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i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31초

BIM을 활용한 원전 해체 물량산출 방안 (Plan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for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 정인수;원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97-6304
    • /
    • 2015
  •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원전 1호기의 폐쇄가 결정됨에 따라 원전 해체가 화두가 되고 있다. 원전 해체는 우리나라에서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일로 해체 과정도 어렵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 일부분인 해체물량 또한 파악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산업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BIM 기술을 원전 해체 물량산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원전 해체 공법선정 및 공정 확립, BIM 모델링 환경 준비, 작업분류체계 구축, 객체분류체계 구축, BIM 통합모델 작성, BIM 객체에 물량 속성 배분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안은 영구정지 대상 원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부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기반한 기술확보를 통해 나아가 해외 원전 해체 사업 수주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FOOD III 코드를 이용한 섭식경로 내부피폭 비교해석 (Comparative Analyses of the Internal Radiation Exposures due to Food Chain Pathway Using FOOD III Code)

  • 최용호;정규회;김진규;이정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41-51
    • /
    • 1988
  • 우리나라의 환경특성에 적합한 섭식경로 내부피폭 해석코드를 확립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FOOD III 코드를 부분적으로 보완하여 한국 성인 남자에 대한 선량평가 결과를 보완전의 결과와 비교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평가예제로는 1984년도 고리 원전 1호기에서의 Mn-54, Co-58, Co-60, I-131, I-132의 방출량 자료와 부지경계선상 대기확산인자(X/Q)의 최대값을 사용하였다. 보완된 코드로 계산한 결과, 장기별 선량은 보완 전에 비해 $20{\sim}70%$ 정도 낮아졌으며 예탁실효선량당량은 ICRP 제한치의 0.16%인 $7.935{\times}10^{-6}Sv/y$로 계산되어 보완전의 $1.32{\times}10^{-5}Sv/y$에 비해 40% 정도 낮게 평가되었다.

  • PDF

원자로 냉가수내의 핵분열생성물 방사에 의한 핵연료피복관 파손 평가 (Evaluation of Fuel Cladding Failures from the Fission Product Activities in the Reactor Coolant)

  • Ho Ju Moon;Sung Ki Cha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169-179
    • /
    • 1984
  • FIPREL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원자로 냉각수 내의 핵분열 생성물에 의한 방사능을 분석함으로써 PWR의 운전시에 발생하는 핵연료 피복관 파손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절차를 모색하였다. 이 코드를 이용하여 핵연료의 농축도, 연소도, 가동온도 및 갭유출계수의 크기로 정량화되는 실제적 파손 크기등의 물리적 파라미터에 대해서 핵분열 생성물의 방사능이 나타내는 민감도에 대한 방대한 계산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PROFIP방법에 의한 것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노출 우라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옥소보다도 화학적으로 더 안정된 핵종간의 방사능비에 근거하여 반복계산을 실시함으로써 파손된 핵연료 봉에서 유출된 방사능만을 분리해 낸다. 개발된 전산코드로 파손 핵연료봉의 선형출력 밀도, 갯수, 실제적 파손 크기 및 노출우라늄의 질량등을 계산할 수 있다. 고리 1호기의 4주기에 걸친 운전 경험을 이 모텔에 의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본 모델은 원자력발전소 정상운전시 핵연료봉의 상태를 감시·평가하는데 아주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국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심부시추공 처분을 위한 개념 연구 (A Conceptual Study for Deep Borehole Disposal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in Korea)

  • 전병규;최승범;이수득;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2호
    • /
    • pp.75-88
    • /
    • 2019
  • 우리나라는 1978년 4월 고리1호기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24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으며 2기의 원전이 건설 중이다. 원자력 발전이 지속됨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늘어나게 되어 이를 영구처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심층처분(DGD)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심부 시추공을 활용하는 심부시추공 처분(DBD) 역시 대안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 선진국의 선행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심부시추공 처분에 요구되는 요소기술들을 소개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추공 설계, 처분부지 등에 대한 개념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실제 처분을 위하여 향후 요구되는 기술적 과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원전 해체 시 기체상 유출물의 연간 방출관리치 및 방출한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nual Release Objectives and Annual Release Limits of Gaseous Effluents During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 이승희;황원태;김창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9-311
    • /
    • 2019
  • 최근 한국에서 원전해체는 중요한 이슈이다. 원전의 운영 시와 비교해볼 때, 원전 해체 시에는 방사성물질의 방출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민은 항상 방사선피폭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연간 방출관리치와 방출한도치를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및 일반인 선량한도 기준으로부터 유도하였다. 기체상 유출물에 의한 대기 확산 및 침적 인자는 신고리 발전소 기상탑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수집 된 기상자료를 토대로 XOQDOQ 컴퓨터 코드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선량평가는 ENDOS-G 컴퓨터 코드를 사용하였다. 이 컴퓨터 코드를 이용하여 기체상 유출물의 연간 방출관리치 및 방출한도치를 평가한 결과, 핵종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연령에 따른 방사선민감도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평가 방법 및 결과는 향후 원전 해체 시 방사성유출물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리 1호기의 콘크리트 내 36Cl 및 41Ca의 방사화재고량 평가 (Inventory Estimation of 36Cl and 41Ca in Concrete of Kori Unit 1)

