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ogs

검색결과 2,737건 처리시간 0.036초

세 마리의 소형견에서 발생한 다양한 해부학적, 혈역학적, 병태생리학적 타입의 심방중격결손 비교 고찰 사례 (Comparison of Different Anatomic, Hemodynamic, and Pathophysiological Types of Atrial Septal Defect in Three Small Dogs)

  • 김정현;문소정;강민희;김승곤;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86-590
    • /
    • 2011
  • 5 kg 미만의 소형견 3마리가 호흡곤란과 심잡음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한 마리 환자에서는 일차 심방중격결손과 함께 유미흉이 진단되었다. 나머지 두 마리 환자들에서는 이차 심방중격결손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한 마리의 환자에서는 폐동맥 협착증이 병발되었다. 내과적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이차 심방중격 결손을 가진 두 마리의 환자들은 폐사하였으며 일차 심방중격 결손이 있는 환자는 약물치료로 성공적으로 유지되었다. 폐사한 두 마리의 환자에 서는 부검을 통하여 결손부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의 경우, 세 마리의 소형견에서 발생한 다양한 해부학적, 혈역학적, 병태생리학적 타입의 심방중격 결손의 임상증상, 진단학적 특징을 대형견에서의 특징과 비교 분석한 첫 증례보고이다.

100마리의 야생 멧돼지 사냥견에서 응급 외상성 질환의 분류 (Prevalence of Emergency Traumatic Injuries in 100 Wild Boar Hunting Dogs)

  • 고재진;김세훈;지중룡;심관섭;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8-722
    • /
    • 2010
  • 전북지역에서 야생 멧돼지 사냥 시 발생한 응급 외상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내원한 사냥견 100마리를 외상의 정도에 따라 분류 하였다. 분류는 응급 외상성 질환의 경향과 정도를 부상의 원인, 부상 부위의 숫자와 위치, 부상의 중등도, 치사율과 같은 의료 기록들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후향성 조사를 실시 하였다. 사냥견 100마리의 환자에서 136개 (71마리의 단일 응급 외상성 질환과 29마리에서 복합 응급 외상성 질환)의 응급 외상성 질환이 발견되었다. 응급 외상성 질환의 원인으로는 야생 멧돼지 공격에 의한 응급 외상이 92마리, 오발로 인한 응급 외상이 7마리 그리고 덫에 의한 응급 외상이 1마리로 조사 되었다. 흉부는 응급 외상 질환이 가장 잘 발생하는 부위이며, 부상심각점수(ISS)는 2단계로 판단되었다. 치사율은 9% 였으며 사망에 이르게 된 증례는 모두 흉강에 외상을 입고 있었다. 야생 멧돼지 사냥 시에 발생하는 응급 외상성 질환은 사냥물을 공격할 때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가장 흔한 부위는 흉부였으며 이것은 임상 수의사가 흔히 접하는 일반적인 응급 질환들과는 매우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야생 멧돼지 사냥견에서 응급 외상성 질환의 치료 경과, 발생 형태, 예후, 치사율 등 임상 응급 진료에 필요한 정보들을 알 수 있었다.

개에서 Poloxamer / Sodium Alginate 혼합물의 복강 유착 방지 효과 (The Effects of Poloxamer/Sodium Alginate Mixture Barriers o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eritoneal Adhesion in Dogs)

  • 김지훈;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4-330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개에서 poloxamer/sodium alginate 혼합물(PX/SA)의 수술 후 복강 유착 방지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잡종견 15마리를 무처치군, 2%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SCMC)처치군, PX/SA 처치군으로 각각 5마리씩 배치하였다. 유착은 돌창자의 창자간막 대측에 1 ${\times}$ 1 cm 크기로 미세 점상 출혈 찰과상을 일으켜 유도하였다. SCMC 용액은 카테터를 통하여 복강내 주입하였고, PX/SA는 찰과상 부위에 단순히 도포하였다. 수술 전 1일과 수술 후 1일, 4일, 7일, 14일에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수, 총백혈구수, 섬유소원농도를 분석하고, 수술 후 21일에 유착정도를 computerized tensi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혈구수, 총백혈구수, 섬유소원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성은 없다. 유착부 분리에 필요한 평균 장력은 무처치군에서 173.05 ${\pm}$ 113.48 gf, SCMC 처치군에서 111.42 ${\pm}$ 38.25 gf, PX/SA 처치군에서 69.00 ${\pm}$ 45.07 gf였다. PX/SA 처치군의 평균 분리 장력이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본 실험 결과로 PX/SA는 SCMC용액과 비교하여 복강유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PX/SA를 개에서 복강 수술 후 유착 방지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한다.

