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liquor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이용한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by using Paecilomyces japonica)

  • 이대형;김재호;김나미;박정식;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2-146
    • /
    • 2002
  •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이용한 새로운 약용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알콜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1.0%의 눈꽃동충하초를 함유한 덧밥에 코지를 10%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모를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5일간 발효 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눈꽃동충하초를 0.1%, 0.5%, 1.0%, 2.0%씩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동충하초 민속주들의 관능검사와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눈꽃동충하초를 0.1% 첨가하여 제조한 D-1 눈꽃동충하초 민속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혈전용해활성과 아질산염 제거 작용이 각각 11.2U와 19.8%로 대조구인 동충하초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민속주보다 우수하였다.

전통주의 우수성과 산업화 방안 (The Superior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 Methods)

  • 배상면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4권1호
    • /
    • pp.9-12
    • /
    • 1999
  • The effect on the promotion of health by the proper drinking of traditional alcohols was presented. It was proved t fat proper extents of drinking reduce lethal rate and improve physical body condition. The anti- carcinogenic effect of traditional wine from K company was also revised. The destination of traditional wine approached by the use of unprecooked method was also suggested as one of various models which produce excellent products. The diversity for a future survival should be acquired by sterilized Takju, various traditional wines, Liquors, and Soju of wine remainder. The opera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museum was also revised.

  • PDF

시판 전통주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 류희영;금은주;배경화;김영관;권인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8-244
    • /
    • 2007
  • 국내 전통주의 품질 우수성 및 유용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판 전통주의 이화학적인 성분들을 분석하고, 알코올을 제거한 전통주 농축액의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트롬빈 저해에 따른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국내의 시판 탁주($T1{\sim}T3$), 약주썬주($Y-l{\sim}Y-5$), 과실주(F-1) 및 소주(S-1, S-2)를 대상으로 성분 분석 결과, 사용된 발효기질 및 첨가된 약용식물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Y-3, Y-4, Y-5 및 F-1에서 높은 함량의 환원당,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용 생리활성 활성을 평가한 결과 Y-3, Y-4, Y-5 및 F-1에서 강력한 항세균 활성과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DPPH 소거능은 F-1에서만 미약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항세균 활성의 경우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에 대해서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 및 음성세균 모두에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Y-3, Y-4, Y-5 및 F-1 전통주 농축액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순차적 활성분획 결과,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이 모두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항혈전 활성의 경우 Y-3, Y-4 및 F-1에서는 aspirin보다 더욱 강력한 트롬빈 저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통주의 발효과정 중 첨가한 발효기질 및 약용식물로부터 다양한 물질이 용출, 생성 및 수식되어 유용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국내 전통주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의 생산도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다소비 식품의 식품첨가물 사용 실태조사 (The Survey on Food Additive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 서계원;양용식;조배식;강경리;김종필;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2-148
    • /
    • 2008
  • 2007년 3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에 소재하는 재래시장과 할인마트에서 구입한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 전통 막걸리 판매점 등에서 구입한 탁류 23건, 모두 117건을 구입하여 식품첨가물인 이산화황, 타르색소와 인공감미료를 조사하였다.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에서 이산화황을 조사한 결과 17건에서 $11.5{\sim}4,452.3\;mg/kg$이 검출되었으며, 식품공전의 기준을 적용한 결과 건조과실류인 대추채 2건이 각각 2,476.6 mg/kg, 4,452.3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하였고, 중국산 건방울 토마토에서 88.9 mg/kg, 국내산 건호박에서 1,653.7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되었다. 또한, 주류 23건을 구입하여 인공감미료와 타르색소를 검사한 결과, 탁주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인공감미료인 삭카진나트륨이 2건에서 0.4 mg/kg, 11.1 mg/kg이 검출되었으며, 합성 착색료로 주류에서 많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황색5호 등 타르색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Purple-fleshed Sweet Potato)

  • 한규흥;이주찬;이가순;김재호;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3-677
    • /
    • 2002
  •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알콜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다. 20%의 중자 자색고구마를 함유한 덧밥에 누룩을 10% 첨가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모를 첨가한 후 $25^{\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켰을 때 가장 많은 15.4%의 에탄올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10%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25^{\circ}C$에서 10일 발효시켰을 때도 약 14.8%의 에탄올이 생성되어 경제적 측면에서 이 조건을 발효 최적 조건으로 하였다. 위의 발효조건으로 중자 자색고구마를 각각 5%, 10%, 20%, 50%, 75% 첨가하여 민속주를 제조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중자 자색고구마를 10% 첨가하여 제조한 PSP-10 자색고구마 민속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색상도 적색${\sim}$분홍색으로 우수하여 이들 알콜 생성량과 기호도를 종합하여 PSP-10 자색고구마 발효주를 최종 자색고구마 민속주로 선정하였고, 선정된 민속주의 생리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혈전 용해활성과 전자공여능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이 다른 자색고구마 발효주와 자색고구마 wine보다 우수하였다.

인삼 민속주의 제초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Liquor)

  • 김효진;이주찬;이가순;전병선;김나미;이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74-78
    • /
    • 2002
  • 인삼을 이용한 고부가가차의 생리 기능성 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신동진쌀, 대산쌀, 일품쌀, 농호쌀, 남강쌀 등에 인삼을 덧밥 기준으로 각각 1%, 4%, 8%씩 첨가한 다음 주모를 가하여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약 14.0%~15.6%의 에탄올이 생성되었고 쌀 품종간의 에탄을 생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호도와 색상은 일품쌀에 인삼을 4%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 민속주가 제일 우수하였고 고혈압 예방에 관련된 ACE 저해활성이 약 80.8%로 높았다. 또한 일품쌀 4% 인삼 민속주는 0.53%의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를 이용한 전통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활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 김재호;이승환;김나미;최신양;유진영;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67-371
    • /
    • 2000
  •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traditional liquor using dandelion,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was investigated. Etha-nol was produced maximally when 10% dandelion and 5% nuruk were added in cooked rice and fermented by S. cerevisiae at $25^{\circ}C$ for 10 days. The taste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of dandelion liqu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1%, 5%, 10%) of dandelion petal were compared. The dandelion-petal liquors which was brewed by addition of 1% dandelion petals into mash showed the best acceptability and i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also hig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