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heat flour

검색결과 944건 처리시간 0.039초

초고압처리 및 결착제 첨가가 재구성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Binding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 최예철;정경훈;천지연;최미정;홍근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64-6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육의 재구성에 첨가되는 식염의 함량을 줄인 저염 재구성육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결착제의 활용, GdL 첨가 및 초고압처리 수준에 따른 재구성돈육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된 0.5% GdL 수준은 제품의 pH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며, GdL 자체 혹은 초고압처리에 의한 식육단백질의 젤 형성에 기인하여 효과적으로 pH 저하에 따른 보수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된 결착제에 의한 부가적인 보수력 및 조직감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초고압 처리 및 GdL을 조합 사용함으로써 식육 재구성에 요구되는 식염의 함량을 0.5%까지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식육 재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주정폐액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1보) 소맥분 주정폐액을 이용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lcohol Distillers' Waste. Part 1.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s from Alcohol Distilled Waste of Wheat-flour.)

  • 유주현;오두환;양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74
  • 1) 폐액을 여과했을 때 잔사부분엔 조단백질 33.08%, 총당 19.96%, 회분 2.06% 이었으며, 여액부분은 환원당 1.54%, 조단백진 2.48%, 회분이 0.43%이었으며 1kg/㎤에서 15분간 2차 살균한 결과 그의 pH가 3.15이었다. 2) 여액을 기본배지로 하여 flask 상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 YF-1 의 최적배양조건을 구한 결과 배지 100m1 당 Urea 0.428g, KH$_2$PO$_4$ 0.439g, MgSO$_4$ㆍ5$H_2O$ 0.21g을 첨가한 뒤 pH 4.0, 3$0^{\circ}C$ 에서 24~28시간 배양함이 가장 좋았다. 이때 배지 100m1당 1.38g의 건조효모균체 (35$^{\circ}C$에서 24시간 진공건조)를 얻을 수 있었다. 3) 건조효모의 조성은 조단백질 56.96%, 지방 1.30%, 탄수화물6.53%. 회분 9.62%이었다. 본 연구는 문교부 학술연구조성비로 행한 것이다.

  • PDF

곡류와 그 가공품에서 Deoxynivalenol과 Zearalenone의 분석 (Co-occurrence of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in Cereals and their Products)

  • 옥현이;장현주;최성욱;이나리;김현정;구민선;전향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5-381
    • /
    • 2007
  • 전 세계 인구의 주식인 곡물에 주로 오염되는 Fusarium 곰팡이독소인 DON과 ZEN을 70개 시료(옥수수, 백미, 현미, 보리, 옥수수통조림, 시리얼, 밀가루)에서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ON은 70개 시료 중 37개 시료에서 $7.4-379.4{\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ZEN은 17개 시료에서 $22.0-42.8{\mu}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시료중 12개 시료는 DON과 ZEN이 동시에 검출되었고 평균 오염농도는 $319.7{\mu}g\;kg^{-1}$$37.3{\mu}g\;kg^{-1}$이었다. 본 연구에서 곡물시료 중 DON및 ZEN의 오염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곰팡이독소의 생성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오염도 자료가 향후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iniature Poodle에 있어서 현미 함유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및 배설 분 특성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iets Including Brown Rice for Miniature Poodle)

