MPa at the diaphragm surface in order to obtain a displacement of $5.3{\mu}m$. The performance evaluation by the PZT driven tester demonstrates nearly the same results as the same results as the sensors tested in the ultra high pressure chamber.

Effect of Electrolysis Parameters on the Fractal Structure of Electrodeposited Copper

  • Na Wu;Chunxia Zhang;Shanyu Han;Juan An;Wentang Xia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194-204
    • /
    • 2023
  • Models based on diffusion-limited aggregation (DLA) have been extensively used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dendritic particle aggregation phenomena.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ystems in which DLA aggregates emerge are given in their fractal.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growth of electrodeposited copper dendrites in flat plate electrochemical cells from a fractal perspective. The effects of growth time, applied voltage, copper ion concentration, and electrolyte acidity on the morphology and fractal dimension of deposited copper were examined. 'Phase diagram' set out the variety of electrodeposited copper fractal morphology analysed by metallographic microscopy. The box counting method confirms that the electrodeposited dendritic structures manifestly exhibit fractal character. It was found that with the increase of the voltage and copper ion concentration. The fractal copper size becomes larger and its morphology shifts towards a dendritic structure, with the fractal dimension fluctuating around 1.60-1.70.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the deposited copper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cidity of the electrolyte. The increase in acidity from 0.01 to 1.00 mol/L intensifies the hydrogen precipitation side reactions and the overflow path of hydrogen bubbles affects the fractal growth of copper dendrites.

Model-independent Constraints on Type Ia Supernova Light-curve Hyperparameters and Reconstructions of the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 Koo, Hanwool;Shafieloo, Arman;Keeley, Ryan E.;L'Huillier, Benjamin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48.4-49
    • /
    • 2020
  • We reconstruct the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using type Ia supernovae (SN Ia) in a manner independent of any cosmological model assumptions. To do so, we implement a nonparametric iterative smoothing method on the Joint Light-curve Analysis (JLA) data while exploring the SN Ia light-curve hyperparameter space by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sampling. We test to see how the posteriors of these hyperparameters depend on cosmology, whether using different dark energy models or reconstructions shift these posteriors. Our constraints on the SN Ia light-curve hyperparameters from our model-independent analysis are very consistent with the constraints from using different parameterizations of the equation of state of dark energy, namely the flat ΛCDM cosmology, the Chevallier-Polarski-Linder model, and the Phenomenologically Emergent Dark Energy (PEDE) model. This implies that the distance moduli constructed from the JLA data are mostly independent of the cosmological models. We also studied that the possibility the light-curve parameters evolve with redshift and our results show consistency with no evolution. The reconstructed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and dark energy properties also seem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ctations of the standard ΛCDM model. However,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data still allow for considerable flexibility in the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This work is published in ApJ.

  • PDF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급여가 비육돈의 생산성,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d Flat Bacteria Origin Prote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mino Acid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Fecal VFA and NH3-N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s)

  • 김해진;민병준;조진호;진영걸;유종상;김인호;장정순;이운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및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NH3-N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0.08±2.69kg이었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내 영양소 함량과 효소제의 첨가 유뮤에 따라 high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high nutrient density diet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high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 low nutrient density diet 처리구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low nutrient density diet+0.1% protease)로 4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DM과 N의 소화율은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 및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은 저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고 영양소 사료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BUN 함량은 고 영양소 사료에 단백질 분해효소제를 첨가한 처리구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이 고 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갯벌 미생물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률을 향상시켰고 아미노산 소화율 개선하였으며, BUN 함량과 육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성장률, 아미노산 소화율, 혈액성상, 육질 특성, 휘발성 지방산, NH3-N)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의 성장과 생산 (경기 남양만 화성조간대) (Growth and Production of 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 from the Hwaseong Tidal Flat in the Namyang Bay, Korea)