Medetomidine과 Tiletamine/Zolazepam을 병용마취한 개에서 통증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timulation on EEG in Dogs Anesthetized withMedetomidine and Tiletamine/Zolazepam)

  • 최우식;장환수;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2010
  • 개에서 Medetomidine (MED)과 tiletamine/zolazepam (ZT) 병용마취시에 통증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판단되는 외과적 마취기에 적절한 진통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뇌파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비글견 7두를 이용하여 동일견을 대조군과 통증자극군에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MED $30\;{\mu}g/kg$ 투여 후 15분에 ZT 10 mg/kg을 각각 근육주사하였으며, 통증자극군은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다음 ZT 투여 후 10분부터 45분까지 5분 간격으로 pedal withdrawal reflex test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기록시간대에서 뇌파의 band power,평균동맥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실험군간 비교하였다. 뇌파 기록전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em을 이용하여 Cz에, 기준전극과 접지전극은 양쪽 귀에 장착하였다. 뇌파 분석상 저주파 band가 높은 power를 보이고 고주파 band가 낮은 power를 나타냈으나 군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평균 동맥혈압과 심박수는 TZ 투여 10분 후 두 군 모두 상승하였으나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개에서 MED와 ZT 병용마취는 외과적 마취기에 우수한 진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독일세퍼드(German shepherd)종의 개심장사상충 감염실태 (A survey of canine heartworm infections among German shepherds in South Korea)

  • 이정치;이채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25-232
    • /
    • 1996
  • 전국 5개 지역에서 사육되고 있는 German shepherd종 개 127두(암컷 56. 수컷 71두)를 대상으로 필라리아자충검사법(modified Knott's test)과 성충항원검사법($DiroCHEK^{\circledR}$, Synbiotics. USA)을 이용하여 1994년 10월부터 1995년 8월 사이에 개심장사상충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필라리아자충 검사법에 의한 감염률은 10.2%(13/127)였으나 항원검사법에 의해서는 28.3%(36/127)를 보여 항원 양성견 36두 중 말초혈액에서 필라리아자충이 검출된 경우는 33.3%에 불과하였다 필라리아자충이 검출된 개들은 모두 항원양성반응을 보였다. 항원양성반응 을 보였으나 필라리아자충이 검출되지 않은 은폐감염견들 중 3두를 부검한 결과 심장과 폐동맥에 4-15마리의 개심장사상충 성충이 존재하여 항원검사법이 보다 정확한 검사법임을 시사하였다. 항 원검사법에 의한 지역별 감염률에 있어서는 강원도 횡성지역의 개들이 가장 높았으며(84.4%). 예 천과 중원지역은 20.0%와 14.3%로 각각 조사되었고 김해와 광주지역의 개들에서는 검출되지 알았다. 감염견들의 연령은 1-3세, 4-6세, 그리고 7-11세에서 6.3%. 21.4% 및 56.4%로 각각 조 사되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염률도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국내 개심장사상충의 감염률은 필라리아자충검사법에 의한 과거 조사(3.1~23.0%)에 비해 성충항원검사법에 의한 것이 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 PDF