  • 홍경희;오영균;이상락;소경민;문상호;박창석;이경원;김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5호
    • /
    • pp.349-354
    • /
    • 2012
  • 본 연구는 반려견 사료 내 주요 탄수화물원인 밀가루 (원물기준 약 51%)를 현미로 15%, 30% 대체 급여하였을 때, 사료의 소화율 및 배설 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Miniature Poodle (8~9개월령, 평균 3.5kg) 6마리를 이용 반복 $3{\times}3$ 라틴방각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건물 섭취량과 유기물섭취량이 현미수준 증가에 따라 linear하게 감소 (P<0.05)되었는데, 총에너지 섭취량은 15%구에서 가장 낮은 quadratic 효과 (P=0.07)가 나타났다. 현미 대체에 의해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산분해 지방, 에너지 소화율이 linear (P<0.05)하게 증가하였다. 사료의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 농도 (kcal/kg DM)도 현미 대체 비율이 증가하면서 linear 하게 증가 (P<0.001, P=0.007)하였다. 생분 배설량과 건조 분량도 모두 linear(P=0.001)하게 감소하였다. 분 score도 linear하게 감소 (P<0.05)하게 감소하였지만, 분 암모니아 농도는 현미대체 비율이 증가 할수록 linear하게 증가 (P<0.05)하였다. 분 암모니아 증가는 linear하게 감소 (P<0.01)한 short chain fatty acid 농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 현미급여가 반려견의 소화율과 배설 분의 특성을 개선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전복 사료의 단백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9
    • /
    • 1998
  • 참전복 사료에 적합한 단백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육분, 우모분, 혈분, 대두박, 콘글루텐 밀, 면실박, 미역분을 첨가한 배합사료와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를 선정하여 그 이용성을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11 g인 치패를 실험수조마다 70마리씩 수용하여 18주간 사육한 결과, 생존률은 카제인, 북양어분, 육분, 우모분, 미역분과 소맥분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P>0.05) 타 실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구들의 최종평균체중은 0.27~0.74 g으로 북양어분을 첨가한 실험구가 0.7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박 및 미역분말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북양어분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없이(P>0.05)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카제인 첨가구는 0.64 g으로 북양어분 첨가구와는 유의차를 보였으나(P<0.05). 다음으로 면실박과 소백분 첨가구가 0.55~0.57 g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육분 첨가구는 0.44 g,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 공급구는 0.29~0.34 g, 우모분과 콘글루텐 밀 첨가구는 0.26~0.27 g으로 나타났으며, 혈분 첨가구가 0.19 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증체율과 각장 및 각폭도 평균체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78.5~79.6% 및 13.2~14.2%로 사료의 단백질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어분, 대두박, 면실박, 미역분말 또는 소백분은 참전복 사료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참전복 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키고, 사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레올로지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Waxy Barley Powder)

  • 정현철;지정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찰보리의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고 찰보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반죽과 식빵을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찰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8.33%, 조단백은 10.47%, 조지방은 1.63%, 조회분은 2.97%로 나타났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sedimentation value와 pelshenke value 측정 결과는 찰보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Water retention capacity와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 측정 결과는 찰보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stability 및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증가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및 breakdown P-H 값은 감소하였고, final viscosity F값, setback F-H값은 유의적 차이 없었다. 찰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과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색도 측정결과 L값, a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찰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texture 측정 결과 경도와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는 맛, 촉촉함, 부드러움, 씹힘성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10%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사료 종류별 사육수온이 전복 치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 조성환;조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26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ith the different feeds. Two types of feed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at water temperatures of 20 and $23^{\circ}C$, and 23 and $26^{\circ}C$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abalone twice. Forty-five juvenile abalone averaging 10.1 g in the first feeding trial and 11.5 g in the second feeding trial were randomly stocked into 6 of 50 L plastic rectangular containers each. Fishmeal, soybean meal and shrimp head meal was used as the primary protein source in the experimental diet. And dextrin and wheat flour, and soybean oil were used as the primary carbohydrate and lipid sources in the experimental diet, respectively. The dry sea tangle and experimental diet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at the ratio of 1.5-2.0% total biomass of abalone with a little leftover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first feeding trial.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However, weight gai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the second feeding trial. Weight gain was highest in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t $23^{\circ}C$, followed by abalone fed the dry sea tangle at $23^{\circ}C$, abalone fed the experimental diet and dry sea tangle at $26^{\circ}C$, which was lowest.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 type, but not by water temperature in the second feeding trial. However, ash content of the edible portion of abalo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but not by feed type.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ell formulated feed was superior to the dry sea tangle for growth of juvenile abalone, and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 and $23^{\circ}C$ seemed to be better than $26^{\circ}C$ to improve weight gain of abalone.

