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wangyang Ba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1초

光陽灣의 多毛類群集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62
    • /
    • 1984
  • 본 연구의 목적은 潮下帶 軟性低質에 서식하는 多毛類 群集을 중심으로 이들의 종조성, 종다양성, 별 분포의 특징 및 食餌型 등과 환경과의 관계를 논의 코져 함이다. 대상자는 光陽灣으로 만내의 25개 조사기점을 선정, 1982년 7월에 조사가 실시되었다. 출현 다모류는 총 63속 70종으로 개체수의 견지에서 중요 출현종은 Lagis bocki (20%), Lumbrineris longifolia (10%), Chohe teres (7%), Sternaspis scutata (5%) 등이다. 최적물상에 따른 多毛類의 출현개체수는 泥沙質 에서 가장 높으며 泥質퇴적상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食餌형에 따른 출현개체수로는 表層下堆積物食者가 광양만 전체에 걸쳐 우세하게 나타나고 (58.4%), 表層堆積物食者(21.4%), 肉食者(11.1%), 濾過食者(9.1%) 순으로 그 출현 빈도가 감소한다. 光陽灣의 다모류군집은 현존량, 우점종, 종다양성 및 食餌型조성 등의 결과에 의해 沙質환경의 델타군집, 泥質환경의 內灣군집 및 泥沙質환경인 水路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대별된다. 各 多毛類 群集에 影響을 주는 환경요인을 보면 델타지역의 다모류 群集은 沙質퇴적상과 강한 潮流에 의한 堆積物의 不安定性, 낮은 有機物 含量에 의한 먹이부족 등이며, 內灣지역의 다모류군집은 퇴적물내 溶存酸素의 부족에 의해, 水路 지역의 다모류군집은 외부로부터의 먹이공급,저질의 다양한 미도조성,종간경쟁,포식,간철다모류에 의한 퇴적물의 안전성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특히 이.화학적 환경조건이 유사한 곳에서는 생물학적인 상호작용이 다모류 군집구조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서 잘피와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잘피 및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을 연구하였다. 잘피의 잎 길이는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00cm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봄철에 접어들면서 잎 길이가 계속 증가하여 여름철인 6월과 7월에는 조사기간 중 최고치인 200cm에 달하였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잘피의 현존량은 가을과 겨울에 낮았으나, 봄부터 현존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20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잎 길이의 계절변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생해조류는 봄과 여름철에 Calliophyllis rhynchocarpa, Champia sp. 등이, 가을과 겨울철에 Polysiphonia japonica, Lomentaria hakodatensis 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우점하였다.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3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수온이 증가하는 3월부터 현존량이 감소하여 여름철에는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9월부터는 현존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착생해 조류의 현존량은 잘피밭 식물 현존량의 $15\~20\%$를 차지하고 있었다. 잘피의 현존량과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피의 현존량은 수온과정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광양만권의 유동장 및 농도예측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Field and Pollutants Concentration in Kwangyang Bay)

  • 이상득;산구극인;근등명;대전굉화;김선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54
    • /
    • 2000
  • 광양만권은 전남 동부의 연안부에 위치하며, 중화학공업, 제철산업 및 대규모적인 물류센터가 건설되고있다. 이 지역의 해안선은 복잡하며, 지형의 기복도 심하다. 때문에, 대기오염물짙이 지형에 따른 확산범위 및 변화량을 사전에 평가하는 것이 이 지역의 대기환경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양만권을 대상으로 지형의 유무에 따른 기상장의 예측 및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중략)

  • PDF

광양만 서북부 해역의 부유물질의 분포와 입도에 관한연구 (Distribution and Particle Size of Total Suspended Materials in the northwestern Kwangyang Bay Korea)

  • 박용안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56
    • /
    • 1997
  • 한국남해에 위치한 광양만의 서북부 내만 해역에서 표층수와 저층수의 부유물질 (TSM)의 총함량과 분포의 계절적 변화양상 그리고 부유입자의 조지극성(입자의 크기)이 연 구되었다,. 연구기간중 부유물질 함량분포는 계절별로 매우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특히 여 름철 저층수의 부유물질 함량이 만조선 해역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계절별 부유물질 함량분포의 변화 원인은 얕은 수심, 해저의 표층 퇴적상 그리고 조류의 동력적 조건(최고속 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arine Environmental Change Due to Waterfront Development

