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olitical reform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5초

미국 의회 의사규칙의 역사적 진화와 이론적 쟁점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U.S. House: Reforms in Legislative Rules)

  • 류재성
    • 의정연구
    • /
    • 제15권2호
    • /
    • pp.35-6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연방 하원에서의 의사규칙 변화를 역사적으로 개괄·분석하고, 그 변화의 방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의회 의사규칙의 입법 과정 및 입법 결과에서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입법 구조 및 과정을 포함한 의회 운영에 있어 산적한 개혁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 국회의 의회 개혁방향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는 미국 건국 초기부터 최근까지의 의회에서의 일련의 주요한 개혁 내용을 일별한 후, 하원에서의 상임위원회와 정당 리더십 사이의 권한 배분의 동학에 대해 논의하고, 정치적 안정, 소수당 권리의 보호, 법안 심의의 숙고 등을 중심으로 의회 개혁을 평가하도록 한다.

미군정하 한국 복지체제, 1945~8: 좌절된 혁명과 대역전 (Capitalist Welfare Regime in US Military Government, 1945-1948)

  • 윤홍식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181-215
    • /
    • 2017
  • 본 연구는 미군정시기 분배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복지체제의 기원이 미군정시기의 정치와 경제질서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밝혔다. 1960년대 계급의 이해로부터 자유로운 개발국가의 탄생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미군정기를 사상하고는 상상할 수 없다. 미군정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을 물리력으로 해체시키고, 좌파 정치세력에게 괴멸적 타격을 가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군정은 1945년 8월 해방 당시 좌파가 지배적인 한국의 정치지형을 우파가 지배적인 정치지형으로 완전히 전환시켰다. 더욱이 조선 민중 대다수가 바라던 사회(민주)주의 대신 미국식 자본주의를 이식시키는데도 미군정의 물리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농지개혁을 통해 전통적 지주계급을 몰락시키고, 혁명적 농민들을 보수적인 농민으로 전환하고, 일본인이 소유했던 공장들의 배분을 통해 국가에 종속되는 새로운 자본가 계급을 탄생시켰다. 복지체제의 관점에서 미군정 시기의 가장 큰 의미는 미군정이 1960년대 계급의 이해로부터 자유로운 개발국가, 즉 노동력의 상품화에 기초한 한 복지체제가 만들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만든 것이다.

농촌주민의 지역사회조직 참여 실태 분석 (Socio-demographic Heterogeneity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Korea)

  • 박덕병;조영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73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heterogeneity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Ko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1,870 rural householders and housewives who have lived in Up or Myen as an administrative unit of rural communities, and analyzed by the SPSS/PC Win V.10 program.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were frequency and percenti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extent to which rural people have participated in community organizations were: cooperative groups, $80.8\%$; religious groups, $20.6\%$; learning groups, $12.7\%$; political groups, $9.8\%;$ civil groups $6.7\%$; and voluntary groups, $5.3\%$. Whereas the numbers were high f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groups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participation in civil and voluntary groups were lower. Secondly, it showed that people who lived in urbanized and high population density area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groups. The diversity of community organizatio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rurality. Thirdly, farm householder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religious, civil and voluntary groups than non-farm householders. Fourthly,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females, those in the 40 to 50 age group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organizations. Fifthly, even though men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olitical parties, women were more likely then men to agree that women should participate in political parties. This empirical study could support the results of Sundeen (1988) and Wilson and Musick (1997) in that education was related positively to commun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we concluded that community participation in a rural development process has two main considerations: philosophical and pragmatic. This implies that there is room for government to enable and facilitate 'true' community participation. That can be done through policy reform which creates a permissive environment for community decision-making and input, in addition to simply supporting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financial assistance.

