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ried persimm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품종별 감꽃 동결건조 분말의 유효성분 분석 (Analysis of Useful Components for Freeze-Dried Persimmon Flower Powder by Cultivar)

  • 김준한;박석희;문혜경;이인선;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91-696
    • /
    • 2006
  • 감 품종별(도근조생, 고종시, 갑주백목, 차랑, 월하시, 상주둥시)로 감꽃을 개화기에 채취하여 동결건조 분말화한 감꽃분말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도근조생이 57.26%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리당 조성은 fructose가 $95{\sim}310 mg%$, glucose는 $75{\sim}281mg%$, sucrose가 $7{\sim}28mg%$의 함유량을 나타내었고, 유기산 중 malic acid가 갑주백목(6월4일)에 225 mg%로 가장 많았고, tartaric acid도 189 mg%로 가장 많았다. 유리아미노산 중 hydroxy-L-proline은 월하시에 25.33 mg%, L-citrulline 은 상주둥시(5월28일)가 58.83 mg%, L-threonine은 상주둥시(5월28일)가 11.88 mg%로 가장 많았다. 페놀산으로 caffeic acid는 갑주백목(6월4일)이 $1,946{\mu}g/100g$, p-hydioxybenzoic acid는 상주둥시(5월29일)가 $417.8{\mu}g/100 g$, protocatechuic acid는 갑주백목(6월1일)이 $181.1{\mu}g/100g$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감꽃에도 감이나 감잎에 못지 않게 유용한 식품성분들과 기능성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새로운 식품 및 기능성 신소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감꼭지로부터 혈액응고저해물질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oagulant Activity Fraction from Persimmon Stem)

  • 사유선;김경아;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23-1327
    • /
    • 2003
  • 감은 예전부터 민간약으로 종기나 염증질환, 치질에 곶감을 이겨 붙였고 부스럼이나 화상에는 불에 말린 감을 바르면 통증을 멎게 하고 새살을 돋게 하는 효능이 있고 고혈압을 예방하고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의 plasma에서 thrombin time(TT)를 사용한 혈액 응고저해 assay를 이용하여 감꼭지에서 혈액응고저해물질을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소수성크로마토그래피, 음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또 한번의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했다. 감꼭지의 혈액응고저해물질은 분자량이 130,000 ∼ 180,000으로 거대 분자이고 구성분은 C, H, O로 구성되어 있고 periodate oxidation시 거의 활성이 소멸되고 열에 안정하며 주로 glucose와 galactose로 구성된 다당류로 추정된다.

단감분말을 함유한 저지방 돈육 미트패티의 냉동 저장 중 품질 변화 (Improved Quality Properties of Low-Fat Meat Patties Containing Sweet Persimmon Powder during Freeze Storage)

  • 김일석;진상근;하창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21
    • /
    • 2008
  • 열풍건조 단감분말과 동결건조 단감분말을 각각 0%, 3%, 6%을 첨가하여 미트 패티를 제조한 후 $-18^{\circ}C$에 4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제품의 pH는 30일까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40일차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보수력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가열감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단감분말이 첨가된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처리구와 비교 시 대조구의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처리구들이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직경감소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p<0.05). 미생물 분석결과 저장 40일차까지 총균수는 4.20 log CFU/g를 유지하여 양호하였으나, T3 및 T4는 대조구보다 총균수와 대장균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VBN 분석결과 T4가 저장 15일차부터 40일까지 다른 제품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TBARS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다소 높게 평가받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지는 열풍 또는 동결건조 단감분말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미트패티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육상곤충상 (Terrestrial Insect Fauna of Persimmon Plantation in Sangju Dried Persimmon Agricultural Are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차두원;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6-71
    • /
    • 2022
  • 본 연구는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육상곤충상을 파악하여 향후 상주 곶감농업지역 감재배지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수행되었다. 전체 출현한 육상곤충 종수는 7목 77과 177종 1,925개체이며 지역별 출현 종수는 내서면 서만2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내서면 서만1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 외남면 소은리 곶감마을 감재배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경작지 특성상 노린재목, 딱정벌레목이 대상지 전역에 우세하였다. 특이종은 한국고유종 13종, 국가적색목록 취약종 2종·관심대상종 22종·미평가 42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 2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분석 결과 우점종은 큰검정뛰어장님노린재, 아우점종은 유채좁쌀바구미로 확인되었다. 종다양도는 1.1636-1.6022, 균등도는 0.6748-0.7611, 우점도는 0.2389-0.3252의 범위로 나타났다.

Shelf-Life Extension of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Persimmon Leaf Tea Powder

  • Kim, Gwi-Young;Kim, Jong-Kuk;Kang, Woo-Won;Kim, Jong-Goon;Joo, Gil-J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196-199
    • /
    • 2005
  • Antimicrobial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methanol extracts on Klebsiella pneumoniae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examined through paper disk diffusion bioassay. K. pneumoniae and S. aureus showed 87.64 and 99.35% growth inhibitions by addition of steamed tea methanol extracts (10 mg/ml), respectively.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rice cakes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leaf tea powder was added during production of rice cakes. Addition of 1% steamed leaf teas to rice cakes decreased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by over 50%, and over 70% reduction was observed when final 2% (dried weight w/w) steamed leaf tea was added, whereas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over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from persimmon leaf and rice cake, and persimmon leaf can inhibit normal microbial growth in rice cake.

