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red pine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32초

중심부분 엔드코팅처리가 국산 소나무와 잣나무 중목구조부재의 고온저습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d-coating Around Pith of Heavy Timbers of Red Pine and Korean Pine on High-temperature and Low-humidity Drying Characteristics)

  • 이창진;이남호;엄창득;신익현;박문재;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21-23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심부분 엔드코팅처리가 소나무와 잣나무 중목구조부재의 고온저습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조에 소요된 시간은 총 268시간 이었으며, 최종함수율은 소나무의 경우 정각기둥재와 원주기둥재 모두 9.2~10.8%, 잣나무 정각기둥재 15.0~22.0%, 원주기둥재 12.8~20.4% 범위로 조사되었다. 소나무재의 경우 함수율 분포가 균일한 반면, 잣나무재는 부분적으로 고함수율 부위가 존재하였다. 재면할렬은 잣나무가 더 많이 발생되었으며, 부분엔드코팅처리는 재면할렬 예방에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부할렬은 두 수종 모두에서 발생되었다. 표면경화율은 소나무재 3.7~9.1%, 잣나무재 20.9~35.8%로 경미한 크기의 잔류응력이 존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서 변재변색 발생 (Development of Fungal Sapstain in Logs of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 김규혁;김재진;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28-133
    • /
    • 2002
  • 본 연구는 동절기(1월 중순)에 벌채된 후 목재집하장으로 운반되어 야적장에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을 대상으로 변재변색의 발생시기와 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벌채 후 3, 4, 5, 6, 8개월 경과시 변색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매 평가시 원목 3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원목당 수축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7~9개의 두께 3 cm 원판을 채취하여 변색 원인균을 분리한 후 변재변색의 방사방향 최대 침투깊이와 % 변색율을 측정하였다. 변재변색은 전적으로 충형변색이었으며, 주요 변색원인균인 Ophiostomatoid 균을 매개하는 수피천공충은 소나무좀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은 5월 이전까지는 변재변색의 위험없이 저목할 수 있으나 5월 이후부터는 원목의 변재변색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변색의 정도는 소나무보다 잣나무에서 심하였으며, 장마철 저목 중에 소나무 원목에서 개떡버섯과 치마버섯의 자실체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앞으로 동절기에 벌채되어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 발생하는 변재변색을 예방하기 위한 제반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고성, 홍천 및 봉화군)에 따른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Goseong, Hongcheon and Bonghwa-gun))

  • Kim, Min-Ji;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37-448
    • /
    • 2018
  • 본 연구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군), 영서(홍천군), 영남(봉화군) 세 지역 간 소나무의 재질차이의 유무를 알기위해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건함수율 및 생재함수율(인위적)의 산지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중은 심재부와 변재부에서 봉화군 소나무가 두 산지보다 높았으며, 고성군과 홍천군 소나무 사이에는 심재부에서는 고성군 소나무가 높고 변재부에서는 홍천군 소나무가 고성군 소나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재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고성군 소나무가 강도적으로 홍천군 소나무보다 클 것으로 판단된다. 수축율은 방사방향의 경우 산지 간 차이가 없고, 접선방향의 경우는 가도관장이 긴 봉화군 소나무가 높게 나타났다. 흡습율은 산지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소나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육종적으로 좋은 재질의 품종생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I.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예측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I. Prediction of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under Different Air Drying Conditions)

  • HAN, Yeonjung;CHANG, Yoon-Seong;EOM, Chang-Deuk;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32-750
    • /
    • 2019
  • 천연건조 중 목재의 함수율 변화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15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를 수행하였다. 초기함수율이 68.7%인 6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여름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88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7.4%이었다. 초기함수율이 35.8%인 9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겨울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76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6.0%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말구지름, 온도, 상대습도, 풍속을 독립변수로 결정하고, 천연건조 중 감소한 함수율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결정계수 0.925의 회귀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특성인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이 기상조건인 온도, 상대습도, 풍속에 비하여 천연건조 중 함수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의 분포 및 함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물질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조일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수분확산계수 및 표면방사계수를 결정하는 기상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2가지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2가지 적용 방법의 오차는 0.1 - 0.8%의 범위였으며, 측정값과의 차이는 2.2 - 3.6%의 범위였다. 다양한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을 측정하고, 각각의 기상조건에 대한 목재 내 수분이동계수를 산출하면 예측모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중회귀분석법에 의한 소나무, 곰솔 및 리기다소나무의 상대성장 비교 (Comparisons on Relative Growth of Red Pine, Black Pine and Pitch Pine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 박만춘;이윤근;최기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5-3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red pine(Pinus densiflora), black pine(Pinus thunbergii) and pitch pine(Pinus rigida)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according to Graybill hypothesi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s of rainfall have affected to tree growth during the periods of 1975 through 1978. 2. Among these pine trees, red pine was most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3.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was sensi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s of rainfall and air temperature. 4. Among the heavy metals analyzed, the concentrations(ppm) of Lead(Pb) and Copper(Cu) were negatively effected on the growth of annual ring width of pine trees. 5. The analytical technique of annual ring width may be useful for estimation of the pollution in forest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es.