  • 장미;임종명;김현철;김창종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126
    • /
    • 2019
  • 원자력발전소 해체과정에서 방사화 재고량에 대한 평가는 방사선 환경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체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원자로 운전 정지 후 원자로 및 관계시설에서의 축적된 방사능은 노심 구조물, 반사체 및 차폐체 등의 구조재가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사화된것이다. 방사화생성물 중 $^{36}Cl$$^{41}Ca$ 은 반감기와 화학적 물리학적 특성에 의해 해체 처분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핵종이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차폐 콘크리트 내 생성량을 평가하였다. MCNPX 코드를 사용하여 중성자속과 반응단면적을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ORIGEN2 코드를 사용하여 방사화생성물의 양을 평가하였다.

Proposal for the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of interest during NPP site characterization or final status surveys

  • Seo, Hyung-Woo;Oh, Jae Yong;Shin, Weon Gy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234-243
    • /
    • 2021
  • In the research or project planning for the decommissioning of a nuclear power plant, one of several preparations will be the establishment of a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characterization or final status surveys. Reliable data for selection of potential radionuclid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prepare for decommissioning will depend heavily on historical data at the site or, where possible, sampling analysis. However,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direct sampling can be challenging,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site or national regulation. A methodology of selecting potential radionuclides for nuclear facility sites which largely consists of three major processes: production of initial list of radionuclides, selection of the insignificant radionuclide that will be eliminated, and consideration of site characterization or sampling. For developing a preliminary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for Kori Unit 1 decommissioning, the list of initial radionuclides was made referring to the technical documents applied at decommissioned NPPs in the U.S and additional reference materials applied until the operation of NPPs in Korea. For the screening of insignificant radionuclides, we applied criterion of less than 0.1% of the amount of radioactivity inventory and confirmed the dose fraction using the RESRAD code. The final suit of radionuclides was established,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by reflecting site characterization and sampling process in the future. Thus, the methodology and results for the selection of potential radionuclides suggested in this paper can give an insight as a future reference to deriving DCGLs in relation to site remediation of decommissioning nuclear plants.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용가자미(Cleisthenes pinetorum)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ointhead Flounder (Cleisthenes pinetorum) in the West Sea in Korea)

  • 최동혁;윤병일;김맹진;이승환;권대현;한경호;이승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3-277
    • /
    • 2021
  •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의 섭식습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자망어선에서 어획된 360개체(전장 21.7~48.1 cm)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용가자미의 주 먹이생물은 거미불가사리류와 어류로 나타났고, 이외에도 새우류, 난바다곤쟁이류, 단각류, 게류 등을 소량 섭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고리연안에서 보고된 용가자미의 섭이 습성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Huh and Baeck, 2003). 용가자미가 성장함에 따라 거미불가사리류의 비율이 감소하고 어류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용가자미 전장이 증가하면서 개체수와 습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lassification and consideration for the risk management in the planning phase of NPP decommissioning project

  • Gi-Lim Kim;Hyein Kim;Hyung-Woo Seo;Ji-Hwan Yu;Jin-Won S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2호
    • /
    • pp.4809-4818
    • /
    • 2022
  • The decommissioning project of a nuclear facility is a large-scale process that is expected to take about 15 years or longer. The range of risks to be considered is large and complex, the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isks will arise in decision-making by area during the proje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isk family derived from the Decommissioning Risk Management (DRiMa) project was reconstructed into a decommissioning project risk profile suitable for the Kori Unit 1. Two criteria of uncertainty and importance are considered in order to prioritize the selected 26 risks of decommissioning project. The uncertainty is scored according to the relevant laws and decommissioning plan preparation guidelines, and the project importance is scor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it primarily affects the triple constraints of the project. The results of risks are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Among them, 10 risks are identified as medium level and 16 risks are identified as low level. 10 risks, which are medium levels, are classified in five categories: End state of decommissioning project, Management of waste and materials, Decommissioning strategy and technology,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and Safety.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risk of the decommissioning project that could be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stag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ject risks consider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itial data for reevaluation by reflecting the detail project progress in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