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red pine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4초

실내식물과 소나무의 오존에 대한 광합성 능력, 항산화 효소의 활성, 해부학적 반응 (The Effects of Ozone on Photosynthesis,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and Leaf Anatomical Response in the Indoor Plants and Japanese Red Pine)

  • 이주영;제선미;이성한;우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601-607
    • /
    • 2013
  • 오존에 따른 피해 현상을 관찰해 보고 식물 수종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실내식물 가운데 많이 활용되는 스파티필름(Spathiphyllum patinii),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의 항산화 효소인 GR(Glutathione Reductase), APX(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 광합성속도와 잎의 해부학적 피해 현상을 관찰하였다. 오존농도는 30 ppb로 유지했고, 50일 동안 하루 8시간(09:00~17:00) 오존을 처리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오존 농도가 30 ppb정도의 낮은 농도에서 소나무는 광합성속도, 수분이용효율, 항산화 효소의 활성, 잎의 해부학적인 특성에서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실내식물인 스파티필름과 스킨답서스의 광합성속도, 항산화 효소의 활성(특히, GR의 활성), 잎의 해부학적 특성이 대조구와 오존 처리구간의 상당한 차이를 보여, 오존에 대한 민감성이 소나무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 엄안흠;조용찬;신현철;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85-192
    • /
    • 2004
  • 속리산 국립공원의 산지에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군락의 자연적 과정을 통해 성립된 식생과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로 이루어진 인위적으로 조성된 식생이 성립하고 있다. 한편, 하천 주변의 저지대에는 농경지, 주거지, 상업시설 등으로 이루어진 개발지가 분포하고 있다. 식생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행정구역상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과 경북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공원구역 남부 약 1/3 지역은 자연성과 식생의 다양성이 높았지만 청천면 및 칠성면에 속하는 나머지 지역은 그 대부분을 소나무림이 차지하고 조림지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 식생의 다양성과 자연성이 모두 낮았다. 조사된 식분율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분의 배열은 고도, 사면 등의 지형요인과 그것에서 비롯된 수분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었다. 주요 목본식물의 직경 급별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식생의 동태를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의 식생은 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이 중심을 이루는 식생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그러나 교란의 발생과 그것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고려하면, 이러한 판단은 실제와 다소 차이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속리산 국립공원의 보전전략이 경관생태, 주요 식물군락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소나무 풍매차대묘(風媒次代苗)의 가계간(家系間) 오존에 대한 민감성(敏感性) 반응(反應) (Response of Ozone Sensitivity in Open-Pollinated Famili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장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91-196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 90가계를 대상으로 오존에 대한 민감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공광형 생장상에서 100 ppb의 오존을 5개월간 처리하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 근원경 생장 및 개체건중량 등을 조사하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는 내성그룹이 1.9%인 반면 민감성 그룹은 15.20%로 나타났다. 상대근원경 생장비는 내성그룹이 12% 생장한 반면, 민감성 그룹은 23%의 생장 감소를 보였다. 개체 건중량에서도 내성그룹은 17%의 증가를 보였으나 민감성 그룹에서는 33%의 감소를 보였다. 수체 부위별로는 뿌리부분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모든 조사 요인을 표준화한 결과 강원 4, 16, 26, 27, 73호가 오존에 대한 내성 가계로 나타났고, 강원 40, 52, 83, 경기 1, 경북 20호 등이 민감한 가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계수준에서 그룹간에 민감성의 차이로 보아 오존에 대한 유전적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오존에 대한 가시적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고, 근원경 생장과 건중량의 감소율이 낮은 내성그룹이 확인되었다.

