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American Immigrant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존 -미주 이민자 전낙청의 사랑에 관한 한 상상 (Coexistence of Everything that Exists -An Imagination about Love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Nakchung THUN)

  • 전우형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2호
    • /
    • pp.191-219
    • /
    • 2020
  • 이 글은 근대 초기에 일어났던 이동과 접촉의 한 양상으로서, 한인 미주 이민자의 소설쓰기의 양상과 서사적 상상력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전낙청이 1930년대 쓴 소설들의 뒤늦은 귀환은 근대 초기 모빌리티의 다양성을 복원하고 기록과 기억에서 배제되었던 이민자들의 역사와 문화를 대면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소설들은 단순히 이민지라는 접경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그곳을 새로운 역사와 문화, 제도와 가치 등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상상하게 함으로써 지배와 종속,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인식에 균열을 만들어 냈다. 이 소설들은 지적, 정서적, 윤리적으로 탁월한 인물들의 자유연애를 중심 사건으로 다루면서, 서양의 자유연애를 탈신비화하는 것과 동시에, 계급, 인종, 성별을 비롯한 여러 정체성에 의해 구획된 사회에서 벌어지는 분할과 경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사랑의 공적인 역할을 발견한다. 전낙청의 소설쓰기는 잭이라는 인물을 통해 이민자와 선주민 공동체 사이의 적극적인 교호를 전경화함으로써, 이민자들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공존하는 장소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한다. 이 소설들은 그간 종속되고 주변화된 접경에 관한 일종의 기억전쟁을 선포했다. 이민지라는 접경은 지난 세기 이래로 극심한 갈등과 불화들을 경험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유례없이 다양한 공동체와 지역사회들이 연결되는 장소로 기능하기도 했다. 접경은 분할과 점령의 대상이기 이전에 연대와 창조의 공공재였다. 이 소설들은 접경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국가, 지역, 민족 사이의 대립항 속에서만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경이나 경계와 먼, 그래서 고정 불변하는 교착상태가 아니라, 중심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세계로서 접경이야말로 다양한 만남을 통해 도래할 역사와 문화를 선취하는 시공간이었으며, 공동체였다.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 -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여 -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27
    • /
    • 2012
  • 다문화 시대에 도서관의 역할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고, 우리 사회에서 추구하는 다문화의 가치를 도서관의 관점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논의는 우리와는 문화적 토양이 상이한 서구국가의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실행 방안 또한 이들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례를 외형적으로 모방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역사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이주민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지 그 실체를 정확하게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상황에서 수용해야 할 것과 향후 비판적 검토가 필요한 것을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 도서관(뉴욕 퀸즈도서관, LA공공도서관, 시애틀공공도서관)에서의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시카고 지역의 한인 이민자 우울증에 대한 질적 연구: 문화동화, 건강, 사회경제적 상황과 존경심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Depression in Chicago: Focusing on Acculturation, Health,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Respect)

  • 심경수;박근영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33-54
    • /
    • 2017
  • 본 연구는 시카고 시와 교외지역에 거주하는 한인이주민 중 65세 이상의 연장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우울증상과 문화동화 수준,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상태의 관계를 그들이 인식하는 존경의 매개역할 또는 조절역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4개의 포커스 그룹과 2개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ATLAS. ti.로 분석된 연구 결과는 문화동화 수준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며 우울 증상은 또한 희망과 상호간의 대화를 통해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65세 이상의 한인 연장자들의 자기 결정권에 대해 충분한 의사소통과 그들에 대한 존경심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것은 그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때 다양하게 표면화되는 우울한 감정들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Thrown in a Different World: The Later Lives of Korean Elderly in an American Nursing Home

  • Suh, Eunyoung E.;Park, Yeon Hwan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9-337
    • /
    • 2007
  • Purpose: Increasing numbers of Koreans have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1960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or their parents become old and institutionalized in American nursing home setting. Although the Korean elders would experience man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nursing home, no study to date has investigated their everyday lives on how they live through their later lives within a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from their own. Methods: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llustrate Korean residents' experiences and daily lives in a nursing home located in an east coastal city in the U.S. Participant observation, filed not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tilized by means of data collection. Eighteen Korean residents were observed, and five of them and two nurses participated in informal qualitative interviews. Results: The overriding theme from the findings is "thrown in a different world." Three sub-themes include "constant struggles in making themselves understood", "dealing with culturally inappropriate nursing care," and "maintaining their own ways of life". Conclusions: The discovered themes reflect culturally isolated lives of the participants and open a venue for designing a culturally congruent nursing care for Korean elders living in the U.S. nursing homes.

  • PDF

기러기엄마로 살기': 일상생활의 구성 그리고 관계 맺기 (A Qualitative Study on the Wild Goose Mother's Everyday Life,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Networking)

  • 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1호
    • /
    • pp.41-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ethnograph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wild-goose mother's everyday life, her family relationships, and her social networking. Thirteen mothers from New York, California, and Texas, U.S.A., were interviewed with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Their residency and everyday schedules are arranged around the children's educational conditions. They have experienced difficult relationships with Korean American immigrants, Korean students, other wild-goose mothers, and Americans. They have failed to develop their social capital effectively due to the language barrier and a cultural capital deficiency. As a kind of family strategy, this separation sometimes strengthens the spousal relationship, preventing divorce, but usually weakens the emotional ties and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acculturation gap between the mother and her children may cause the mother to become alienated and exacerbate the generational conflict.