  • PDF

국균(麴菌)이 고추장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Strains on Quality of KOCHUJANG)

  • 박창희;박윤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24
    • /
    • 1984
  •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ur strains belonging to Aspergillus oryzae on the quality of Kochujang. In the Koji and Kochujang making,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nzyme production of each strain, the change of each component and color during the aging, and tested the sensory tas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rotease activity (acid, neutral) in wheat flour Koji was high in the case of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The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showed maximum activity after two days of Koji making, while the strain Aspergillus oryzae - M showed low activity till two days, but showed maximum activity after three days-four days of Koji making. 2. In $\alpha$-amylase activity,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Aspergillus $oryzae-S_2$ and Aspergillus oryzae - M showed high activity after two days of Koji making. Aspergillus oryzae-NB strain showed slower ${\alpha}$ - amylase activity than that strains. 3. In glucoamylase activity, all strain tested showed high activity after three days of Koji making, but st rain Aspergillus oryzae - NB showed slower activity than ot - hers. 4. In protease activity (acid, neutral) during the aging of Kochujang, strain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long stalked type. 5. Amino type nitrogen contents during the aging of Kochujang was very higher in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S_1$ and Aspergillus oryzae - M of short stalked type than other strains, and each contents was 315mg% and 337mg% after aged for ninty days. 6. The results that analysed free sugar of Kochujang aged for ninty days with HPLC were; glucose 5.84~7.13%, fructose 4.13~5.00%, rhamnose 0.91~1.04%, maltose 0.72~0.92% and presence of xylose was recognized. 7. The results that analysed alcohols of Kochujang aged for ninty days with gas chromatography were; ethanol 1.51~1.78%, n-propyl alcohol 1.13~1.20mg%, iso-amyl alcohol 3.5~4.4mg%. 8. In the sensory test of Kochujang aged for sixty days and for ninty days,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M and Aspergillus $oryzae-S_1$ of short stalked type showed good taste, while the case of strains Aspergillus $oryzae-S_2$ and Aspergillus oryzae-NB of long stalked type showed good flavor and color.

  • PDF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 정현철;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7-1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유색보리와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 및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9.35%, 조단백은 9.37%, 조지방은 1.64%, 조회분은 2.96%로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21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4.91 g/100 g, 총 식이섬유 함량은 8.12 g/100 g으로 나타났고, ${\beta}$-glucan 함량은 49.31 mg/g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56.76%로 나타났고, 총 페놀 함량은 234.34 mg/100g으로 나타났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lveogram 측정 결과 overpressure P값, extensibility L값, swelling index G값, deformation energy W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breakdown P-H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 L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색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texture 경도,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호도는 맛, 부드러움, 씹힘성은 10%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10% 첨가군이 5.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귤피가루를 첨가한 모닝빵 개발 및 인체시험을 통한 생리활성 효과 평가 (Development of morning bread fortified citrus peels powders and its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by human trial)

  • 이하늘;박태선;유옥경;변문선;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44-152
    • /
    • 2016
  • 본 연구는 귤피가루를 활용하여 모닝빵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과체중 및 비만인 20대 남 녀에게 섭취하게 해봄으로써 아침결식률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체중과 BMI의 경우 GB 섭취군과 CPB 섭취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CPB 섭취군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 유의적으로 체중과 BMI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WHR은 GB 섭취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PB 섭취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BFM은 두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군간에 유의성을 띄지 않았다. TC는 GB 섭취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PB 섭취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HDL은 두군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GB 섭취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LDL은 두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 < 0.05) 군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GOT와 GPT는 GB 섭취군과 CPB 섭취군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CPB 섭취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GB와 CPB를 섭취한 군간에 신체계측치와 혈액생화학적 수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으나 CPB 섭취군에서 사전에 비해 TC, LDL, GOT, GPT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p < 0.05) 본 연구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변화를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에 가깝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서 귤피가 심혈관계질환의 유병률을 낮춰줄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음을 임상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들이 double blind cross-over study와 같은 대규모 임상연구로 진행되어 귤피의 지질관련 효과들을 보다 명확하게 입증해줄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