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ve lil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비비추 나물의 자생지 생태환경과 근권미생물상 (Ecological Environment and Rhizosphere Microflora in the Native Soil of Purple-Bracted Plantain Lily for Wild Vegetables)

  • 조자용;허북구;양승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9-400
    • /
    • 2005
  • 본 연구는 비비추 나물의 자생지 생태환경과 근권 미생물상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비비추 나물 자생지 토양의 토성을 보면 사양토(SL)>양토(L)>식양토(CL)등의 물리성을 보였다. 또한, 토양의 pH를 보면 4.8 정도로 다소 산성이었으며, 전기전도도는 0.08mS/cm, 유기물 함량은 0.08g/kg 정도였다. 토양수분함량은 68.6% 정도였고, CEC는 $100.8cmol^{(+)}kg^{-1}$ 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유효인산함량은 103.4mg/kg 정도였다. 치환성 양이온을 보면 칼륨은 $0.33cmol^{(+)}kg^{-1}$, 칼슘은 $2.26cmol^{(+)}kg^{-1}$, 그리고 마그네슘은 $0.87^{(+)}kg^{-1}$ 정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자생지의 온도변화를 보면 $15{\sim}20^{\circ}C$ 정도로서 노지에 비해 온도가 다소 낮으면서도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변화가 적었으며, 습도는 $60{\sim}80%$ 정도로 노지에 비해 다소 다습조건이었다. 광도는 오전 10시에 노지가 $2,300{\mu}mol/m^2/sec.$ 정도였던 반면, 자생지의 광량은 $1,750{\mu}mol/m^2/sec.$ 정도로서 차광효과가 뚜렷하였다. 토양내 총 균수는 $8.4{\times}10^7\;c.f.u./g$ 정도의 밀도를 보였고, 근권의 균근균 포자 밀도를 보면 크기가 $500{\mu}m$ 이상은 0.8개 정도, $355{\sim}500{\mu}m$는 1.3개 정도, $251{\sim}354{\mu}m$는 2.1개 정도, $107{\sim}250{\mu}m$는 38.1개 정도, $45{\sim}106{\mu}m$는 110개 정도인 것으로 계수되었다. 뿌리에서 균근감염 양상을 보면 vesicle 17%, hyphae 6%등으로서 총 23%정도의 균근 감염율을 보였다. 그러나 arbuscule에 의한 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수생식물의 원예적 이용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for Horticultural Use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 이종석;김수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0
    • /
    • 2003
  • The feasibility as floricultural crops and water garden plant materials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was investigated. Propagation type, growing and flowering time were observed for development as water garden, interior aquarium plant and water purification materials. Flowering time of the water plant was 7 species in May, 28 species in June, 49 species in July, 55 species in August, 47 species in September, and 17 species in October. Beautiful flowering water plants were Nymphaeaceae,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Monochoria korsakowii, Iris pseudacorus, Iris laevigata, and etc. Ornamental leafy water plants were Ceratopteris thalictroides, Ludwigia ovalis, Myriophyllum verticillatim, Limnophila sessiliflora,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Eleocharis acicularis etc. Isoetes japonica, Isoetes coreana and Isoetes sinensis were propagated by spore.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Myriophyllum verticillatim, Nuphar japonicum, Nelumbo nucifera, Ottelia alismoides, Sagittaria aginashi, Trapa japonica, and Trapa natans were propagated by seed. Persicaria amphibia,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Oenanthe javanica, Potamogeton crispus, Hydrilla verticillata and Acorus calamus were propagated by division. And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Phragmites japonica were propagated by runner.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Limnophila sessilifera were propagated by adventitious bud. Ceratopteris thalictroides was propagated by leaf cutting. The 35 genera, 68 species of water plants were available for horticultural use. The 45 species such as Iris laevigata, Eleocharis acicularis, Menyanthes trifoliata, Nymphaea minima, Nuphar pumilum, Nymphoides coreana,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Nymphaea tetragona (water lily), and Typha latifolia could be use for water garden plant. The 21 species such as Limnophila sessilifera, Vallisneria asiat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available for indoor aquarium. The 19 species such as Ottelia alismoides, Oenanthe javanica, Limnophila sessilifera and Blyxa echinosperma could be culture in container. The 27 species such as Trapa japonica, Trapa incisa, Phramites commuris (reed), Phragmites japonica, and Zizania latifolia were usable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material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ectin from Arisaema tortuosum Schott Having in-vitro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 Dhuna, Vikram;Bains, Jagmohan Singh;Kamboj, Sukhdev Singh;Singh, Jatinder;Shanmugavel;Saxena, Ajit Kumar
    • BMB Reports
    • /
    • 제38권5호
    • /
    • pp.526-532
    • /
    • 2005
  • A lectin with in-vitro anticancer activity against established human cancer cell lines has been purified by affinity chromatography on asialofetuin-linked amino activated silica beads from the tubers of Arisaema tortuosum, popularly known as Himalayan Cobra lily, a monocot plant from the family Araceae. The bound Arisaema tortuosum lectin (ATL) was eluted with glycine-HCl buffer, pH 2.5. ATL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asialofetuin, a complex desialylated serum glycoprotein as well as by N-acetyl-D-lactosamine, a disaccharide. It gave a single band corresponding to a subunit molecular weight of 13.5 kDa in SDS-PAGE, pH 8.8 both under reducing and non reducing conditions. When subjected to gel-filtration on Biogel P-200, it was found to have a molecular weight of 54 kDa, suggesting a homotetramer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 polypeptides are not bound to each other with disulfide bonds. ATL is a glycoprotein with 0.9% carbohydrate content, stable up to $55^{\circ}C$ and at pH 2 to 10. The lectin had no requirement for divalent metal ions i.e. $Ca^{2+}$ and $Mn^{2+}$ for its activity. However, as reported for other monocot lectins, ATL gave multiple bands in isoelectric focusing and Native PAGE, pH 8.3. The lectin was found to inhibit in vitro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HT29, SiHa and OVCAR-5.