  • PDF

문화 다양성과 미국의 신이주민을 위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Cultural Diversity and the Role of Community Public Libraries For Newcomers to America)

  • 한진자;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9
    • /
    • 2010
  • 국제적인 환경변화와 함께, 지난 수 십 년 동안 이민자, 피난자, 유학생, 단순 방문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미국에 정착하고 있다. 미국에 정착하는 외국인들의 증가는 미국내의 지역사회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소수민의 증가에 따른 문화적 다양성은 지역사회에 대한 문화 및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게 있어서 많은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미국내의 공공도서관을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에 따라 인종적, 문화적 및 언어적 측면에서 다양성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을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새로이 정착하는 사람들을 위한 도서관 환경 조성,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요구사항, 도서관 서비스와 프로그램, 다문화 자료의 확보, 다양한 인종을 고려한 도서관 직원 고용, 다른 기관과의 협력, 정보기술, 그리고 공공도서관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논의하였다.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Domestic Korean and Korean American Elderly People

  • Kim, Hyun-Jo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6호
    • /
    • pp.85-90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QOL) in elderly people and to examine potential cross-cultural differences. Methods: The author surveyed 82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residing in a nursing home in a Korean rural area and 73 Korean immigrants living in Houston Texas USA who were also elderly.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measured with 20 questions that were answered using a 5 grade scale.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in 5 fields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each scored using a 3 grade scale) with EUROQOL EQ-5D. Results: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65.43 for domestic Korean elderly people (range: 26 to 98); it was 73.43 for elderly Korean Americans (range: 26 to 100). The score was lower for domestic Koreans despite the traditional environment (p<0.05). Regarding QOL, 61% of domestic Korean elderly people complained of pain/discomfort and 47.5% appeared to have anxiety/depression, 30.5% complained of limitations in mobility, 20.7% reported limitations in usual activities, and 14.6% had limitations in basic self.care activity such as washing or dressing. A similar proportion of Korean American elderly had limitations in usual activities (19.2%) and self care activity (9.5%). But significantly fewer complained of anxiety/depression (16.5%, p<0.01) or pain/discomfort (38.3%, p<0.01). The majo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domains of QOL may be related to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the difference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Conclusion: Social support is a major determinant of QOL, especially for psychological domains, and these relationship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재미한인의 문화변용전략과 미디어 콘텐츠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Media Contents)

  • 박정의;성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79-488
    • /
    • 2012
  • 본 연구는 베리의 문화변용이론을 중심으로 재미한인의 문화변용전략과 미디어 콘텐츠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미국 포틀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이민자 및 유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비 확률표본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영어와 한국어 두 종류를 준비해 응답자가 선택토록 하였으며, 총 391부의 설문지 중 일률적으로 특정 번호를 표시하거나 결측 값이 지나치게 많거나 응답자 답변이 비일관성을 띤 표본20개를 제외한 총 37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들은 통합전략(M=4.57)과 분리전략(M=4.49)을 주로 사용하며 미국의 주류사회로 동화(M=2.92)되는 경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전략을 취하는 정도가 강화될수록 모국인 한국미디어 콘텐츠 이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미국사회에 동화하고자 할수록(동화전략을 선호할수록) 미국미디어 콘텐츠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별 이용 차이가 동화와 분리 전략 집단에서 나타나고 있다. 동화전략 구사 정도가 전체 응답자의 평균 2.96보다 높은 응답자들의 경우, 미국 엔터테인먼트 콘텐츠(M=4.64)를 미국 뉴스콘텐츠(M=4.00)보다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분리전략 구사 정도가 전체 응답자의 평균 4.49보다 높은 응답자들은 다른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미국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의 경우, 뉴스(M=3.11)보다는 엔터테인먼트(M=4.10)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한국미디어 콘텐츠의 경우 엔터테인먼트(M=4.53)보다는 뉴스(M=4.84)를 더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Comparing Dietary Habits of Koreans in Northern America's West Coast City Areas by Immigration Age

  • Park Young-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2호
    • /
    • pp.123-134
    • /
    • 2004
  • A convenience samples of Korean-Canadian/American adults who lived in Vancouver, San Hose and Los Angeles areas for over 10 years, were studied in 2000. Total of 130 adults were analyzed by immigration age. The age of immigration age was divided into 3 groups: the young group immigrated at 25 or before, the middle group immigrated at 26 to 40, and the old group immigrated at over 40. Their average length of residence in Canada and the U.S. was a little longer than 20 years. The dietary behavior patterns were similar among 3 groups, except co-eaters and dining-out frequency, and the Korean-Canadians/Americans seemed to be more home-based, family-tightened and traditional patterns than Koreans in Korea. They liked Korean traditional basic dishes, but their children liked a-la-carte ones and immigrants at early 20's showed similar food preferences as young generations. The attitudes of dietary acculturation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children were high. Since immigrating at age 26 to 40 years old rather than 20's or over 40's, showed stronger acculturation attitudes even with no significance and reveal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ome dietary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it is recommended that immigration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dietary foodservices at nursing care systems for Korean Canadians/Americans.

Associations of Obesity, Exercise Pattern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n Americans Living in North Western Parts of USA

  • 노희경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81-18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ssociations of obesity, exercise pattern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n American immigrants residing in North Western parts of USA. The structured survey form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at covered 67 food items were u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for subjects by gender and age. However, the weight of females became heavier with increasing age in contrast to male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BMI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 in the youngest adult group compared to the aging adults.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exercise pattern was shown. Dietary fiber and sodium intakes were higher in the elderly than young ones in female group. In the same young adult group Zn intakes was the highest in the male group and the lowest in the female group. Folate intakes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eight, weight and BMI were shown. Zn intak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height, and exercise pattern in the study. Furthermore, Zn was correlated with sodium, vitamin B6, folate, vitamin E and choleste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