곶감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Broiler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ntents in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0
    • /
    • 2005
  • 본 실험은 곶감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첨가수준(0, 1, 3, $5\%$)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 계육의 지방산 조성 및 혈중 콜레스테롤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5주 동안사양 시험하였다. 전기 3주간 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는 3,100kcal/kg 수준으로 공급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구(무첨가구), 곶감 부산물 $1\%$ 첨가구(T1), $3\%$ 첨가구(T2), $5\%$ 첨가구(T3)로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로 총 160수를 공시하였다. 그 결과 증체량은 전기사료 급여시에 대조구보다 곶감 부산물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후기 사료 급여시는 대조구와 T1 및 T2에서 T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 효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곶감 부산물의 급여 수준에 따른 계육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은 증가하고 단백질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총 콜레스테롤, HDL-C, 중성지방은 처리구에서 높았고, LDL-C은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높았다(P<0.05). 계육의 주된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곶감 부산물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stearic acid,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이러한 실험 결과로 곶감부산물은 육계사료에 $3\%$수준까지 급여하더라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피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Persimmon Peel Powder)

  • 김창섭;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5-180
    • /
    • 2001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dried persimmon peel powder(PPP) were investigated. Visco-elastic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texture of bread added PPP was examined by rapid visco-analyzer and texture analyzer. The maximum viscosity of the dough with PP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at 90$\^{C}$. Final viscosity after cooling to 50$\^{C}$, viscosity of control increased to 134 B.U., but that of the dough with PPP showed 13∼37 B.U. As more PPP was added, gluten formation and mixing time dough were longer. Adhesiveness, spring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gradually increased as PPP content increased, while the hardness decreased. Lightness value decreased but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PP, especially, the bread made by 15% PPP treatment showed dark brown color. In sensory evaluation of bread, score of color decreased significantly as more PPP was added but overall acce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p<0.05) between control and 5% PPP treat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addition of 5% was appropriate for bread making with PPP.

  • PDF

전정처리가 감나무 '고동시'의 수확량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ing on the Yield and Fruit Quality of 'Godongsi' Persimmon)

  • 유희원;김철우;박성인;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57-566
    • /
    • 2022
  • 본 연구는 감나무 '고동시'의 안정적인 고품질 과실 생산과 효율적인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정 2년 차의 평균 본당 착과수는 결과모지수 300개, 400개, 500개 처리구 및 700개(대조구)가 각각 676.3개, 786.0개, 866.7개, 1,238.7개로 나타났다. 감나무 '고동시'는 전정강도가 강해질수록 평균 본당 착과수가 감소하였고, 평균 과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평균 과중은 결과모지수 300개 처리구에서 212.2 g으로 대조구 대비 1.5배 높았다. 고품질 곶감 가공을 위한 L(170 g<x≤200 g) 등급 이상의 과실의 비율은 결과모지수 300개, 400개, 500개 처리구 및 대조구에서 각각 86.9%, 48.6%, 33.5%, 8.1%로 나타났고, 전정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곶감 판매가격을 기준으로 본당 생산액은 결과모지수 300개 처리구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착과수가 많을 경우, 곶감 품질은 낮고 수확 및 가공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감나무 '고동시'의 과실품질(과중, 등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정처리가 필수적이며, 전정 시 결과모지수를 300개 내외로 조절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과육 및 껍질의 유용성분 및 가공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aluable Components and Processing of Persimmon Flesh and Peel)

  • 문광덕;김종국;김준한;오상룡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1-326
    • /
    • 1995
  • 감과육과 곶감 제조시에 폐기되는 많은 양의 감껍질의 유효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감껍질은 과육부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이 크게 높았고 가용성 탄닌의 함량은 과육이 다소 높았다. 총당의 함량은 과육부의 함량이 크게 높았으며 구성당의 조성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약 절반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sucros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아미노산 함량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유리아미노산은 과육부가 껍질부보다 오히려 높았다. 감과육의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 였으며 감껍질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lt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과육분말 및 껍질분말을 이용하여 당과자를 제조하였으며 $5{\sim}10%$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인정되었으며 곶감떡의 경우 감 절편(slice)제품은 $10{\sim}20%$ 첨가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 껍질은 기호도가 낮았다. 감과육분말을 이용하여 개발한 죽제품의 경우 과육 3%외에 쌀가루, 찹쌀가루, 옥수수전분, 탈지분유 등을 첨가하였을 때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껍질로서는 죽제품의 개발이 어려웠다.

  • PDF

고종시 감껍질의 추출조건에 따른 항산화 활성 (Changes i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ersimmon Peel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정명진;진순우;화성용;방희옥;한동문;전지영;화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6-193
    • /
    • 2019
  • Background: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Kojongsi) peels are by-products of dried persimm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ojongsi persimmon peel (KPP) extracts prepared by 15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5 heating durations (0.5 - 2.5 h) at 3 heating temperatures (50, 70, and $90^{\circ}C$). Methods and Results: An increase in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antioxidant effect of KPP extracts. Those prepared by heating at 1 h ha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regardless of the heating temperature. In addition,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ell-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were dependent on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extract. However, the KPP-induced increased in catalase expression was dependent on hea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ion by heating at $90^{\circ}C$ for 1 h may enhance KPP's antioxidant effects, which mainly involve non-enzymatic antioxidant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