  • PDF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한국 (A study on the "lost 10 years" of Japan and Korea)

  • 좌좌목상화;김광수;이유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99-110
    • /
    • 2008
  • 최근 미국발 서브프라임 문제로 세계 각국의 경제가 공황이라고 불릴 정도로 악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한국은 몇 년 전부터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빗대어 이야기 되어졌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경우 어떤 원인과 당시의 상황을 알아보고 한국의 경우 어떤 차이와 유사점이 있는지를 살펴본 후, 일본의 사례를 통해 한국이 취할 교훈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 PDF

한국과 필리핀 건국의 핵심 과제와 대통령(들) 비교: 이승만 대 케손 등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incipal Tasks for State Building and the Presidents of Korea and the Philippines: Syngman Rhee with Manuel Quezon and others)

  • 류석춘;조정기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7권1호
    • /
    • pp.1-52
    • /
    • 2017
  • 이 글에서는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의 식민지였던 필리핀과 패전국의 식민지였던 한국의 건국 대통령을 당시 이들이 건국 과정에서 직면했던 공통의 과제들을 중심으로 비교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건국대통령인 이승만과 필리핀의 자치를 주도하며 커먼웰스 정부를 세운 케손을 중심으로 이후 7명의 대통령의 삶을 두 나라의 건국과정과 교차시키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한국과 필리핀은 독립 혹은 자치 후 미국의 영향을 받아 강력한 권한을 가진 대통령제 중심의 헌법을 채택하였다. 다음, 독립 후 두 국가는 냉전의 최전선에서 반공노선을 기본으로 국가를 운영했다. 나아가서, 두 국가는 반공을 뒷받침하기 위해 농민을 체제 내부로 포섭하기 위한 토지개혁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는 일본의 식민지배 혹은 점령에 따른 유산을 청산하는 문제도 공통적으로 겪었다. 따라서 첫째, 헌법의 제정, 둘째, 반공노선의 확립, 셋째, 토지개혁 문제, 넷째, 일본 식민지 혹은 점령을 청산하는 문제가 각각의 나라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필리핀은 미국의 식민지배 기간인 1935년에 '헌법적 독립'을 이루면서 당시 식민지배를 받고 있었던 아시아의 어느 국가보다 빠른 정치적 발전을 겪었다. 하지만 케손과 오스메냐 등 건국 초기의 국가지도자들은 헌법제정을 제외하고 농민운동으로부터 비롯된 공산주의 운동, 토지개혁과 일본점령 청산 등과 같은 건국의 핵심 과제들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했다. 토지개혁에 실패하면서 소수의 지주가문이 농민을 경제적으로는 물론 정치적으로 지배하게 되었고, 근대적 시민계급이 형성되지 못한 필리핀은 이후 경제적으로는 물론 정치적으로도 후퇴를 거듭하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분단과 전쟁이라는 어려운 상황이 있었지만, 건국대통령 이승만은 위의 당면한 과제들을 미루지 않고 해결하고자 했다. 그 결과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자유민주주의라는 트랙을 깔 수 있었으며 친일청산도 여건이 허락하는 수준에서 이루었다. 특히 농지개혁을 통해 국민국가 형성과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경제의 나아갈 바를 시장경제로 잡아 오늘의 한국 경제를 낳는 대들보를 놓았다. 물론 공과(功過)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다른 나라의 지도자와 비교해, 특히 필리핀의 대통령들과 비교해 건국대통령으로서 국가의 기틀을 잡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에는 틀림이 없다.

복식에 있어서의 근대성의 의미 (Modernity in Costume)

  • 이재윤
    • 복식
    • /
    • 제61권1호
    • /
    • pp.124-131
    • /
    • 2011
  • Modernity is commonly defined as a reflection of the features of modern society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West. As such, modernity includes involvement with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a changing world-view, and changing trends in equality, gender roles, a desire for "the new," consumption, distribution based on mass production, and rational reform in fashion and dress. First and foremost, however, modernity in costume has been driven by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industrial capitalism. But while modernity has popularly been regarded as some sort of universal standard, in fact the West and the other societies have vastly different, unique, and particular experiences with their own respective histories of modernization. For this reason, cultural change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should be-indeed, must be-analyzed in the context of a country's own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rather than through the prism or strict adaptation of generalized Western concepts of modernization. Moreover, a "periodization" of the modernization of fashion and dress can be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in costume.

