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astal sediments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3초

Employ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slow release Biostimulant ball in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s in Busan, South Korea

  • Song, Young-Chae;Subha, Bakthacachallam;Woo, Jung Hu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88
    • /
    • 2014
  • The Coastal sediment is highly contaminated due to ship transportation, industries discharges and urban sources. Various contaminants release into seawater and settle in marine sediment and it significantly affect marine eco system. In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optimization of slow release biostimulant ball (BSB) in coastal sediment in busan. The effective variables like BSB size, distance and month variables on VS reduction was determined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oefficient determination (R2) of VS was 0.9369 and maximum reduction of VS was obtained in 3cm ball size and 5.5cm distance and 4 month interval time.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BSB in effective VS reduction in coastal sediment.

  • PDF

준 폐수로로 유입되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Laboratory Study for Settling Velocities of Cohesive Sediments Entering in Semi-closed Channel)

  • 김동호;양수현;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327-33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침/퇴적특성 예측/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대표적인 준 폐수로인 경인 아라뱃길 주운수로와 연결된 3개 수역(인천해역, 굴포천, 한강수역)에서의 점착성 퇴적물 각각에 대한 침강속도가 실내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침강속도 측정결과, 전체적인 농도구간(0.1 < C < 90 g/L)에 걸쳐 굴포천(0.01 < $W_s$ <3.07 mm/s)과 한강수역(0.01 < $W_s$ < 2.97 mm/s) 하상의 점착성 퇴적물은 대체적으로 거의 유사한 크기의 침강속도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천해역 표층 점착성 퇴적물은 이들과는 크게 다른 침강속도(0.01 < $W_s$ < 0.92 mm/s)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수역별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해수(혹은 담수)의 특성들의 비교/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인천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 분포의 상이함은 주로 유체의 염도 차에 의해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Analysi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 Choi, Hee-Gu;Kim, Sang-Soo;Jeong, Seung-Ryul;Lee, Pil-Yong;Moon, Hyo-B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4호
    • /
    • pp.101-108
    • /
    • 2001
  • Polybrominated diphenylether (PBDEs) congeners, 2,4,4'-TrBDE, 2,2',4,4'-TeBDE, 2,2',4,4',5-PeBDE, 2,2',4,4',5,5'-HXBDE, and 2,2',4,4',5,6-HxBDE, were measured in sediments from 52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er detector (GC/MSD) with positive electron impact (PEI) mode. New analytical methodology for PBDEs by the isotope dilution method was established using a multi-layer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otal PBDEs levels in sediments for Pohang coast ranged from 1,1 to 33.8 ng/g dry weight (mean 5.3 ng/g dry), from 1.6 to 36.4 ng/g dry weight (mean 5.7 ng/g dry) for Ulsan coast, from 0.8 to 20.3 ng/g dry weight (mean 4.9 ng/g dry) for Busan coast, and from 0.8 to 10.3 ng/g dry weight (mean 4.4 ng/g dry) for Jinhae Bay. PBDEs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Korean southeastern coasts was relatively moderate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marine environment in the world. The predominant PBDE congeners were 2,2',4,4'-TeBDE and 2,2',4,4',5-PeBDE.

  • PDF

남동해 연안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및 생태위해도 평가 (Trace Met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Southeast Coastal Areas of Korea)

  • 황동운;최민규;임재현;이인석;이가람;나수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38-448
    • /
    • 2023
  • The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and organic matters in marine sediments collected from southeast Korean coastal areas were investigat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status, spatial distribution and potential ecological risks associated with the physiochemical composition in the studied areas. We foun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in marine sediments were as follows: Fe > Mn > Zn > Cr > Pb > Cu > As > Cd > Hg. According to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of Korea, concentrations of Zn, Cr, Cu and Cd at all sampling sites were below threshold effect levels (TEL). However, concentrations of As, Hg, and Pb (i.e., at the 94-98% of sampling sites), were below the TEL. In addition, concentration factors (CF) in the surveyed area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ow ecological risks, whereas As, Hg, and Cu showed moderate to high risk levels in some inner parts of the studied bays. Finally, the pollution load index (PLI) and ecological risk index (ERI) of the elucidated metals were linked to moderate ecological risk, pointing to the possibility of being deleterious to some benthic organisms.

