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yos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고려사에 기록된 황사와 황무 현상 (The Yellow-Sand Phenomenon and Yellow Fog Recorded in the "Koryosa")

  • 전영신;오성남;권완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2000
  •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475년간의 황사 기록이 조사되었다.고려사에는 황사현상이 토우,황토우,매라는 표현으로 기록되었으며, 하늘에서 먼지가 떨어지는 것으로 '옷을 적시지 않고 흙이 있음 매 또는 토우라 부른다'라고 설명되어 있다.서운관의 관측규정(서운관지 권지일)에 토우는 '모시모경에 사방이 어둡고 혼몽하고 티끌이 내리는 것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현대에 관측되는 황사현상과 같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의 황사 관측기록은 총 50건으로 먼지현상만으로 기록된 것이 40권, 큰 바람과 연관된 기록이 5건, 황사가 비 또는 눈과 섞여 내린 사례가 3건, 안개 또는 우박과 연관된 황사가 각 1건씩 있었다. 이는 조선시대의 황사기록 57건(전영신,2000)에 비견할 만큼 많은 기록이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황사현상과 황무현상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어 황무현상의 기록도 함께 분석하였다. 황사현상은 거의 봄철에 많이 관측되었으며, 드물게는 겨울과 가을에 나타난 기록도 있었다. 한편 황사현상에 대한 해석은'임금과 신하의 도가 합하면 확연히 태평하여질 것인다 매가 어찌 있겠느냐'고 하여 황사현상이 출현한 것을 일종의 재앙으로 간주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 PDF

고려시대(高麗時代) 주류문화(酒類文化)와 금.은(金.銀) 주기(酒器) (Alcoholic Beverages and Gold and Silver Wares used for Alcoholic Beverages during Koryo Dynasty)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1
  • Rice alcoholic beverages, cheongju and beopju, which are recorded in "Koryodokyung", "Koryosageolyo", and "Koryosa", were used in national and royal ceremonies, and yakju was used in the Palgwanhoi ritual. In the late $11^{th}$century, King Munjong imported hwaju and haenginjabeopju from the royal family of the Song Dynasty. Alcoholic beverages in the early $12^{th}$century included the medical use for kings, such as gyehyangeoju, which the Emperor of the Song Dynasty sent to King Yejong, baekjainju, which was sent to King Myeongjong for his health, and yangju, which is goat milk fermented alcohol from the nomads in the northern regions. In the early$13^{th}$ century there was also dongrak, which is a horse-milk fermented alcohol, grape wine sent from Yuan to King Chungryeol in the late $13^{th}$ century, and sangjonju, a type of special cheongju sent from Yuan in the early $14^{th}$ century. Baekju from Yuan was recorded in oral traditions, which suggests that soju, which is distilled cheongju, was consumed in the late $14^{th}$ century. Gold and silver wares for alcoholic beverages had importa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meanings as national gifts to other countries and internally as the king's royal gift to his subjects. In the late $14^{th}$ century, soju was prohibited, and the use of gold and silver wares for alcoholic beverages was bann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raditional rice alcoholic beverages, the emotional preference for foreign alcoholic beverages, and the gold and silver wares used for alcoholic beverages Koryo Dynasty.

천 년 전의 별똥비 (Meteors and showers, a millennium ago)

  • 안상현;배현진;조혜전;정성욱
    • 천문학회보
    • /
    • 제27권1호
    • /
    • pp.36-36
    • /
    • 2002
  • 별똥에는 가랑 별똥(sporadic meteors)과 별똥비 (meteor shower)에 속하는 별똥이 있다. 우리는 고려사 천문지에 적혀 있는 별똥 기록을 조사하여 10세기에서 15세기까지 지구 공전 궤도 상의 별똥 알갱이의 분포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우리는 일년중 특정한 날짜에 별똥이 많이 떨어지는 시기가 몇 개 있음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별똥들이 별똥비에 해당할 것으로 가정하고 한국, 일본, 중국의 천문 기록 가운데 별똥 소나기 기록을 끄집어 내어 고려사의 별똥 기록에서 구한 별똥비 기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7월 27일 경에 강한 별똥비가 있었고, 몇 년 주기로 별똥 소나기가 떨어졌음을 알아 냈다. 우리는 고려 시대의 별똥 기록을 두개로 나누어 별똥비의 세기가 어떤 진화를 하는지는 연구하였다. 7월 27일에 나타난 별똥비는 그 세기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려시대 일반복식의 명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rms of the Costume in the Koryo Dynasty)