미국 의료개혁법의 의료보험 의무가입 제도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합헌결정 (The Constitutionality of Individual Mandate under the U.S.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of 2010)

  • 이원복
    • 의료법학
    • /
    • 제14권1호
    • /
    • pp.275-302
    • /
    • 2013
  • The Unites States has been plagued with soaring health care costs and an alarmingly large number of uninsured population.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of 2010 ushered in the most sweeping health care reform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introduction of Medicare and Medicaid in 1965 to address these issues. The law's requirement for individuals to purchase health insurance (the so-called "individual mandate"), however, not only caused a political stir but also prompted constitutional challenges. Some questioned whether the federal government, lacking general police power, could require its citizens to buy unwanted insurance based on its enumerated powers under the U.S. Constitu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decision of the U.S. Supreme Court on the constitutionality of individual mandate, and explores how the decision relates to Korea's own universal health care.

  • PDF

철도 선진국의 선로사용료 현황과 그 시사점 (Principles and Implication of Rail Infrastructure Charging in Advanced Countries)

  • 임채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63-271
    • /
    • 2008
  • 본고는 철도선진국의 선로사용료가 어떻게 징수되고 있는가를 보고 한국철도에 대한 정책적 임플리케이션을 도출하는 것이다. 북미, 일본의 경우, 거액의 인프라스트럭처 정비비용의 일부를 회수하기 위해 선로사용료의 징수가 채산성의 관점에 징수된다. 반면, 유럽에서는 운행주체와 인프라스트럭처주체가 회계상 완전히 분리되어 한계비용 + 적정이윤 (MC+) 원칙에 따라 선로사용료가 책정된다 이에 대해, 한국에서는 Korail이 유지보수뿐만 아니라 고속철도 건설비 상환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하분리방식을 포함한 철도개혁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20대 대통령선거, 보건의료정책 변혁의 기회 (Paying Attention to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s Policy Windows)

  • 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5-386
    • /
    • 2021
  •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is approaching. Because health policies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ther policies and involve multiple stakeholders, it is difficult to promote policy changes. Hence, the presidential election, during which policymakers are replaced, is a great timing for making policy improvements. Several important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and promoted throughout the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However, these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without going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among the experts but rather through the voices of minority groups with stronger political will. This eventually posed an obstacl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entire health care system. The current medical system faces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medium and long term. In particular, we should be wary of the populistic approach. We look forward to seeing more policy commitments, proposed through the evidence-based policy process and sufficient amount of discussion among the experts.

동아일보의 신탁통치 왜곡보도 연구 (A Study on Trusteeship Reports of Dong-a Ilbo)

  • 김동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2권
    • /
    • pp.135-153
    • /
    • 2010
  • 동아일보는 해방 직후 시기에 친일파 지주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한국민주당(한민당)의 기관지 역할을 하면서 왜곡보도로써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선동하여 여론전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다. 이는 미 국무성의 방침과 달리 신탁통치를 반대했던 미군정 당국의 견해를 대변하는 동시에 즉시독립을 갈망하는 민중의 정서를 이용하여 친일파 집단의 정체성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을 왜곡하면서 반탁=반공=반소의 분위기를 조장했다. 이것은 과오에 의한 오보가 아닌 의도적인 허위.왜곡보도였다. 그 결과 반탁=반소=반공=애국, 친탁=친소=용공=매국의 공식이 성립되었다. 친일파들이 애국자로 둔갑하고, 반대로 3상회의의 결정을 수용하여 민주정부 수립을 추진한 사람들은 독립을 원하지 않는 매국노로 매도되었다. 이로써 토지개혁과 친일파 청산의 과제는 실종되었다. 그것을 바랐던 민중들도 반탁선동에 매몰되어 현안의 과제를 잊어버린 것이다. 그 분위기에서 친일파들은 미군정의 도움을 받아 단독정부 수립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정국의 주도권을 완전하게 장악하였다. 친일파들이 한국사회의 주류가 되어 새 역사의 출발을 왜곡시켜 놓은 것이다. 나치독일에 협력했던 지식인들을 철저하게 숙청함으로써 새 나라의 기초를 튼튼하게 놓은 프랑스와 대비되는 대목이다. 동아일보는 태도는, 역사적으로 정치적 격변기에 나타나는 정론지(政論紙)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객관성과 중립성, 불편부당을 표방하며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해 독자를 확보하려 했던 대중지(大衆紙)가 출현하기 직전, 정파적 견해를 대변하면서 정치적 목적의 선전과 선동을 일삼던 정치신문의 모습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