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1초

삼해주와 시판 곡주의 생리 기능성 및 세포 독성 효과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Cytotox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Noble Wine, Samhaeju, and Commercial Rice Win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임채란;손희진;조인영;김계원;최수진;김인선;한기영;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7-693
    • /
    • 2009
  • 잊혀져가고 있는 전통주의 우수함을 알리고자 한국의 전통 반가주인 삼해주를 제조하고 시판되고 있는 곡주와 비교 실험하며, 생리활성 및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소개된 방법을 변형하여 3가지 종류의 삼해주를 제조하였으며, 시중에서 곡주 5종을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DPPH 라디칼 제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곡주 G가 가장 뛰어났으며, ABTS 라디칼 제거능은 삼해주가 가장 우수하였다. 삼해주 중에서는 C 시료가 DPPH 라디칼 제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다. 혈전용해능의 경우 삼해주 A-C가 13-17U로 다른 곡주에 비해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에 대하여 10-160배까지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HeLa, A549, L-13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체유래 자궁암 세포주인 HeLa 세포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가 강한 세포 독성을 보였고, A549 세포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의 세포독성 효과가 크나 시료에 따라 그 편차가 심하였다. L-132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의 세포독성 효과가 다른 시료에 비해 강하였으나, 다른 암세포에 비해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삼해주에 존재하는 미지의 약리 성분이 생리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삼해주 제조 시 사용된 누룩과 오랜 발효 기간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며, 누룩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Potential Antioxidant Peptides in Rice Wine

  • Rhee, Sook-Jong;Lee, Chung-Yung J.;Kim, Mi-Ryung;Lee, Cherl-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715-721
    • /
    • 2004
  • Many food protein hydrolysates have been shown to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cent research focuses on low molecular peptides produced during hydrolysis of food protein. Korean rice wine contains about 60-70% of protein at dry base and originates from raw material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tein is transformed into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and have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e-purified and purified peptides found in Korean rice wine and to identify the responsible peptides. The wine extract of Samhaeju,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made by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was evaporated at $35^{\circ}C$. The two methods employed in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the beta-carotene bleaching test. The pre-purified samples showed 808 AAC (Antioxidant Activity Coefficient) and 56.5% AOA (Antioxidant Activity), which were higher than $\alpha$-tocopherol (572 AAC and 78% AOA). The rice wine extract was separated by reversed-phase HPLC.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four most antioxidant active fractions were tested for t-butyl hydroperoxide induced oxidation of healthy human erythrocytes and the byproduct was determined by malondialdehyde formation. Fraction No.5 showed 35% lower MDA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eptides were further purified using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and 4 antioxidant peptides were isolated.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eptides were identified as Ile-His-His, Val- Val-His(Asn), Leu-Val-Pro, and Leu(Val)-Lys-Arg-Pro. The AAC value of the synthetic form of the identified peptides was the highest for Ile-His-Hi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 Hong, Yang-Hee;Bae, Song-Hwan;Jung, Eun-Young;Son, Heung-Soo;Shin, Kwang-Soon;Kwon, Ki-Han;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09-115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flavonol contents of tak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wine and takju samples were evaluated using five distinct assays: specificall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di-(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superoxide anion; and nitric oxide (NO) radical-scavenging activity assays. In this study, the takju evidenced strong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the hydroxyl, superoxide anion, and NO radicals. Furthermor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2 were similar to those previously observed in white wine (p<0.05). However, the flavonoids and flavonol contents of all takju sample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white w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akju possesses a powerfu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a variety of oxidative syst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at takju should be considered a useful antioxidant, and that their functional compound reduces oxidative stress.

보리 입국과 두류 첨가가 전통주의 품질과 혈전용해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rley Koji and Legumes on the Quality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김재호;이주현;김형종;최신양;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66-1070
    • /
    • 2003
  • 혈전용해 효과를 가진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혈전용해 활성이 있다고 확인된 몇 가지 곡류를 이용하여 입국들을 만들어 이들의 알콜 발효특성을 조사하였고 선정된 입국과 각종 두류 분말 및 기호성 음료 재료들을 술덧에 첨가하여 전통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과 혈전용해 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보리 입국을 이용하여 전통주를 제조하였을 때 에탄올 생성량은 16.8%로 시판 입국으로 제조한 전통주(15.6%)보다 높았고 혈전용해 활성도 20.0 U로 제일 높았다. 또한 보리입국을 10% 첨가한 술덧에 녹두가루를 50% 첨가하고 대추를 3% 첨가하여 3$0^{\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혈전용해 활성이 26.0 U로 증가하였고 맛과 향도 우수하였다.