  • 김문숙;이순원
    • 복식
    • /
    • 제51권2호
    • /
    • pp.65-78
    • /
    • 2001
  • The costume history of Koryo Dynasty is well-known as having many undiscovered area. This is because there are only few records in that times. Futhermore the previous studies only quote the records such like "Koryosa" and "Koryodokyung", and their investigations are restricted. This paper quotes all kinds of literature which can show the costume of Koryo Dynasty. First it collects all the terms of the costume in the literature and classified them by those properties. Also,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in the Koryo Dynasty by reanalying the terms. This study is restricted on the costume of everyday wear.

  • PDF

사경은(寫經院)과 염승익(廉丞益) 발원(發願)의 사경(寫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본 1부 (A Study on the set the seven roalls of the Saddarma Pundarika Sutra Prayed by Yeom Seong-Ik and Script Center)

  • 권희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1
    • /
    • 2003
  • 사경은 남계원(南溪院) 석탑의 출토품으로 1915년 남계원석탑(南溪院石塔)을 개성시(開城市)의 덕암동(德岩洞)의 원 위치로부터 경복궁으로 옮길 때 발견된 감지은니사경(紺紙銀泥寫經)의 염승익발원(廉丞益發願)의 사경(寫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본 1부는 권자본(卷子本)으로 세로 31.1cm이며, 표지화와 변상화(變相畵)가 안팍을 이루고 있는데 폭은 27.2cm이다. 이 사경은 또한 1행 14자로 쓰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표지화 변상화의 양식과 더불어 고려국왕별원 금 은자사경의 양식과 같다. 이 사경을 발원한 인물은 충렬왕대의 권신이던 염승익이다. 염승익은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의하면, 기인을 동원하여 지은 자신의 집을 대장경사경소(大藏經寫經所)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로 내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므로 이 사경은 염승익이 자신과 그 일가권속의 복락을 빌기 위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부 1부를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에서 제작하고, 충렬왕(忠烈王) 9년 남계원석탑(南溪院石塔)을 수리할 때 탑에 함께 봉안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경의 가장 중요한 점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기록처럼 금자대장소로 내놓았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금자대장소란 장소적 의미가 강조된 것으로 금경사와 더불어서 금자원과의 차이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할 수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 사경이 충렬왕대 고려국왕발원 금 은자사경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개인발원사경이라 할지라도 금자대장사경소(金字大藏寫經所)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금자원(金字院)(혹은 은자원(銀字院))의 스타일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점을 통해 남겨진 기록들과 발문을 중심으로 사경원 금 은자원의 성격을 밝히는데 힘썼다.

고려 개인발원사경(個人發願寫經) (The Study on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 in Personal Praying Script of Koryo Dynasty)

  • 권희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42
    • /
    • 2006
  • 고려 개인발원사경에 나타난 발원문은 고려불교사 정리를 위해서 중요한 연구 자료이지만 사학, 서지학 미술사학을 위해서도 중요한 자료라 아니 할 수 없다. 특히 개인발원 사경에서는 발원자들이 자신들의 관직을 밝히고 있어, "고려사" 백관지에 나타난 관제와 비교함으로서 고려관제사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발원문에 나타난 내용에는 사경의 성격이 나타나고 있어, 불교사상사 쪽에서도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또한 발원문을 통해 시재자와 발원문을 쓴 사경의 발원주체인 고승대덕들의 원을 구명 할 수 있어, 고려사회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고려시대와 송대의 관복 비교연구 - 공.상복을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of Koanbok between the koryo and Sung Dynasty)