자생나리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파종상의 환경, 온탕처리, 습윤냉장과 건조저장의 영향 (Effect of Seedbed Environments, Hot Water Treatment, Cold Wet Storage, and Dry Storage on Seed Germination in Korean Native Lilies)

  • 김민희;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6-113
    • /
    • 2009
  • 자생나리 종자의 발아율은 $20-25^{\circ}C$에서 높았다. 이 온도에서의 솔나리, 땅나리, 털중나리와 하늘나리의 발아율은 거의 100%, 참나리와 중나리는 각각 88.0%와 73.0%였다. 반면 말나리, 섬말나리와 하늘말나리의 발아율은 34.0-54.0%로 낮았다. 발아는 대부분 $15^{\circ}C$에서 지연되어 발아율이 높은 종일수록 발아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발아와 일장과는 대체로 무관하였으나 장일하에서 하늘나리는 촉진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억제되었다. 발아속도도 일장효과가 적었으나 중나리는 일장이 길수록 촉진되었고, 섬말나리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PGRs 온탕처리의 효과를 보면, 땅나리, 솔나리, 털중나리, 참나리와 하늘나리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나리는 BA에 의해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중나리와 참나리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이 향상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저하되었다. 발아소요일수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에 관계없이 단축되었다. 건조저장시의 발아율은 실온보다는 저온저장구에서, 방치구보다는 데시케이터 저장구에서 높아, $4^{\circ}C$ 데시케이터 저장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하늘나리는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시 발아율이 급격히 떨어졌으나, 중나리는 데시케이터 사용만으로도 발아율이 장기간 유지되었다.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율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이용 (Plant Growth Retardants Can Inhibit Stem Elongation and Improve Flowering Rate in 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 and L. dauricum)

  • 엄선정;박경일;오욱;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38-43
    • /
    • 2010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하늘나리(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와 날개하늘나리(L. dauricum)를 소형 분화로 개발하기 위해 생장억제제의 줄기 신장 억제 및 개화촉진 효과를 구명하였다. 조직배양으로 얻어 포장에서 1차 비대시킨 후 생체중이 각각 5-7g과 3-4g인 인경을 각각 0, 25, 50과 $100mg{\cdot}L^{-1}$의 ancymidol, diniconazole과 uniconazole 수용액으로 침지, 분무 또는 관주처리 하였다. 하늘나리에 있어서는 uniconazole 침지처리가 초장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는데, 그 농도에 따라 10.2-18.5cm로 대조구에 비해 60.7-78.3%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농도에 관계없이 100%였다. 날개하늘나리의 경우, diniconazole 침지처리에서 줄기 신장의 억제 효과가 가장 커서, 초장은 농도에 따라 3.2-7.0cm로 대조구에 비해 70.0-86.3%나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대조구의 0%에서 8.3-18.2%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ancymidol $25-50mg{\cdot}L^{-1}$의 관주처리도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억제와 개화 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인경을 이용한 소형 분화 생산에는 각각 uniconazole $50-100mg{\cdot}L^{-1}$ 침지, 그리고 diniconazole $25mg{\cdot}L^{-1}$ 침지 또는 ancymidol $25mg{\cdot}L^{-1}$ 관주처리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단, 본 연구에 사용된 날개하늘나리의 인경은 크기가 너무 작아 분화로서 상품성이 없었기 때문에 좀더 큰 구근을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날개하늘나리에 있어서 디니코나졸 처리가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niconazole Application on Anato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tress Tolerance in Lilum davuricum)

