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inter-English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8초

대학도서관의 환경변화와 문제점의 분석 -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Problems in Academic Libraries: Cases of the U.S., U.K., Australia and Canada)

  • 곽동철;김기래;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2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 등 영어권 주요국가의 대학도서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고등교육의 환경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상이한 국가제도와 문화적 전통, 고등교육체제 및 정보환경 하에 있기 때문에 생겨나는 고유한 문제점들보다는 여러 나라의 대학도서관 전반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문제점들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각국의 대학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문제들은 예산의 축소 도서관 역할의 변화, 도서관 콜렉션 속성의 변화, 정보기술의 발전과 기술 기반구조의 요구, 연속간행물 가격의 급등과 도서관 구매력 감소 등이다. 이 문제들은 서로 고립된 개별적 문제들이 아니라, 매우 긴밀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어, 개별 도서관의 대응책보다는 국가 혹은 정부의 보다 거시적이며 광범한 차원의 이해와 전략적 대책을 요구함을 알 수 있다.

  • PDF

민족 정체성의 건축적 구현: 1900년 전후의 핀란드 민족낭만주의 건축에 관한 고찰 (Architectural Embodiment of National Identity: Finnish National Romanticism around 1900)

  • 김현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59-72
    • /
    • 2005
  • Architectural embodiment of a national identity has long been a significant topic in Korean architectural circles. For this reason, it must be helpful to examine the so-called, 'National Romanticism' of Finnish architecture around 1900 in that Finnish architects of the time struggled to embody their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ir projects.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linguistic affinities between Finland and Korea, the Finnish architectural situation draws . our additional attention. This paper aims at show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the meaning of each type of buildings in the stream, and limitations it implies. The atmosphere of Finnish nationalist movement, which was provoked by [Kalevala] publications (1835; 1845) and shown in Karelianism, was heightened by Tsarist Empire's Russification programme of Fin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Architectur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expressing her national identity. Finnish national romantic architecture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is a log house style for artists' studio house, motivated by the Finnish vernacular farmstead - especially by Karelian farmhouse. This type of building signifies the Finns' will to return to their motherly soil. The second is a stone architecture style for public buildings, inspired by Finnish church or castle of an early medieval time. By using roughly-cut granite as the main exterior material, buildings of this type symbolise the toughness of legendary heroes and Finns' desire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third type of building was based on both of the former or more dependent on architects' Imagination and creativity. However, Finnish national romantic architecture has been criticised by some critics owing to its decorative, eclectic and self-indulgent characteristics. Probably, it was not really national but rather inter-national because of the Influences of English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American Richardsonian architecture and the continental Art Nouveau. And the negative images of 'national' and 'romantic' made some historians coin other terms like 'national realism' or 'material realism'. As another limitation, one raises the low degree of its contribution to the entire architectural history. Despite these criticisms,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Finnish national romantic architecture is meaningful in itself, particularly because it illustrates vividly Finns' struggle to search for their national identity and, after all, their craving for national independence.

  • PDF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Differences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eaching Skills)

  • 이옥화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125-15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교실수업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수업관찰과 학생 설문은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다른 경우 수업교사는 결과 해석에 혼란스럽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대상인 학생들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인식은 학생 배경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교사의 인식과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ICALT의 수업관찰도구와 학생 설문지(MTQ)를 사용하였다. 이 두 도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6영역 및 학생참여 영역 등 총 7개 영역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2016년도 대전 충북 충남 지역 소재 중학교에서 수업관찰 전문교사가 106개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이 수업에 참여한 2866명의 학생이 설문에 응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관한 인식은 대체로 높았으나 학생의 배경변인별로 다른 성향을 보였다. 학생들의 인식은 주요교과목을 배울 때, 또 학년이 낮을수록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학생들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수업전문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학생의 학생참여에의 예측력은 수업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영역에서 교사의 예측력보다 높았다. 향후 예비교사와 교사를 위해 학생설문자료를 어떻게 연수에 적용할 수 있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