  • 서옥경
    • 복식
    • /
    • 제31권
    • /
    • pp.131-144
    • /
    • 1997
  • This thesis is mainly on the study of Gongbok and Sangbok in the system of official outfit of the Koryo dyn-asty which has not yet fully studied in the history of Koren dress and its ornaments. Even in this difficult circumstances the sys-tem of dress and its ornaments can be under-stood with the help of remaining Buddhi-stliterature. Thus the system of official outfit in the Koryo dynasty has been studied here with some documentary records such as Koryo-dokyung Koryosa-yeobokji (The His-tory of Dress And Its Ornaments in The Koryo Dynasty) and so on. As the Koryo dynasty de-veloped her international relationships continu-ously with her neighbouring nation which were geographically closely connected so the systems of official outfit in the Chinese dyn-asty of Sung had to be studied and compared with, In the Koryo dynasty the same four colour system of purple red, deep red and green had survived until the year of 1123 from the year of 960 not using the blue colour from the four colour system of purple Chinese red green and blue of the Sung dynasty. The four colour system of purple deep red green and black under the regin of the King Euijong was exactly the same as that of official outfit of the Sung dynasty in he year of 1078 the first year of Wonpung's regin and wearing Eodae is a sure sign of influence of the system of Sung dynasty. Even though Koryo was invaded by Yuan druing the period of the regin of the King Chungyul the four colour system was not changed of purple deep red. green and black along with the same Dae-sudanryung(long sleeve and round collar). In 1387 the thirteenth year of the King Woo of the Koryo dynasty Pumdae was used ofor different official ranks and the sys-tem of wearing Samo and Dayung was established for the official outfit of every government officers.

  • PDF

천년 전의 별똥비 (METEOR SHOWERS OF 10-TH TO 14-TH CENTURY)

  • 안상현;배현진;조혜전;정성욱
    • 천문학논총
    • /
    • 제17권1호
    • /
    • pp.23-40
    • /
    • 2002
  • 별똥에는 분산 별똥(sporadic meteors)과 별똥비(meteor shower)에 속하는 별똥이 있다. 우리는 $\ulcorner$고려사$\lrcorner$ $\ulcorner$천문지$\lrcorner$에 적혀 있는 별똥 기록을 조사하여 10세기에서 14세기까지 지구 공전 궤도 상의 별찌(meteoroids)의 분포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먼저 $\ulcorner$고려사$\lrcorner$ 에 나오는 별똥 기록의 간지날짜를 점검하여 교정하고 간추려서 자료를 만들었다. 별똥이 나타난 날짜를 조사하여 고려 시대의 별똥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고려 시대 별똥 기록은 각 시기에 유행한 철학 사조의 영향과 전쟁과 내란 등의 영향으로 기록 수가 변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평소에 떨어지는 분산 별똥들의 계절적 개수 변화는 매우 자연스러웠다. 우리는 일년 중 특정한 날짜에 별똥별이 많이 떨어지는 시기가 몇 개 있음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이것을 별똥비로 보고, 한국$\cdot$일본$\cdot$중국$\cdot$아랍$\cdot$유럽의 역사 기록에 나오는 별똥 소나기 기록을 모두 조사한 다음, 이것을 $\ulcorner$고려사$\lrcorner$의 별똥 기록에서 구한 별똥비와 비교하였다. 우리는 뚜렷한 별똥비 셋과 약한 별똥비 서넛을 확인할 수 있었다. 뚜렷한 세 별똥비는 사자자리 별똥비, 페르세우스 별똥비, 핼리혜성이 남기는 두 별똥비 등의 요즘 별똥비와 각각 일치함을 알아냈다 또한 나머지 약한 별똥비들도 오늘날 관측되고 있는 약한 별똥비와 대체적으로 일치함을 보았다. 결론적으로 고려시대의 별똥비의 활동성은 오늘날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것은 오늘날 활발한 별똥비들의 수명의 하한을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별똥 관측에 있어서 우리나라 옛 사람들이 남긴 관측 기록은 실제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읽어낼 수 있을 정도로 꾸준하고 정밀하고 정직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좋은 유산을 현대 천문학에 유용한 연구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