  • 엄선정;박경일;최영준;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29-235
    • /
    • 2012
  • 본 연구는 디니코나졸(diniconazole, DCZ) 분무처리가 날개하늘나리(Lilium davuricum)의 형태학적 특성 및 폴리아민(polyamines, PA)과 프롤린(prol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식물 스트레스 내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장 5cm의 식물체에 DCZ $50mg{\cdot}L^{-1}$와 증류수(대조구)를 엽면살포한 후 23/$18^{\circ}C$(주/야)의 온실에서 30일간 생육시켰다. 처리 30일 후 DCZ 처리에 의해서는 날개하늘나리의 초장과 엽장이 감소하였고, 줄기 세포의 크기와 길이가 줄어들었으며, 잎의 두께와 표피조직의 큐티클층의 두께는 증가하였다. PA의 함량에 있어서, DCZ는 처리 후 5-10일경 spermidine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처리 10일 이후에는 spermine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DCZ 처리구에서 처리 10일 후부터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CZ 처리는 형태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측면에서 날개하늘나리의 스트레스 내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팔나리와 자생 솔나리와의 종간 교잡 시 수정 전 불화합성 타파를 위한 수분방법 (Pollination Methods for Overcoming Pre-fertilization 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Lilium longiflorum 'Gelria' and L. cernuum Native in Korea)

  • 김영진;박성민;김종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73-377
    • /
    • 2001
  • 본 연구는 나팔나리(L. longiflorum) 'Gelria'(LG)와 자생 솔나리(L. cernuum, LC)와의 종간 교잡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수분방법을 이용하여 수정 전 불화합성의 타파방법을 조사하였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cernuum의 교잡 수분 시 수분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교배조합에서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주두수분법에 비해 모든 화주절단수분법 처리구에서 착과율과 종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 화주를 2-3mm 남기고 자른 것과 화주를 모두 잘라버리고 자방기부에 수분시킨 처리구에서 각각 76.4%와 73.3%로 가장 높은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C{\times}LG$ 교잡에서는 전혀 착과되지 않았고 어떤 종자도 얻을 수 없었다. LG의 자가수분과 $LC{\times}LG$ 교잡에서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수분 후 약 90시간 정도가 되면 자방까지 화분관이 신장하였다. 그러나$LC{\times}LG$ 교잡에서는 수분 후 90시간까지 자방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화주 중간에 선단이 비대되고 callose가 이상 집적된 기형적인 화분관이 많이 관찰되었다. 개화 후 수분시기도 착과율과 종자 형성률에 영향을 주었으며, 개화 후 3일에 수분하였을 때 가장 높은 종자수를 획득하였다. 주두 분비물질은 자방비대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수정배주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 PDF

Diniconazole 엽면살포가 날개하늘나리의 내생 GA 및 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sprayed Diniconazole on Contents of Endogenous Gibberellic Acids and Abscisic Acid in Lilium davuricum)

  • 엄선정;박경일;이인중;최영준;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165-171
    • /
    • 2011
  • 식물생장억제물질의 처리는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을 억제시키는데, 여기에 관여하는 식물호르몬을 찾기 위해 diniconazole의 엽면살포 후 내생 GA 및 ABA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날개하늘나리(L. dauricum)는 $GA_1$을 활성형으로 하는 early C-13 hydroxylation($GA_{19}{\rightarrow}GA_{20}{\rightarrow}GA_1$) 경로와 $GA_4$를 활성형으로 하는 non C-13 hydroxylation(NCH, $GA_{12}{\rightarrow}GA_{24}{\rightarrow}GA_9{\rightarrow}GA_4$) 경로 모두를 가지고 있었으나, 주된 경로는 NCH 경로였다. NCH 경로의 GA 생합성은 diniconazole $50mg{\cdot}L^{-1}$ 살포에 의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억제되었다. 즉 diniconazole 처리구의 $GA_{12}$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1/17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GA_4$까지 계속되었다. 즉 건물 1g당 $GA_{12}$ 함량은 대조구가 213.8ng인 것에 비해, diniconazole 처리구는 12.7ng이었다. ABA의 함량도 GA에서와 같이 diniconazole 살포에 의해 1/3 수준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즉 건물 1g당 ABA 함량은 대조구 37.2ng인 것에 비해, diniconazole 처리구는 14.8ng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내생 $GA_4$, $GA_1$, 그리고 ABA의 함량을 고려할 때 diniconazole에 의한 날개하늘나리의 초장감소는 $GA_4$의 생합성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