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lant name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2초

북극권 스피츠베르겐 섬의 관속식물 국명 목록 (List of Korean Names for the Vascular Plants in Spitsbergen Island, in the Arctic Region)

  • 이규;한동욱;현진오;황영심;이유경;이은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101-110
    • /
    • 2012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vide Korean names to the arctic vascular plants observed around the Dasan Korean Arctic Station and Longyearbyen in Spitsbergen Island, in the Arctic region. To obtain recognizable results, plants were na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naming rules. (1) When Korean names already existed, those names were used. (2) When there was no Korean name for a plant species, a scientific name for the plant was translated into a Korean name. (3) If the meaning of the scientific name was unclear, an English common name was translated into Korean name. (4) If the scientific names had meaning to the Arctic inhabitation, the Korean names included the word 'Buk-geuk'. (5) If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 was limited to the Arctic area or the original species lived in the polar region, the Korean name included the word 'Buk-geuk'. (6) If the plant had no Korean generic name, a particular suffix '~a-jae-bi' was added to the closely related genus name of the plant species, or a new Korean genus name was used by translating a common English name. (7) If the same generic name had two or more Korean names, a generic name that better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was selected. In this paper, we reported Korean names for 46 plants species belonging to 15 families and 28 genera. Eight plants had an existing Korean name and the other species were given new Korean names based on the criteria outlined above. We also made new Korean generic names for three genera, Braya, Micranthes and Cassiope.

Aster danyangensis, a replacement name for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steraceae)

  • KIM, Jae Young;JO, Hyeong Jun;CHANG, Kae Sun;SON, Dong Cha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7-79
    • /
    • 2022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 Korean endemic plant, should be treated as a species rank because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A. altaicus var. altaicus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habit, leaf width, and head size. Nevertheless, when A. altaicus var. uchiyamae was treated as a species rank, the epithet uchiyamae was unavailable in Aster owing to the earlier name A. uchiyamae, which was a replacement name for the illegitimate name A. depauperatus. Therefore, we propose A. danyangensis as a new replacement name for A. altaicus var. uchiyamae. The specific epithet danyangensis refers to the geographic location of Danyang-gun, where the species was discovered. We also designate the lectotype and isolectotype of A. danyangensis.

유통되고 있는 실내조경 식물명과 학명과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Common Name and Scientific Name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in Practical Circulation)

  • 방광자;최경옥;이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7-13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of interior plants, considering that consumes' purchasing systems consist of internet and communication media in the era of informationalization, to help the consumers purchasing plants, and to propose some directions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name in practical circulation. This survey was performed during 4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in 2000. The survey places for research were wholesale flower market of YangJje Dong and Nam Seoul. The used plants for research were 37 family, 76 genus and 120 species. The main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interview and reference f plants picture books. The main reference for identifying plant name was accomplished by Yoon Ypung-Sub's HORTUS KOREAN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Fifty one plants were identified as using generic or specific name. 2) Thirteen plants were identified as using varietal name. 3) Twenty four plants were identified as using common name recoded in a plant dictionary. 4)Thirteen plants were identified as using incorrect name. Consequent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name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should be performed thorough continuous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field and business field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which is occurred in plants circulation process.

  • PDF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의 분류학적 실체 (Taxonomic identity of the plant name Sanggisaeng)

  • 신현철;정종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7-362
    • /
    • 2018
  • "향약채취월령"과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은 지금까지 뽕나무겨우살이(Loranthus parasiticus),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뽕나무겨우살이(Taxillus chinensis),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그리고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상기생(桑寄生)이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옛 문헌에 기록된 상기생은 중국에서 부르는 상기생, 즉 Taxillus sutchuenensis과는 다른 겨우살이(V. album var. coloratum)임이 확인되었다. 상기생을 뽕나무겨우살이라고 불렀으나, 최근에는 겨우살이로 부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시 진교(秦?)를 찾아서 (Reexamination of plant name, Jingyo)

  • 신현철;노무라 미찌요;김일권;기호철;홍승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8-335
    • /
    • 2017
  • <향약채취월령>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고전 본초서에 나오는 진교는 지금까지 큰잎용담, 진범, 그리고 쥐꼬리망초 등으로 알려져 왔다.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실체를 인정해온 것이다. 그러나 중국 고전 본초서와 우리나라 고전 본초서를 검토한 결과 중국 고전 본초서에 나오는 진교는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은 큰잎 용담 또는 소박골로 파악되었다. 현대 중국 식물학 관련 문헌에서는 진교를 큰잎용담으로 간주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전 문헌에 나오는 진교는 진범 또는 쥐꼬리망초로 간주되었으나, 우리나라에는 진교가 분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명 진범은 진교의 이체자명을 잘못 읽은 것으로, 중국 고전과 우리나라 고전에 나오는 진교와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많은 식물학 문헌에서 진범이라는 식물명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국명 역시 학명과 마찬가지로 국명 역시 "명칭 사용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진범이라는 국명을 사용할 것으로 제안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국가표준식물목록 전산화 연구 (Database Model for Korea Plant Name Index)