  • 고철환;양미라;장원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21-30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 조간대의 주요 수산자원인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의 서식밀도, 성장 및 생산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가리맛조개를 포함하는 맛류(razor clam 또는 jack knife clam)의 어획량은 연간 약 6,000여톤으로, 이들은 굴, 바지락, 동죽 다음으로 많이 어획된다.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약 1개월의 간격으로 총 14회에 걸쳐 맛류 생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리맛조개를 경기도 화성 조간대에서 채집하였다. 가리맛조개의 서식밀도는 1 $m^2$당 92~165개체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고연령군일수록 서식밀도가 낮았으나, 예외적으로 1991년에 가입한 연령군의 서식밀도는 1990년 연령군 보다 낮았다. 패각의 최장길이는 가을과 겨울사이에 두개의 크기군으로 나누어졌으나, 2월 이후에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으로 하나로 합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은 성장곡선에 의해서도 잘 나타났다. 전 생애동안 패각의 길이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식, $L_t=89.3{\times}[1-{\exp}\{-0.58{\times}(t+0.73)\}]$으로, 육질부의 건중량은 Gompertz 성장식, $W_t=5.00{\times}{\exp}\{-4.31{\times}{\exp}(-0.043{\times}t)\}$으로 적합되었다. 특히 육질부의 무게는 산란기인 8월에 전체 몸무게의 30% 정도가 감소하였다.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1년동안 가리맛조개의 육질부 총생산량은 약 150g $DW{\cdot}m^{-2}{\cdot}yr^{-1}$로 추정되었다. 각 연령군별로 보면, 1992년생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87.5 g $DW{\cdot}m^{-2}{\cdot}yr^{-1}$ 1991년생은 53.4 g $DW{\cdot}m^{-2}{\cdot}yr^{-1}$, 1990년생은 59.0g $DW{\cdot}m^{-2}{\cdot}yr^{-1}$ 1989년생은 -30.0 g $DW{\cdot}m^{-2}{\cdot}yr^{-1}$이었다.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다른 이매패류에 비해 약 2~5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소 미세전극을 이용한 강화군과 인천 북항 조간대 갯벌의 순광합성률 측정 (Measurement of Net Photosynthetic Rates in Intertidal flats of Ganghwa-gun and Incheon North Harbor using Oxygen Microsensors)

  • 황청연;조병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31-37
    • /
    • 2005
  • 갯벌에서 순 광합성률의 시기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강화군의 서남단과 남단에 각각 위치한 장화리와 동막리의 조간대 갯벌과,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천 북항 조간대 갯벌을 대상으로 2003년 12월부터 2004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산소 미세전극을 이용하여 퇴적물 내 산소 농도의 수직 분포를 측정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장화리와 동막리 갯벌에서 산소의 퇴적물 투과 깊이는 12월에 가장 컸으며(평균 $4.0{\sim}4.1\;mm)$),이후 조사에서는 각각 평균 $2.2{\sim}2.8\;mm$$1.6{\sim}l.8\;mm$의 값으로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인천 북항 갯벌의 산소 투과 깊이는 시기에 관계없이 $0.8{\pm}0.3\;mm$(평균${\pm}ISD$)의 작은 값을 나타냈다. 순 광합성률은 동막리 갯벌에서 3월에 최대값$(11.1{\pm}2.8\;mmol\;O_2\;m^{-2}\;h^{-1})$을 보였으며 장화리와 인천 북항 갯벌에서는 5월에 각각 $6.1{\pm}4.1\;mmol\;O_2\;m^{-2}\;h^{-1}$$6.4{\pm}1.4\;mmol\;O_2\;m^{-2}\;h^{-1}$의 최대값을 보였다. 순 광합성률이 최대값을 보인 시기에, 퇴적물 내 공극수의 용존 산소 농도의 최대값은 깊이 $0.1{\sim}0.5\;mm$구간에서 관찰되었으며, 대기로 포화된 표층 해수의 용존 산소 농도에 비해 평균적으로 $1.8{\sim}3.2$배 높았다. 6월 조사 당일에 현장의 광량(400 ${\mu}Einst\;m^{-2}\;s^{-1}$)이 다른 조사 시기에 비해 낮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세 지역의 순 광합성률은 크게 감소하여 $0.2\;mmol\;O_2\;m^{-2}\;h^{-1}$이하의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순 광합성률의 시기적인 변화 양상은 연구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대개 봄철에 표층 0.5mm이내에 분포하는 저서 일차 생산자에 의해 광합성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소 미세전극을 이용한 갯벌의 광합성 연구에 대한 국내에서의 첫 보고이며, 이 기술은 갯벌의 일차 생산력이나 표층 퇴적물의 산소 소모율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대합 Meretrix lusoria의 인공수정 및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ERETRIX LUSORIA)