국산 침엽수재의 재색변화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lor Changing Technology for Domestic Softwood)

  • 강호양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6-162
    • /
    • 2008
  • Three major domestic softwoods, Korean red pine, Korean pine and larch, were heat-treated at $220^{\circ}C$ and for various treatment times for color changing. A new heat treatment equipment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was revealed working well for changing the colors of the three softwoods. The color difference index of 15 was obtained after 8 hours for Korean red pine and Korean pine, and 10 hours for Larch. The correlations of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ith treatment time were different between species.

  • PDF

남산과 광릉지역 소나무림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과 토양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Fertilizers on Was Content, Contact Angl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and Soil Acidity of Japanese Red Pine Communities in Na)

  • 최기영;이용범;조영렬;이경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5-262
    • /
    • 1996
  •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된 산림쇠퇴에 대한 회복책의 하나로 1990년 1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3년에 걸쳐 서울시 중심에 위치한 남산과 광릉지역의 소나무 우점종인 군집에 석회, 마그네슘, 석회+마그네슘+ 복합비료를 시용한 후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 토양의 산도를 분석하여 시비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산, 광릉지역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및 접촉각값은 토양시비에 따라 증가하였고, 엽령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값은 작아졌다. 2. 소나무잎의 K, Ca 함량은 남산에서 높았으나, Mg 함량은 광릉지역에서 높았다. 소나무잎의 K, Mg 함량은 남산과 광릉 모두 시비가 계속됨에 따라 증가하여 시비의 효과가 나타났다. 3. 토양산도는 남산지역이 pH 4.2$\sim$4.3, 광릉지역이 pH 4.6$\sim$4.9이였고, 토양시비처리에 따른 토양 산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토양시비처리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시비구에 비하여 시비처리구의 토양 pH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for Red Pine Containing Knots Using Flexural Vibration Techniques

  • Byeon, Hee-Seop;Ahn, Sang-Yeol;Park, Han-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5호통권133호
    • /
    • pp.13-20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flexural vibration techniques as a means of predicting bending strength properties for quarter-sawn and flat-sawn planes of red pine containing knots.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MOE_d)$ was calculated from resonance frequency obtained from the flexural vibration induced by a magnetic driver in quarter-sawn and flat-sawn planes of red pine containing knots. The dynamic MOE were well correlated to bending strength properties.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866 to 0.800 for the regression between dynamic MOE and static bending MOE or MOR. The difference of the values between quarter-sawn and flat-sawn was very small.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correlation between percentage of total knot diameter to total width of red pine specimen $(K_T(%))$ as well as $K_O(%)$ base upon ASTM D 3737 and static bending strength properties (correlation coefficient r = 0.448~0.704), and were similar to those between static bending MOE and bending MOR (r = 0.85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ynamic MOE obtained from resonance frequency induced by flexural vibration of magnetic driver is able to effectively use for predicting of static bending strength of red pine containing knots as well as static MOE.

Fungi Colonizing Sapwood of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 Kim, Jae-Jin;Ra, Jong-Bum;Son, Dae-Sun;Kim, Gyu-Hyeok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05-209
    • /
    • 2001
  • The Korean sawmills have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fungal discoloration due to increased losses in revenue. Before establishing integrated control strategies of fungal discoloration, more complete knowledge about causal organisms is needed. As a first step, we initiated a through survey of fungi colonizing commercially important softwood(Pinus dens flora, Pinus koraiensis, and Pinus radiata) logs and lumber in Korea. In this paper we report results obtained from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log study. In summer 2000, fungi were isolated from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595 fungi were isolated, representing 21 genera and 30 species. Mold fungi, mostly Trichoderma species,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ing fungi, representing more than half of all isolates. Dematiaceous fungi represented approximately one fifth of the isolates, and Rhinocladiella atorvirens was the most abundant in all samples. Opiostoma species represented 7% of all isolates from cores planted on malt extract agar(MEA) and the incidence of these species doubled with the addition of streptomycin and cycloheximide to MEA. The results indicate that Japanese red pine sapwood is susceptible to colonization by a variety of fungal species. As a result, control strategies that concentrate on one fungus may have limited success because of interference from competing flo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