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iddle-aged adult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성인의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groups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adults: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9))

  • 송수진;백희영;송윤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1호
    • /
    • pp.61-71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variables and the prevalence of insulin resistance (IR) in middle-aged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ecause IR is closely linked with metabolic syndrom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ymptoms of metabolic syndrome: the 'Normal group' without any symptoms, the 'Risk group' with one or two symptoms,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tS) group' with three or more symptoms.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30 and 65 years with no prior diagnosis or treatment for diabetes, hypertension, or dyslipidemia were selected. The number of subjects per group was as follows: 2,085 adults in the Normal group, 3,699 adults in the Risk group, and 1,160 adults in the MetS group.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ccording to Adult Treatment Panel III criteria with modified waist circumference cutoff values (men ${\geq}$ 90 cm, women ${\geq}$ 85 cm). Subjects with HOMA-IR > 2.0 were classified as 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fasting plasma glucose ${\times}$ fasting plasma insulin)/22.5. Nutrients and food groups intake were obtained from a single 24-hour recall. Subjects with IR in the Normal group were more obese and less physically active than non-IR subjects. In the MetS group, subjects with IR were more obese and had a lower prevalence of smoking and drinking, compared with non-IR subjects. Men with IR in the Normal group had a tendency to consume more oils and sugars than non-IR men, while women with IR in the same group had higher intake of carbohydrate, dietary glycemic index, and dietary glycemic load than non-IR women. Women with IR in the Risk group had lower energy intake but higher intake of oils and sugars than non-IR women. In the MetS group, consumption of fruits was higher in subjects with IR than in non-IR subjects. In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ncluding glycemic index, may be associated with IR in healthy women. Further research in prospective cohort studi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carbohydrate on IR incidence will be necessary.

도시지역주민의 영양제 복용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Nutrition Intake Realities to an Affect Influence Factors for Dweller in City Area)

  • 최종생;변정환;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4-51
    • /
    • 1991
  • In the research and analysis for survey practice on stability on the nutrition intake relities to an affect influence factor for variable reason to discovers dweller in cities area which is in order to prevent an unfortunately influence that thus obviously restricted by nutrition intake would be restoration. And then attempted to avhivement of stability fulfil to correct nutrition intake needed under the establish for effectiveness measured to provide the primary required resources be considerations must accomplish certain survey of goals. Therefore subject of criticism for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anuary 4 1990 to January 24 1990 through 20 days adapted place were Seoul, Taegu and Pohang cities dweller 1206 person be conducted under the expert survey personnel by directl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al form has atapted for its survey conclusion of result be summarixed as bellow. 1) The subject of criticism for survey was ferformed to personnel adapted age group 40 to 49 were 24.9%, Age group 50 to 59 were 18.4% shows most adult group has significant higher value rate appearenced. In consideration the education level were evaluated the college grauated ; 48.8% and High School graduated: 30.1% shows that more educated level has significant higher rate value were appearenced. 2) On the subject of criticism to evaluation for adapted personnel by native place such as larger citypeople ; 29.6%, Farming and fishing village people were 28.4%, although the classfication of job analysis for estimation appearence rate were ; students 27.4%, Sales and service field personnel rate ; 15.1% and expert technique field personnel were ; 90% comprehensively appearenced. Although consideration for ecnomics situation review to the middle level shows of rate ; 61.7% and lower level was appearenced rate ; 23.9% of each others. 3) The people of resident in cities were appearenced nutrition intake has more than 2 weeks continuousely practiced by experiance rate shows ; 72% thus intake has experianced rate were 74.6% and female was 68.5% affact is comprehensively male has more many higher rate valued. In the classfication by age group 60 year old has 100% they have experiaced of nutrition intake and age group 50 to be appearenced its rate ; 76.4 % and age group 40 were 75.5% Thus result of survey for comparative rate shows in generally say more aged group has intake significant higher than younger age of group. Nevertheless, age group 10 years old be experienced of nutrition of intake rate ; 63.2% and age group 20 shows 73.9% was comparative more significant higher than age group 30 years old level adolescents.

  • PDF

성인의 건강관련 생활양식과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Dental Caries with Health Lifestyle in Adults)

  • 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3-339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제6기 1차년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설문 검진조사, 영양조사를 완료한 10,113명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과 영구치우식 유병자 여부 카테코리에 대한 정보가 갖춰진 4,843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p<0.001), 연령별로는 30대, 20대, 40대, 60대 이상, 50대 순으로 나타났다(p<0.05).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고졸, 중졸, 대졸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p<0.05), 월 소득수준은 '하'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01), 비만의 경우 정상보다 다소 높았으며(p<0.05),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는 경우보다 높았다(p<0.001). 일일 칫솔질 횟수가 증가할수록(p<0.05), 치실,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치아우식증 여부를 종속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소득수준, 흡연, 구강검진, 치실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 성인의 사회 경제적 요인 및 생활양식은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의 치아우식증 예방 및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할 수 있는 구강건강교육 및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한국 사춘기 소녀들의 골밀도와 환경요인들과의 관계(II)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Korean Pubescent Girls)