  • 이유미;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9-321
    • /
    • 2007
  •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가 공동으로 국내 최초로 전산화된 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로 재배종을 포함한 약 7,000 분류군을 대상으로 항상 최신의 자료를 갱신할 수 있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온라인상에 구현하였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은 37명의 국내 전문분류학자가 참여한 우리나라 식물목록과 관련된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생성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개발된 광릉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식물목록과 관련된 문헌과 다양한 분류학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이 모델은 다양한 분류학적 수준의 학명과 잡종명, 재배명, 이명, 기본명, 국명 및 명명법과 관련된 기타 자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표준식물목록 데이터베이스는 앞으로 개발될 생물정보시스템들의 개발에 있어 식물의 학명과 관련된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는 표준 데이터베이스 기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국(韓國) 자생식물명(自生植物名)의 유형(類型) 분석(分析)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Native Plant's Name in Korea)

  • 박인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2권
    • /
    • pp.1-7
    • /
    • 1994
  • 한국식물(韓國植物)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식물(植物)을 중심으로하여 그 유래를 분석, 분류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자생식물(自生植物)을 좀더 쉽게 이해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한국식물(韓國植物)의 명칭 중에는 동식물(動植物)과 관련된 것이 23.6% 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식물(植物)의 전체형태, 지방이나 나라의 지명과 관련된 것, 그리고 추상적의미를 가진 것과 인간과 관련되거나 도구와 관련된 것, 식물체(植物體)의 외형을 연상시키는 것이 각각 19.6%, 17.9%, 15.0%, 14.2%, 8.3%의 순으로 차지하였다. 또한 식물체(植物體)내의 성분과 관련된 명칭도 전체의 1.6% 로써 75 종류의 식물(植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각 항목을 다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전체의 외관을 연상시키는 것으로는 식물체(植物體)의 대소(大小)표시, 직립하거나 늘어진다는 의미등이 있었으며, 형태적 특징과 관련된 항목으로는 털, 잎의 수(數), 식물체(植物體)의 색깔, 꽃의 형태와 관련된 것들이 있었고, 추상적인 의미로 시적(詩的)인 것과 맞고 그름을 나타내는 것,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는 생육지 및 도입된 원산지 등 많은 세항(細項)들이 있었다.

  • PDF

식물 이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그들이 사용하는 식물 분류 기준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Name of Plants and Their Criteria Used in Classifying Plants)

  • 김상영;송남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41-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any plant names elementary school children how, and what kind of criteria they use for classifying these plants. The sample involved 926 students from the 2nd, the 4th, and the 6th grades dwelling in one urban, three suburban, and six rural areas. Their level of perception on the name of plants increased in correlation to the elevation of the grade level. However, different patterns of increases were shown depending on the local environments in which they live. The most well-known plant names for students were the rose of Sharon, the rose and the pine tree. The students mostly classified the plants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such as 'with or without flower' and 'edible or inedible' regardless as to whether they had prior loaming experience of plant classification. 65.3% of the 6th graders correctly grouped 5 kinds of plants into the flowering and the non-flowering plant categories at the 1st level of classification. However, only 17.9% and 7.7% correctly divided the flowering and the non-flowering plants into two subgroups at the 2nd level of classification respectively. Therefore, their abilities in plant classification was shown overall to be poor. The students living in suburban areas appeared to be harmonized with both the natural and urbanized surroundings and classified the plants more scientifically than those from the urban or rural areas were able to. This suggests that the conception of plant classification by children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If children have more opportunities to observe plants in surroundings such as their classrooms and school gardens, it will help them to form the relevant scientific concepts as well as to correct any alternative conceptions related to classification.

  • PDF

한국 곤충 국명 속에 나타난 혐오 표현과 일본어 잔재 (Hate Speech and Usage of Japanese in Korean Insect Common Name)

  • 강승호;김삼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5-165
    • /
    • 2021
  • 우리나라의 생물상 52,628종의 35.4%를 차지하는 곤충 18,638종의 국명 유형을 크게 11개(색깔, 크기, 모양, 식물, 위치, 생태, 외국어, 사람이름, 고유, 생리, 긍정·부정)범주로 구분하고, 그 뜻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중 인종차별, 장애 및 생김새의 차별, 지역 차별 등의 혐오표현이 사용된 유형 506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표현의 본 뜻과 함께 향후 사용할 만한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일본어 표현(일본어, 일본인 이름, 일본 지명 등)이 사용된 유형 508개에 대해 분석하여, 세부 유형을 밝히고 해당 생물종의 국명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