소곡주 공장의 공기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 박지은;전영재;김지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8
  • 전통주인 소곡주 공장의 실내공기에 존재하는 균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앤더슨 공기 포집기를 이용하여 소곡주 공장의 여러 방으로부터 포집된 공기와 이곳에서 주정제조를 위해 사용해온 누룩으로부터 균류를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Aspergillus, Penicillium, Gibberella, Cladosporium, Talaromyces 속에 속하는 12가지 균류종이 분리되었다. 이들 중 주요 균류는 Aspergillus와 Penicillium에 속하는 균종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특히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7개의 종이 분리 되었으며 조사된 방마다 각각 서로 다른 종이 분리되었다. 누룩으로부터는 공기 중에서 검출된 Aspergillus 그룹과 동일한 그룹이 검출되었고 동시에 공기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Rhizopus sp.가 분리되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통주 제조 공장의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균류상에 대한 보고이다.

각종 누룩 균을 이용한 실험실조건에서의 막걸리 제조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이상선;김교숙;엄안흠;성창근;홍인표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65
    • /
    • 2002
  •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누룩 균주를 단독 접종하여 술담그기를 한 후 맛과 알코올 농도등을 기존의 방법으로 생산된 막걸리와 비교 연구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4가지의 균의 성장과정을 무균 상태에서 다양한 수분 첨가조건으로 조사하였으며, 전분 분해능도 관찰하였다. 균사의 성장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생산과 무게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균종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Abisida와 Rhizopus 균에서는 수분 함량이 적은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 Aspergillus와 Mucor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많은 곳에서 잘 자랐다. 수분 첨가량이 적을수록 전통 누룩에서 발견된 균들이 잘 자랐다. 본 연구에서는 고두밥을 이용해 술을 담그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경우와 단독 누룩 균을 이용하여 술담그기를 한 경우 그 술의 성분과 맛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의 전통주는 접합균을 이용한 많은 누룩으로 만들어지고, 대표적인 균들은 Absidia, Mucor 및 Rhizopus로 생각되었고, 전통 누룩은 효소원이라기 보다는 균종원으로 추론되었다.

Identification of Character-impact Aroma Compounds and Comparisons of Sensory Attribut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Rice Wines Brewed with Functional Herbal Powders or Extracts

  • Lee, Gyu-Hee;Shin, Young;Chang, Yeong-Il;Jeong, Jae-Hong;Chang, Kyu-Seob;O, Man-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05-410
    • /
    • 2002
  • Rice wine was prepared with medicinal plants or plant extracts to obtain a value added nutritious alcoholic tonics. Powders of ten medicinal plants (PTM) or aqueous extracts prepared from them (ATM) were add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roma compounds of rice wine (control) and wines containing PTM or ATM were isolated by liquid-liquid continuous solvent extraction (LLCS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Desirable aroma compounds: acetaldehyde (sweet, ethereal), benzaldehyde (sweet, fragrant), ethyl acetate (sweet) and ethyl octanoate (sweet, ethanolic) had the highest log$_3$-flavor dilution (FD) factors in ATM.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intensities of undesirable aroma attributes, such as koji and yeasty notes in control, and raw medicinal herb notes in PTM, were lowest in wine with ATM. Wines made with ATM had the most attractive aroma attributes among the three different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wines.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 Lee, Seung-Joo;Kwon, Young-Hee;Kim, Hye-Ryun;Ahn, Byung-H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74-380
    • /
    • 2007
  • Chemical and sensory profiles of 5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were developed using descriptive, physicochemical, and volatile analyses. Color, 6 aroma, and 5 taste attributes of these rice wines were evaluated by a panel of 13 judges. Sample wines were analyzed for titratable acidity, ethanol content, pH, Hunter colorimeter value, organic acids, and free sugars. Volatile analysis of the samples revealed the presence of 2 acids, 7 alcohols, 19 esters, and 5 miscellaneous compound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descriptive data, rice wines were primaril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57% of the total variance between the rice wines with high intensities of 'color' and 'sweet aroma' versus 'ginseng' aroma.