임목성장(林木成長)의 예측(豫測)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Tree Growth)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0
    • /
    • 1969
  • 강원도산(江原道產) 소나무의 성장과정(成長過程)을 파악(把握)하기 위(爲)하여 207본(本)을 벌채(伐採) 수간석해(樹幹析解)하여 재적성장율(材積成長率), 수피율(樹皮率), 직경성장율(直徑成長率)과 재적성장율(材積成長率)과의 관계(關係)등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재적성장율(材積成長率)은 령급(令級)의 증가(增加)에 따라 점차감소(漸次減少)하며 벌기(伐期)에 도달(到達)할 때는 약(約) 3% 가량(可量)됨을 발견(發見)하였다. 2. 수피율(樹皮率)은 령급(令級)이 커지면 점차감소(漸次減少)하지만 감소율(減少率)은 극(極)히 적어서 그 차(差)가 별(別)로 없음을 발견(發見)하였다. 즉(卽) 령급(令級)에 관계(關係)없이 거의 일정(一定)하리라 생각(生覺)된다. 3. 직경성장율(直徑成長率)은 령급(令級)의 증가(增加)에 따라 점차(漸次)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은 위와 같으나 유령급(幼令級)에서는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고 노령급(老令級)으로 됨에 따라 감소율(減少率)이 점차(漸次) 적어져서 거의 일정(一定)하게 될 것이라 추측(推測)된다. 4. 직경성장율(直徑成長率)과 재적성장율(材積成長率)의 관계(關係)를 구(求)한 결과(結果) 그 비(比)는 령급(令級)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지만 증가율(增加率)은 극(極)히 적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임분재적성장율(林分材積成長率)을 직경(直徑)의 함수(凾數)로 나타낼 때 그 상관비(相關比)는 일정(一定)하지 않고 증대(增大)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特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II) 유령목(幼齡木)의 생장(生長)에 따른 구성호흡(構成呼吸)과 유지호흡(維持呼吸) (Studies on Chara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 (II). Constructive and Maintenance Respiration as Related to Growth of Saplings)

  • 한상섭;장준근;김선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21-228
    • /
    • 1994
  • 소나무 유령목(幼齡木)의 생장(生長)에 따른 기관별(器官別) 호흡속도(呼吸速度)를 적외선(赤外線) $CO_2$ 가스 분석기(分析機)로 측정(測定)하여, 이 기초자료(基礎資料)를 Thornley의 생장식(生長式) $$R=(\frac{1-Yg}{Yg})\frac{dW}{dt}+mW$$에 적용(適用), 구성호흡(構成呼吸)에 관계되는 물질전환효율(物質轉換效率)(Yg), 유지호흡계수(維持呼吸係數)(m), 그리고 상대생장속도(相對生長速度)(${\mu}$)를 추정(推定)하였다. 물질전환효율(物質轉換效率) Yg는 0.3637g/g dw/yr, 유지호흡계수(維持呼吸係數) m는 0.094g/g dw/yr, 그리고 상대생장속도(相對生長速度) ${\mu}$는 0.90(2년생(年生))에서 0.33(11년생(年生))까지 연령(年齡) 증가(增加)에 따라 현저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소나무 유령목(幼齡木)의 총광합성량(總光合成量)(Pg)에 대한 총호흡량(總呼吸量)(R)의 비율(比率)(R/Pg)은 0.6~0.7 이었으며, 년간(年間) Pg의 64%가 새로운 물질(物質)을 구성(構成)하는 구성호흡(構成呼吸)으로 소비(消費)되었고, 체중(體重)(건물중(乾物重))의 3.4%가 유지호흡(維持呼吸)으로 소비(消費)되었다.

  • PDF

국내 기계등급구조재의 허용응력 분석 (Analysis of Allowable Stresses of Machine Graded Lumber in Korea)

  • 홍정표;오정권;박주생;한연중;방성준;김철기;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56-462
    • /
    • 2015
  • KS F 3020-침엽수구조용재 기준에 따라 국산 소나무(Pinus densiflora) $38{\times}140{\times}3600mm$ 구조용 제재목 365개에 대하여 기계등급구분을 실시하고, 휨허용응력을 산출하여 현재 적용되는 KS기준허용응력과 비교 분석하였다. 휨허용응력 계산을 위하여 5% 휨강도 하한값을 75% 신뢰수준의 비모수적 방법, 2-parameter 그리고 3-parameter Weibull 분포를 가정한 모수적 방법, 휨강도-휨탄성계수 직선회귀 방법, 총 4가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기계등급 E8, E9, E10 만이 비모수적 방법의 통계 처리가 가능한 자료 수를 얻었으며, 휨강도-휨탄성계수 직선회귀 방법은 이론적으로 모든 등급에 대한 5% 하한값 결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결정된 등급별 휨허용응력은 기준허용응력에 비하여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과소설계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현행 기계등급구분체계의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구조설계 신뢰성과 관련하여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휨강도-휨탄성계수 조합 등급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소나무 원목의 열처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Heat Treatment of Red Pine Log)