  • 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1
    • /
    • 1995
  • Bone mass accretion during puberty appears to be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peak bone mass. Although bone density of females in Korea has been studied, only a few studies have related bone mass with anthropometric patterns or puberty in the pubescent girl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tudy of major determinants of bone development during puberty. Subjects were aged 14∼16 yr(mean 14.97), and had no history of disorders or dedication use likely to influence bone or calcium metabolism. Bone mineral density and content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using a Lunar DPX+Scanner (Lunar Madison, WI). Also, total body fat, and total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using a Lunar DPX dual-energy X-ray absorptiometer, Pubertal statu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Marshall and Tanner guidelines. Serum levels of osteocalcin was measured by RIA using a commercial kit assay. Skinfold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a skinfold caliper(Lange Caliper, USA).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gression and GLM procedure of the statistical package S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bserved means for lumbar spine BMD and femoral BMD correspond to approximately 91% and 96% of the means for young adult females, respec tively. All subjects were menarchal, with the majority being in the middle to end stages of pubertal development. Total body BMD was positively related to fat mass(P<0.001), lean body mass and time since menarche, and negatively related to urine pyridinolin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The data indicate that girls who reported lower age for menarche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ies than girls who reported higher age for menarche. Attaining peak skeletal bone mass during puberty may reduce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in later life. this finding suggests that early menarche may augment peak bone mass, influencing the extent of bone loss later in adulthood. The results suggest that good nutrition in childhood appears to be needed not for growth and development, but possibly also to assure an optimal peak of bone mass and thus greater latitude for the maintenance or skeletal integrity in the face of bone losses. Troeps skinfold thickness was a better predictor of total BMD and total BMC than was any other skinfold thickness. The study did not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otal BMD and body fat %, but total fa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otal BMD(r=0.49) and total BMC(r=0.60). It supports earlier repor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BMD and body weight. Conclusively, total fat, lean body mass and pubertal development could influence BMD in pubescent girls. Clearly, longitudinal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 of puberty on peak bone mass, and to define further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 PDF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와 식습관에 따른 골밀도 비교 (Comparativ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and Eating Habits of Female U niversity Students)

  • 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581-587
    • /
    • 2017
  • 16세에서 26세 정도에서 총 무기질 함량이 99% 정도 형성된다는 자료를 토대로 골 형성에 중요한 20대 초반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의 요인을 알아보고 차후에 생길지도 모르는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20대의 여대생 100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골밀도를 DEAX로 측정하였고, 본인이 직접 작성한 식습관 10개 항목과 골밀도 측정 결과를 Microsoft office Excel 2010을 이용하여 pearson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신장은 $161.08{\pm}4.70cm$, 체중은 $52.43{\pm}6.43kg$, BMI는 $20.22{\pm}2.48$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BM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p<0.05). BMI에 따른 분류를 해보면 저체중이 20명, 정상체중 이상은 80명 이었으며, 정상체중 이상에서 BMD가 $0.20{\pm}0.41$로 높았다. 또한 동일한 성별에서 젊은 성인집단의 골밀도와 비교한 T-score의 평균은 $-0.04{\pm}0.99$, 같은 연령대의 골밀도와 비교한 Z-score의 평균은 $0.02{\pm}0.93$로 차이가 없었다(p<0.001).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은 본 연구에 의하면 1일 3끼 식사, 1일 커피 1-3잔, 짜지 않은 음식섭취는 p<0.05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었으며, 그 외에 음주, 1달에 6-9회의 유제품 섭취도 p<0.05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p=0.066, 0.054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대 여대생들이 중장년이 되었을 때 골 질환을 막기 위해서는 젊은 시절 골 형성이 잘 될 수 있도록 식습관을 바르게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식행동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 오지은;윤혜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3-393
    • /
    • 2017
  •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들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미식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민감한 반면 건강요인과 편의요인에의 민감도가 낮았으며, 식행동에서도 규칙적이며 균형잡힌 식생활에 대한 실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음식과 식품에 대하여 품질에 있어서 맛을 추구하지만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룹 2 두루관심군은 30대 구성 비율이 높았고 고학력층과 고소득층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 전반에 대한 추구성향이 타 그룹들에 비해 높아, 다양하고 새로운 음식, 외식과 삶에 대한 즐거움을 즐기는 미식을 추구하고, 건강과 관련되는 웰빙 식재료와 식품에 대한 추구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요인인 쿠폰 활용, 가성비 등을 따지고 상대적으로 편의 식품을 적게 소비하며, 식행동 및 식습관에서도 다른 그룹보다 규칙적이며, 특히 유제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고,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고관심의 스마트 컨슈머의 성향을 보인다.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형별 집단으로 구별되며 차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행동 및 식습관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소비자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은 그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에 대한 태도, 행동, 의견에 따라 차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생활관련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들의 삶의 가치와 의식이 반영되는 것이며, 그들만의 고유한 특성이 식생활에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집단은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세분화된 집단별로 구매행동의 차이를 보이거나, 선호하는 상품의 유형과 특성에 차이를 보이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서도 구분되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이나 음식 상품의 개발에서 식품과 식생활에 관련된 미식적, 건강적, 편의적, 경제적인 요소가 주요한 차별점이 될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과거와 다르게 식품의 건강성과 미식성 등을 고려하고 있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과 인구학적인 특성, 식행동 등으로 세분화된 타겟 소비자들의 수용성과 욕구를 고려한 본 연구의 결과가 상품개발 마케팅 활동자료로써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의 지역적인 분류를 고려하지 않은 온라인을 활용하는 소비자들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조사대상자에 대한 연구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중국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