Impact of Breed on the Fecal Microbiome of Dogs under the Same Dietary Condition

  • Reddy, Kondreddy Eswar;Kim, Hye-Ran;Jeong, Jin Young;So, Kyoung-Min;Lee, Seul;Ji, Sang Yun;Kim, Minji;Lee, Hyun-Jung;Lee, Sungdae;Kim, Ki-Hyun;Kim, Min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1947-1956
    • /
    • 2019
  • The gut microbiome influences the health and well-being of dog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breed on the fecal microbiome composition in dogs. Therefo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fecal microbiome in three breeds of dog fed and housed under the same conditions, namely eight Maltese (8.0 ± 0.1 years), eight Miniature Schnauzer (8.0 ± 0.0 years), and nine Poodle dogs (8.0 ± 0.0 years). Fresh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ogs and used to extract metagenomic DNA. The composition of the fecal microbiome was evaluated by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on the MiSeq platform. A total of 840,501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25 fecal samples and classified as Firmicutes (32.3-97.3% of the total sequences), Bacteroidetes (0.1-62.6%), Actinobacteria (0.2-14.7%), Fusobacteria (0.0-5.7%), and Proteobacteria (0.0-5.1%). The relative abundance of Firmicut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altese dog breed than that in the other two breeds, while that of Fusobacter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tese than in the Miniature Schnauzer breed. At the genus level, the relative abundance of Streptococcus, Fusobacterium, Turicibacter, Succinivibrio, and Anaerobiospirillum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dog breeds. These genera had no correlation with age, diet, sex, body weight, vaccination history, or parasite protection history. Within a breed, some of these genera had a correlation with at least one blood chemistry valu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ecal microbiome in dogs is affected by breed.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걸린 개에서 혈장 D-dimer 농도 측정 연구 (Evaluation of Plasma D-Dimer Concentration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박정순;서상일;오연수;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8
    • /
    • 2015
  • D-dimer란 섬유소분해산물로 응고혈액이 섬유소용해 후에 혈액 내에 보이는 작은 단백질 파편이다. D-dimer의 농도는 혈전증과 혈전색전증을 결정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의에서 혈전색전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울혈성 심부전이기 때문에, 금번 연구에서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의 다양한 심각도를 가진 개들에서 혈전색전증의 정도와 위험성을 조사하였다. 혈장 d-dimer의 농도는 건강한 개 20마리와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의해 울혈성 심부전에 이환된 다양한 중등도의 30마리 개에서 평가되었다. D-dimer의 농도는 상품화 된 키트로 측정하였다. 혈장 D-dimer의 농도는 건강한 개체 집단과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이환된 집단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게다가, d-dimer의 농도는 심초음파 인덱스 중 대동맥대 좌심방비, 대동맥대 좌심실 이완말기 직경비와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고, 이번 연구 집단의 심부전의 심각도와도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금번 연구는 심부전을 가진 개에서 혈전색전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혈장 d-dimer의 농도 검사 자체가 개의 혈전색전증을 발견하는데 신뢰하지 못하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다.

개에서 발생한 원발성 녹내장 43례 (2006 ~ 2009) (A Retrospective Study of Primary Glaucoma in Dogs: 43 cases (2006 ~ 2009))

  • 박영우;정만복;박신애;김원태;김세은;안재상;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8-42
    • /
    • 2012
  •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the primary glaucoma (PG) and occurrence of primary glaucoma in initially non-affected normal eye. Medical records of 7751 dogs present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VMTH)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9 were examined. Among 7751 dogs, forty three dogs (0.55%) developed PG. The following breeds were included in the study: 18 American Cocker Spaniels, 17 Shih Tzus, 3 Mixed Breeds, 2 Malteses, 2 Pekingeses, and 1 Chow Chow. The mean onset age of PG in the first eyes was $7.1{\pm}2.3$ years in the all breeds. Compared with Mixed Breed (0.54%), American Cocker Spaniel (3.16%, p = 0.004) and Chow Chow (20%, p = 0.001) had a higher risk of developing glaucoma. Twenty six of 43 dogs (60.1%) were females with male-to-female ratio of 1:1.53. Twenty nine of 33 eyes (87.9%) developed glaucoma in the fellow eye within mean ${\pm}SD$ time of $17.5{\pm}2.7$ months. From this study, American Cocker Spaniel and Shih Tzu were the most frequent PG breed in Korea. Also, unilateral PG dogs developed glaucoma in the non-affected normal eye within approximately 17 months.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phylactic medical therapy with antiglaucoma agents should be considered to delay or prevent developing glaucoma in non-affected normal eye.