  • Lee, Moon-Ock;Lee, Sam-No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1호
    • /
    • pp.33-39
    • /
    • 1999
  • A two-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 and fiel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sea water movement and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related to comprehensive projects of waterfront development around Kwangyang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Tidal flow velocities, especially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y, were considerably slower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projects. Accordingly, the seawater exchange ratio reduced from 38.7% to 26.3%. The impact of dredging work on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was much stronger than expected. Furthermor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dustrial parks and container-exclusive wharfs, COD from the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ill be dispersed extensively into the adjacent water at a level of less than 0.1 mg/l for up to 142.5 $\textrm{km}^2$. Therefore, consist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광양만에서 분리된 새로운 호염성 Azotobacter insignis 약주에 관하여 (A new Salt requiring Strain of Azotobacter insignis isolated from Kwangyang Bay)

  • 홍순우;하영칠;진숙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65-172
    • /
    • 1975
  • A strain of Azotobacter species was isolated from the surface sea water of Kwang-yang Bay in Korea and was identified as Azotobacter insignis. In order to reveal the natural habitat of this microorganism, growth at various salt concentrations was tested with the result of 3% NaCl beins optimum. Only slight growth was detected in the absence of NaCl. This result was thought to prove (in part) that the natural habitat of the strain dealt with is sea water. Fairly good growth was obtained at 6% NaCl concentration. The study of effects of salt on the growth og this strain to various temperatures and pHs has shown that temperature $30{\circ}C and pH 7.0 are Optimum.

  • PDF

한국 연안에 분포하는 Acartia속 요각류의 분류학적인 재검토 (Taxonomical Revision on the Genus Acartia(Copepoda: Calanoida) in the Korean Waters)

  • 유광일;허회권;이원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5-265
    • /
    • 1991
  • Acartia속의 요각류는 전세계적으로 지금까지 약 50종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의 종들이 연안성이며 내만해역에서 생물량의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분류군이다. 시료는 1981년 9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한국근해의 10개지점(가로림만, 득량만, 진해만, 경기만, 광양만, 고리, 월성, 제주, 영광, 울진) 및 1986년 4월부터 1987년 9월까지 마산만일 대의 6개 정점에서 채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Acartia속의 요각류는 다음의 10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A. bifilosa, A. danae, A. erythraea, A. hudsonica, A. negligens, A. omorii, A. pacifica, A. sinjiensis, A. spinicauda 및 A. steueri. 본 연구에서는 Acartia속에 대한 종의 검색표를 작성하고 한국미기록종인 A. sinjiensis의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Shrimp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32-542
    • /
    • 1997
  • 광양만의 잘피밭에 서식하는 새우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새우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는 6과 26종이었다. 우점종은 Heptacarpus pandaloides, Crangon affinis, Eualus leptognathus, Latreutes acicularis, Heptacarpus rectirostris, Heptacarpus geniculatus, Latreutes laminirostris로 나타났다. 잘피밭에서 출현한 새우류의 대부분이 갑각장이 25mm 이하의 작은 크기였다. 출현량의 계절 변동을 살펴보면, 늦겨울과 봄에 많은 개체수와 높은 생체량을 보인 반면, 가을에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종다양도 지수는 8월$\~$10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11월과 12월에 낮은 값을 보였다. 잘피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 계절종 및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간 채집과 야간 채집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더욱 다양하고 많은 새우류가 출현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79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날개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이매패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날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날개망둑은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요각류를 비교적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를 먹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게류를 먹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 걸쳐 가장 선호된 먹이생물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였으나, 봄과 가을에는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으며, 여름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Sebastes inerm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ebastes inermi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5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볼낙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볼낙은 거의 대부분이 $1\~9\;cm$의 체장 범위였다. 볼낙은 잘피밭에서 주로 단각류(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와 요각류를 먹었으며, 그 외 새우류, 게류, 복족류, 어류 등을 소량씩 먹었다. 볼낙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다 크게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었는데, 작은 크기 (2cm SL 이하)에서는 요각류를 가장 많이 먹었다.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낮아진 반면, 단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중간 크기 ($2\~9\;cm\;SL$)에서는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그러다가 일정 크기 (10 cm SL) 이상이 되면 잘피밭을 떠나 인근 바위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단각류 대신 새우류나 어류로 먹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를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먹었으며, $2\~3\;cm$ 소형 볼낙이 많이 유입된 봄에는 요각류를 비교적 많이 먹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