첨가원료 종류에 따른 전통발효주의 이화학 및 관능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 김혜련;조성진;이승주;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1-557
    • /
    • 2008
  • 첨가원료의 종류가 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고문헌에서 보여지는 원료로 맥아, 옥수수, 감자, 콩, 차조, 현미, 찹쌀 그리고 멥쌀을 2단 담금 쌀 양의 30%(w/w)로 첨가원료 곡물을 달리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16일간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은 맥아와 찹쌀이 16.2%로 가장 높았고 pH는 4.14-4.57, 총산은 0.27-0.32%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은 맥아가 0.36$\pm$0.02%로 가장 높게 감자가 0.18$\pm$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당도는 맥아가 11.1로 가장 높아 고형분 함량이 가장 많음을 나타냈고 감자가 8.35로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착색도, 자외부흡수, 환원당은 모두 맥아를 첨가한 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감자를 첨가한 술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원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색도에서 명도는 맥아가 74.44로 가장 어둡게 나타났고 반대로 적색도는 맥아가 9.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 또한 맥아가 3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찹쌀이 10.9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맥아, 차조 그리고 현미는 acetic acid>succinic acid>malic acid>citric acid>pyroglutamic acid, 옥수수와 감자는 citric acid>succinic acid>acetic acid>malic acid>pyroglutamic acid, 콩은 succinic acid>citric acid>acetic acid>malic acid>pyroglutamic acid, 찹쌀과 멥쌀은 succinic acid>acetic acid>citric acid>malic acid> pyroglut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리당은 모든 술에서 glucose>fructose>maltose 순으로 나타났다. 묘사분석 결과 찹쌀과 멥쌀은 전반적인 관능특성에서 단 향, 과일 향, 상쾌한 향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어 유사한 관능특성을 보였고 반면 콩, 차조, 감자는 누룩 향, 구수한 향, 황색도가 강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옥수수는 전반적으로 각 특성이 강하지 않고 중간 정도 수준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현미와 옥수수가 6.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찹쌀과 차조순서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전통주의 기본원료인 멥쌀과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기호도가 높게 나타난 옥수수와 현미가 첨가된 술의 아미노산도가 0.19-0.21$\pm$0.03%로 나타나 멥쌀 0.27$\pm$0.01%보다 0.07% 낮게 나타났고 유기산에서 acetic acid 함량이 옥수수는 1.06$\pm$0.35 mg/mL인데 반해 멥쌀은 2.97$\pm$0.50 m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당에서 fructose 함량이 멥쌀은 0.14$\pm$0.11 mg/mL인데 반해 옥수수와 현미는 0.34, 0.35$\pm$0.05 mg/mL로 0.2 mg/mL 정도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식절조(飮食節造)」를 통해 본 조선시대 후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Eumsikjeoljo (飮食節造))

  • 한복려;박록담;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
    • /
    • 2021
  • Eumsikjeoljo (integrity with food) originally came from the Andong district, where the Goseong Yi clan inherited a cookbook from their ancestor Lee Jeong-Rong (1798~1871). The cookbook was written in an antiquated style and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e year 1865. Details of the era and authorship are seldom available for the extant ancient cookbooks. The authors of these books and the period during which these books were precisely written were studied through the Eumsikjeoljo which is a repository of 46 cooking disciplines. Of these 10 deal with the practice of traditional Korean crispy snack making, 4 with rice cake making, 3 of the yeonbyeong kind, 19 examples of Korean side dish making, 6 recipes of the kimchi variety, 2 examples of paste-based recipes, and 2 instances of instructions on how to make vinegar-based extracts. Also, in Eumsikjeoljo, there are descriptions of 29 different ways to brew rice wine. Of these, Danyang wine among the Leehwa wines and 13 others account for over 44% of the content. Leeyang wine and Sogok wine are represented by 10 different varieties and constitute around 34% of the entries. Samyang wine and Baek-il wine, along with 6 others, constitute 21% of the entries. The secret recipes of the Goseong Yi clan in the Andong district were recorded so that they could be transferred to the descendants of the clan. An inspection of the recipes and wine brewing techniques recorded in Eumsikjeoljo provides a clearer picture of the mid-1800s Andong noble family's traditional food habits and simultaneously sheds light on the late Joseon dynasty's food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