Tiletamine-Zolazepam에 의한 개의 마취에서 Flumazenil의 길항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Flumazenil on Tiletamine-Zolazepam Induced Anesthesia in Dogs)

  • 원흥석;이재연;정성목;이수진;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6-342
    • /
    • 2010
  • 본 연구는 tiletamine/zolazepam 대조군과 대조군에 benzodiazepine의 길항제인 flumazenil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취 효과와 혈액생화학, Vital sign, 마취회복시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건강한 6마리의 개들(평균 체중 $5.2{\pm}2.2$)이 실험에 이용 되었다. Tiletamine/zolazepam 을 투여하였고 20분 뒤에 benzodiazepine의 길항제인 flumazenil 0.1 mg을 투여하였다. 마취효과 (Sedation, analgesia, muscle relaxation, posture and auditory response score), Vital sign (심박수, 호흡수, 체온), 혈액 생화학 (GLU, TP, ALT, AST) 검사들이 두 그룹에서 tiletamine/zolazepam 투여전, 투여후 1, 5, 20, 30, 60 그리고 90분에 실시되었다. 또한 마취회복시간 (head up, sternal recumbency, standing and walking times)은 부동화 상태에서 각 행동양식 이 보이는 시간까지 측정되었다. Analgesia score는 투여 후 20분과 30분에, posture score는 투여 후 30분에 그리고 auditory response score는 투여 후 1분과 20분에 TZF그룹이 TZ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아 benzodiazepine에 대한 flumazenil의 길항효과를 나타냈다. 평균 심박수는 두 그룹 모두 투여 후 1분부터 급상승하여 유의하게 정상 심박수 보다 높았다. 평균 호흡수는 TZF그룹이 TZ그룹보다 유의하지 않았으나 높은 호흡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flumazenil의 투여는 tiletamine/zolazepam에 대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취로 부터의 회복에 있어서, flumazenil은 sternal recumbency, standing 및 walking times를 단축시켰다.

두 마리 개에서 완치가 어려운 구개 종양의 완화 수술 적용 증례 (Palliative Surgery in Two Dogs with Non-Curative Palatal Tumors)

  • 윤헌영;이정하;신동욱;박희명;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5-429
    • /
    • 2014
  • 식욕부진, 호흡부전, 또는 비출혈을 보이는 두 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호흡곤란, 개구호흡 및 커다란 구개 종양을 확인하였다. 신체검사 중 2 번 증례에서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과 산소 공급을 통해 안정화 되었다. 1 번 증례의 CT 촬영에서 경구개 연구개를 포함하는 구강 인두, 인두 내 입구, 인후두 부위의 종양을 확인하였다. 연하곤란 및 호흡부전 개선을 위해 보호자 동의 하에 완화 수술을 결정하였다. 종양 제거 후 발생한 결손 부위 재건을 위해 구강 내 점막을 사용하여 회전 및 전진 피판술과 양측 90o 자리바꿈 피판술을 1 및 2 번 증례에 각각 적용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두 마리의 개 모두에서 무멜라닌 색소성 흑색종이 진단되었다. 수술 후 7 일째 두 마리 모두에서 정상 연하와 호흡이 확인되었다. 수술 후 4 주째 1 번 증례의 수술 부위에서 재발된 종양이 관찰되었다. 보호자가 추가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연락 두절로 인하여 수술 후 2 개월 이후의 확인은 불가능하였다. 수술 후 3 주째 2 번 증례의 신체검사 및 방사선 촬영에서 국소적인 재발 및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수술 후 7 주째 유선상으로 확인한 결과, 2 번 증례에서 원인불명의 갑작스러운 사망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