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y sauce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8초

간장 부패균의 생육에 미치는 Astradix-P의 영향 (The Effect of Astradix-P on the Growth of Yeast for Putrefing Soy Sauce)

  • 이귀주;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1
    • /
    • 1974
  • 항효모성 물질인 Astradix-P가 간장 유해효모에 대해서 나타내는 항균효과를 조사한 바 통상적인 효모배지에 유효농도의 Astradit-P를 첨가하였을 때는 효모의 증식이 조해되나 간장을 첨가한 효모배지에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본 Astradix-P가 간장부패에 대한 보존효과는 전연 기대할 수 없다고 본다. 이와같이 간장에 Astradix-P를 첨가하여도 그 효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간장중에 함유되어 있는 basic amino acid 인 arginine, histidine, lysine 등이 Astradix-P에 길길적으로 작용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결과라고 추측된다.

  • PDF

간장 Model System에서 산소의 갈변촉진효과 (Stimulatory Effect of Oxygen on the Browning of a Soy Sauce Model System)

  • 박승규;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23-525
    • /
    • 1991
  • 18%의 염용액에 glucose와 glycine을 혼합하여 만든 간장 model system에서 산소가 갈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간장 model system을 혐기적으로 저장하였을 때에는 갈변이 $13.2\;OD_{490}$이었던 것에 비해 호기적상태에 저장하였을 때는 $27.0\;OD_{490}$으로서 약 두배의 갈변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산소의 존재가 갈변을 촉진시키는 현상은 유기산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도 마찬 가지였다.

  • PDF

새우 부산물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조은혜;김경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4-196
    • /
    • 2011
  • 본 연구는 새우 육을 분리하고 남은 부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에서 추출한 향기성분을 이용하여 상품 가치를 극대화하고 특별하고 독특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소스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인 장어뼈를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와 새우 부산물 데리야끼소스의 비교에서 주재료는 동일시하고 간장을 다르게 첨가해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평가 비교에서는 국내산 M간장으로 제조한 소스가 일본산 G간장을 이용한 소스보다 단맛과 어취가 다소 강하게 나타났으며 짠맛, 쓴맛은 일본산 G간장을 사용한 소스가 더 강하였지만 소스의 표면 광택과 간장 자체에 대한 향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국내산 M간장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韓國) 재래식(在來式)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의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 권오진;김종규;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422-428
    • /
    • 1986
  • 간장과 된장 중에 서식하는 세균이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의 독특한 향기와 주 맛성분인 아미노산과 유리당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연구하였다.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 중에서 분리된 세군은 모두 Bacillus species이였다. 분리균은 각각 메주향, 한국 재래식 간장의 독특한 향인 짠 간장향 및 된장향을 생성하고, protease와 amylase 를 생성하므로 한국 재래식 간장 및 된장의 맛과 향기 생성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특히, B. licheniformis인 $SSB_3$는 좋은 짠 간장향을, B. polymnxa인 $SSB_4$, Bacillus sp. 인 $SPB_1$, B. brevis인 $SPC_2$ 및 B. lichemiformis인 $SPC_{2-1}$은 구수한 된장향을 각각 생성하였고, protease와 amylase도 상당수준 생성하였다.

  • PDF

표고버섯이 함유된 간장의 발효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우강융;이승철;장덕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20-224
    • /
    • 2003
  • 고품질 간장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표고버섯을 첨가하여 담금한 간장덧을 18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발효기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한 표고버섯의 양은 총질소의 변화 양상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발효 중 간장덧의 pH는 담금 초기에 5.5부근이다가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여 6개월 후에는 $4.7{\sim}4.9$이었으며, 버섯이 함유된 경우에서 pH가 낮게 측정되었다.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다가 90일경에 다시 증가하고 그 이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표고버섯 첨가에 따른 차이는 발효기간 동안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과 총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6개월 숙성 후에 5% 표고버섯 첨가구에서 각각 31.74 mg/100ml과 19.01 mg/100 ml이었다.