  • 최신석;송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
    • /
    • 1974
  • 1973년 6월 20일부터 동년 8월 25일까지 사이에 Meretrix lusoria의 성숙난에 $NH_4OH$ 해수용액을 규정농도별로 처리한 후의 인공수정율, 초기발생과정 및 유생의 변태과정을 조사하였다. 1. M. lusoria의 $NH_4OH$ 해수용액 처리에 의한 규정농도별 수정률은 1/1000 N의 $NH_4OH$ 해수용액 처리로 가장 높은 인공수정률을 얻었고, 이렇게 처리된 후 인공수정된 난의 발생과정도 정상적임을 확인하였다. 2. M. lusoria의 초기발생과정에서는 수정후 1시간 35분이 지나면 2할기, 4시간 40분에 포배기, 6시간 15분에 Trochophore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3. M. lusoria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수정후 10이 지나면 원각의 평균각장이 $112\mu$인 초기 D형에, 7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172\mu$인 각정기에, 20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32\mu$인 초기저서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4. M. luroria의 유생을 실험실내 수조 속에서 사육하며 각장 $272\mu$인 치패을 얻을 수 있었다. 5. M. luroria의 초기 D형기로 부터 변태기까지의 각장(L)과 각고(H)와의 관계는 H=1.02325L-24.46425(상관계수 r=0.99050)의 식으로 표시되었다.

  • PDF

Fe/Au 이중층의 응집현상을 이용한 FePd 나노 점 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of FePd Nano-dot Using Agglomeration of Fe/Au Bilayer)

  • 구정우;김재민;류동훈;최범진;김동우;이두헌;김은일;미타니 세이지;가미코 마사오;하재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1
  • 자기조립화된 Fe/Au 이중층 위에 $L1_0$형 구조를 갖는 FePd 나노 점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AFM를 이용하여 초기에 편평한 Fe/Au 이중층 박막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응집되어 나노 점 구조로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성된 이중층위에 FePd 다층막을 $300^{\circ}C$, $350^{\circ}C$, $400^{\circ}C$, $450^{\circ}C$에서 각각 증착하였다. 초격자 구조를 갖는 FePd 다층막의 표면형상은 응집현상에 의하여 자기조립화된 이중층의 형상과 유사하였다. XRD 측정결과, $350^{\circ}C$ 이상에서 열처리된 FePd 다층막은 $L1_0$형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박막두께에 따른 XPS 측정결과는 전체 박막의 화학적 조성이 증착순서와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식각공정 없이 화학적으로 규칙화된 FePd 초격자 나노 점의 제작에 성공하였다.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Groundwater Quality from a Pasture and Field)

  • 최중대;최예환;김기성
    • 물과 미래
    • /
    • 제28권3호
    • /
    • pp.175-186
    • /
    • 1995
  • 강원도의 대표적인 토지이용 방법인 방목지와 초지의 유출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강원대학교 농장과 목장에 시험유역을 설치하고 Flume과 지하수 관측정을 이용하여 1993년 8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수질을 관측하였다. 수질관측 항목은 NO3-N, TP 및 TKN 이었다. 조립질 토양인 방목지의 유출은 대부분 지하수를 통하여 배출되었으며 호우시만 지표면 유출이 발생하였고 유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출수의 $NO_3$-NO 농도는 0.241~3.962mg/l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평시 유출수의 TP와 TKN 농도는 안정되어 있었으나 호우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관측정의 깊이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TP와 TKN 농도는 깊은 관측정에서 농도가 작았다. 평지에 조성되고 Sudan Grass로 잘 피복된 초지유출수의 수질은 유출량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였다. 초지 지하수의 $NO_3$-N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흐를수록 2.2mg/l 정도 증가하였다. 상류부와 하류부의 TP와 TKN 농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