The heavy Minerals of the Recent Sediments of North Carolina Sounds and Estuaries In U.S.A

  • Park, Byong-Kwo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73
    • /
    • 1972
  • The heavy minerals of a barred estuarine and lagoonal sediments along the North Carolina coast have been studied with more than one hundred samples. Currents, salinity, and pH exhibit well-developed gradients from the upstream parts of the estuaries on the west toward the open ocean on the east. Twenty- four heavy minerals were identified in sediments of the study area. However, less than half of these occur frequently and the remainder exist only in minor quantities or trace amounts. Heavy minerals usually comprise less than 1% of the sample but vary from sample to sample. The maximum amount of heavy minerals in sediments of sounds and estuaries is 2.4% and in sediments of Outer Banks is 16.7%. Opaque minerals range from 10 to 85% of the total heavy mineral assemblage. Garnet and sillimanite are relatively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than the western part in the area. Garnet more abundant in the northern part than the southern part, whereas sillimanite is more abundant in the southern part than the northern part, because the garnet source is in the northern part and one of the sillimanite source is in the southern part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heavy mineral study indicate that the source of sediments is the Blue Ridge and Piedmont crystalline complex, and Coastal Plain formations. Some portions of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Atlantic Ocean by the landward currents. They further indicate that the sediments of the Atlantic coast in the study area are transported mainly from the northern part to southern part by longshore littoral currents, and some portions of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southern part to the northern part by the Gulf Stream.

  • PDF

군산해역 미세-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의 계절적 변화 해석 (Analysis on Seasonal Variation of Settling Velocity of Fine-Cohesive Sediments in Kunsan Coast)

  • 황규남;천민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2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Proceedings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in Korea
    • /
    • pp.216-220
    • /
    • 2002
  • 대부분의 하구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미세-점착성 퇴적물은 과다 침식 혹은 과다 퇴적으로 인한 해안 침식 및 항로 매몰 등의 문제와 독성 물질과의 용이한 결합 및 수체 내 태양광 투과능 저하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 등을 야기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략)

  • PDF

준설로 인한 부유토사 확산 거동에 대한 수치모의 (A numerical simulation of dispersive transport of dredge-induced suspended sediments)

  • 강인남;이정렬;강시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369-375
    • /
    • 2003
  • 최근 항만 공사나 항로 유지를 위한 준설공사가 도처에서 시행되고 있다. 준설공사시에 사업자가 우선적으로 판단해야 할 점은 준설로 인한 페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폐해들 중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준설로 인해 재부유되는 퇴적물들의 확산이다. (중략)

  • PDF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Erosion Rate of Fine Cohesive Sediments)

  • 황규남;소상돈;김태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8
    • /
    • 2005
  •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목적으로 국내 최초로 환형수조가 제작되었으며, 수조의 성능, 실험 방법 및 결과 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고령토를 이용한 침식실험이 수행되었다.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총 4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한계 전단응력과 침식률 계수가 산정되었다. 기존의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cdot$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특수 제작된 환형수조는 성능상에 문제가 없음이 간접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균일저면의 제작과정을 포함하는 침식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해양에서 유출된 C중유의 토양 침투 거동 (Penetration Behavior of Spilled Fuel Oil C into Coastal Sandy Beach)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44
    • /
    • 2003
  • 해상에서 유출된 기름의 조간대 토양 침투에 관한 정보는 유출된 기름의 생태계 피해와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처리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지형의 조간대 모형을 이용하여 파도와 조석에 의한 유출된 기름의 토양 침투 거동을 파악하고, 침투에 미치는 주된 영향인자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수와 유출된 C중유의 연안 해변 토양 침투는 전혀 다른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는 파도와 조석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서 토양 중으로 침투를 하였으나, 유출된 C중유는 파도에 의해서는 침투되지 않고 조석작용에 의해서만 토양 중으로 침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방미터당 1 L의 유출유가 표착하였을 경우 약 80%이상의 유분이 토양 표층 2 cm의 부분에 집중되는 침투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출된 기름의 토양침투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존하는 기름의 점도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산항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positional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in Masan Port)

  • 양수현;김남훈;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434-44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연시료에 대한 퇴적 매개변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환형수조를 이용한 퇴적실험이 수행되었다. 퇴적실험을 위해 마산항이 대표 해역으로 선정되어 시료가 채취되었으며, 퇴적실험은 초기농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바닥전단응력의 크기만을 변화시키면서 총 18회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퇴적실험 결과, 마산항 갯벌 점착성 퇴적물의 최소전단응력 ${\tau}_{bmin}$과 퇴적률 매개변수 ${\sigma}1$$({\tau}_b^*-1)_{50}$은 각각 $0.10N/m^2$, 0.54, 0.87로 산정되었으며, 과거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본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