Improvement of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Seasoned Pork and Formula Development of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with Doenjang and Onion Us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 Oh, Hyun-Ju;Kim, Chang-Soon;Chang, Duk-J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72-779
    • /
    • 2008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and onion added in the seasoned pork, bulgogi was evaluated and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ingredients in seasoning sauce has been established us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MED). When the seasoned pork, bulgogi was prepared with soy sauce 12% (control), doenjang 9% (in replacement of soy sauce 9%) added group (DG), and doenjang 9% and onion 33.4% (in replacement of water 33.4%) added group (DOG), and stored at $-25^{\circ}C$ for 6 months, the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of control, DO, and DOG were all lower than that of control from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easoned pork was found to increase with the replacement of doenjang in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Moreover, antioxidative effects in DOG increased more synergistically. Therefore,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pork bulgogi wa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doenjang and onion onto the seasoning sauce.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followed up by the MED was found to be doenjang 7.10%, soy sauce 9.46%, onion 19.72%, and water 42.58% with excellent sensory quality.

헛개(Hovenia dulcis Thunb)추출물 첨가 조미간장 개발을 위한 관능적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Hutgae(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 원새봄;오경희;정수영;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6-27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soy sauce containing Hutgae(Hovenia dulcis Thunb). Aqueous extracts of Hutgae were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such as trunk, twig, and fruit. These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antioxidant effect by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Hutgae twig and fruit extracts had a strong DPPH scavenging effect compared to Hutgae trunk extract. In sensory analysis, high intensities of roast smell, bitter taste, and astringent taste were observed in Hutgae twig extract, whereas those of sweet smell and sweet taste were predominated within Hutgae fruit extract. Hutgae trunk and fruit extracts obtain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Various seasoning items such as anchovy, dried-pollack, katsuobushi, shiitake, radish, and kelp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itable type of soy sauce containing Hutgae extracts regarding the different parts. Hutgae fruit and trunk extracts were evaluated for use as a good source of seasoned soy sauce, and the dried-pollack and radish among the seasoning items were well-matched with Hutgae extracts. From these results, soy sauce containing Hutgae trunk and fruit extracts added to dried-pollack soup may be used as a functional seasoning in order to remove hangovers.

간장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 (제 7 보) -Saccharomyces rouxii $T_9$을 이 용한 간장의 발효시험-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Part 7) -Industrial utilization of Saccharomyces rouxii $T_9$ in the brewing of soy sauce-)

  • 이택수;이석건;주영하;신보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21-129
    • /
    • 1971
  • 공업적으로 간장을 담금하여 발효숙성시킬때 Saccharomyces rouxii $T_9$을 배양하여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 발효덧중의 효모의 동태와 성분의 소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효모첨가구의 간장덧 1ml중에 존재하는 내염성효모수는 담금 1개월 경과후에 $185{\times}10^3$개였으며 담금 4개월 경과후에 $750{\times}10^3$개로 나타난데 비하여 효모무첨가구의 내염성효모수는 담금 1개월경과후에 $98{\times}10^3$개였으며 담금 4개월 경과후에 $394{\times}10^3$개로서 효모첨가구의 경우 무첨가구의 약 2배로 나타났다. (2) 효모첨가구는 담금 $5{\sim}6$개월덧 1ml중에 TTC red군의 일반효모수가 $2132{\times}10^3{\sim}3252{\times}10^3$개로 나타난데 비하여 효모무첨가구는 $752{\times}10^3{\sim}1251{\times}10^3$개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면 red pink군과 pink군의 효모도 무첨가구에 비하여 첨가구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3) 효모첨가구나 무첨가구공히 담금 1개월 경과후부터 6개월까지 TTC red군의 효모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4) 간장덧즙액중의 총질소, pH, 순고형물, 완충능동은 효모첨가구와 무첨가구간의 큰차가 없었으나 Alcohol과 색도는 효모첨가구가 월등히 높았으며 유리환원당은 효모무첨가구가 높았다. (5) 관능시험한 결과 효모첨가구와 무첨가구간의 맛의 양부차는 뚜렷하지 않었으나 외관및 향기의 면에서 효모첨가구가 월등히 우수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