  • 엄창득;한연중;신상철;정영진;정찬식;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50-5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병해충 감염목의 열처리 조건으로 목재 중심부 온도를 $56^{\circ}C$에서 30분 이상 처리해야 한다는 FAO 열처리 기준(International standards for phytosanitary measures (ISPM) No. 15)을 적용하여 소나무 재선충 감염의 확산을 막고 감염목을 용재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국산 소나무의 열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온도와 습도 및 함수율별 열처리속도 측정을 통하여 목표온도 도달시간을 분석하고 소비에너지를 평가하여, 열처리 공정 적용 기술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열처리 시 함수율이 높을수록, 직경이 클수록 열처리 소요시간과 소요에너지가 증가하였고, 고온 고습 조건이 열처리 소요시간을 단축시켰다. 열처리기 현장투입 시 적절한 열처리공정 제어를 위해서는 열악한 주위환경 조건, 처리기 가동성능의 변화, 고습적용이 불가능한 상황 등을 고려한 다양한 온도 습도 조건에서의 가열과 냉각 시 소비되는 에너지 평가와 소요시간 예측이 필요하다.

향미유 제품에 대한 추출 용매별 로즈마리 추출물의 저장 안정성 향상 효과 (Increasing Effect on Storage Stability of Rosemary Extracts used for Various Solvent System on Seasoning Oils)

  • 이장우;안영순;홍영표;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1-278
    • /
    • 2006
  • RPSO, SO, PNO의 3종 향미유에 대하여 로즈마리 유기 용매 추출물과 비교군으로 토코페롤을 각각 1,000ppm씩 동량으로 적용하여 60${\pm}$2$^{\circ}C$의 항온기에 저장하여 AV, POV 및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였다. 이들 향미유의 AV, POV측정 과정에서는 고유의 색상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토코페롤은 AV, POV,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 등 각종 측정 항목에서 항산화제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산화 촉진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chloroform/MeOH 추출물 처리의 저장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측정 항목 및 추출물별 저장 안점성의 향상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AV는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으며, POV는 chloroform/MeOH 추출물>ethyl alcohol추출물${\geq}$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geq}$열수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고,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은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cetate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의 순이었다.

목재 내 Copper Azole 보유량이 목재부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pper Azole Retention Level to Wood Decay)

  • 이현미;손동원;이한솔;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12-121
    • /
    • 2015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압주입 처리용 구리 붕소 아졸화합물계의 목재 방부제 Copper Azole (CuAz)의 목재내 주입량별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 주입량으로 CuAz-2 방부제를 가압주입한 시편을 이용하여 갈색부후균인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방부효력시험을 실시한 후 질량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CuAz-2 처리 시편을 부후개떡 버섯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무처리재는 40% 이상의 질량감소율을 보여주었고 실내 부후에 의한 CuAz-2 약제의 방부효력을 나타내는 값은 $1.79{\sim}3.32kg/m^3$이었다. CuAz-2의 주입량에 따라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에서의 목재조직은 무처리 시편과 비교하여 부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횡단면에서는 조재와 만재부분에서 수직수지구, 방사조직의 부후가 많이 관찰되었고, 방사단면에서는 방사가도관, 방사유세포, 벽공 부분이 부후되어 파괴되었고, 접선단면에서는 방사조직, 수평수지구가 심하게 부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입량에 따른 부후 현상이 크게 차이가 난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CuAz-2 주입량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국내 환경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Allometric Equations of Crown Fuel Biomass and Analysis of Crown Bulk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 이병두;원명수;김선영;윤석희;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91-396
    • /
    • 2010
  • 수관화 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소나무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관 부위별로 연료량을 추정할 수 있는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 수관연료밀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0본의 소나무를 벌채하고, 수간, 가지, 잎 부분의 고사여부와 가지의 굵기 별로 구분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D)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H)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평균적으로 추정식 lnWt=${\alpha}+{\beta}lnD+{\gamma}lnH$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_{adj}$=0.835-0.996)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았지만(SEE=0.074-0.638), 잎과 작은 가지 항목에서는 추정식들간 결정계수 및 표준추정오차의 차이가 미미하였다. 각 부위별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수관연료 밀도는 잎만을 고려했을 때 0.067 kg/$m^3$, 잎과 직경이 0.5 cm 이하인 가지까지 포함했을 때 0.097 kg/$m^3$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이 증가함에도 잎과 잔가지 부위의 수관연료밀도 증가폭은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