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lack goa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흑염소 사육농가의 질병발생 실태조사 (A Survey of Disease Occurrence in Korean Black Goats)

  • 최창용;강다원;최순호;조창연;정병열;손준규;류일선;허태영;정영훈;강석진;도윤정;김의형;박용상;손동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0-164
    • /
    • 2012
  • 우리나라에서 흑염소는 오랫동안 육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육되어 오고 있다. 흑염소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사육농가에서 복잡 다양한 질병이 발생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임실, 순창과 경남 함양, 사천에 소재한 6개 흑염소 전업농가를 대상으로 흑염소에서의 질병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 흔들이병의 발생현황을 확인하였다. 질병의 발병율은 성축에서 2.0% ~ 9.8%를 나타낸 반면, 자축에서는 2.9% ~ 68.3%를 나타내어 어린 가축에서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발생된 질병중 신생축의 대사성 산증에 의해 유발되는 흔들이병이 전체 발생질병중 40.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설사병 37.7%, 호흡기질환 16.0%, 피부질환 1.9%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질병에 의한 폐사율은 성축에서 0.7% ~ 10.0%를 나타낸 반면, 자축에서 2.2% ~ 24.9%로 성축에 비해 높은 폐 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질병별 폐사비율로는 흔들이병이 38.3%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 설사병 28.9%, 호흡기질환 10.0%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육하는 흑염소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폐사되는 질병으로 신생자축의 흔들이병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를 기반으로 흔들이병을 포함한 흑염소에서 발생되는 질병의 정확한 발생기전과 치료 및 예방대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Occurrence, clinical signs, postmortem lesions and etiology of enterotoxaemia in Black Bengal goats

  • Islam, K.B.M. Saiful;Rahman, Md. Siddiqur;Ershaduzzaman, Md.;Taimur, M.J.F.A.;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75-484
    • /
    • 2008
  • A year round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tiology, clinical signs, postmortem lesions and occurrence of naturally occurring enterotoxaemia in Black Bengal goats. Sixteen goats of different age and sex died in different seasons with sigh associated with enterotoxaemia mad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Accidental access to large amount of concentrate was noted as one of the predisposing factors although few cases were reported to occur without known diet change. Younger animals(50%) and males(62.50%) were found more prone to the disease and it was likely to be more prevalent during winter(50%) followed by at rainy season(31.25%) and summer(18.75%). Diarrhoea(81.25%), dullness(56.25%), drooping of the ears(50%), anorexia(43.75%) were recorded as major clinical signs whereas enterocolitis(100%), lung edema(87.50%), fluid filled intestines(87.50%), enlarged mesenteric lymph nodes(56.52%) etc. were most common post mortem lesions found. A few cases showed lesions on heart(31.25%), brain(25%) and/or liver/spleen(18.75%) but no lesion was found on kidney. Thus the so called 'pulpy kidney' lesion was absent. Intestinal contents were subjected to conventional bacteriological culture based methods to identify the causal agent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ultur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he causal agent was identified as Clostridium perfringens. Despite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certain area it showed a clear picture of goat enterotoxaemia in terms of etiology, clinical signs, postmortem lesions and occurrence of goat enterotoxaemia in Bangladesh.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에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centrate Levels Based on Whole-Crop Barley Silage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Growing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김상우;김원호;손동수;조익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27-534
    • /
    • 2008
  • 본 시험은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흑염소 육성축 수컷 36두를 공시하여 대조구는 볏짚과 농후사료 수준을 체중의 2%로 급여하고 처리구는 청보리 사일리지와 농후사료 수준을 각각 체중의 2.0, 1.5 및 1.0%로 급여하여 2007년 5월 14일부터 2007년 10월 12일까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보다 BS 1.5와 BS 2.0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1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가 689.3g으로 BS 1.0구의 585.5g 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BS 2.0구의 734.3g 보다는 유의하게 낮게 섭취하였다(p<0.05). 도체율과 정육율은 BS 2.0과 BS 1.5구가 대조구와 BS 1.0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전단력과 보수력은 BS 2.0구와 BS 1.5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관능검사는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개선을 위한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1.5%가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 첨가 TMR 사료 급여가 거세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s with Corn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Castrated Korean Black Goats)

  • 김상욱;최영선;유대중;구민정;이기호;박상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0-356
    • /
    • 2016
  • 본 연구는 TMR 사료내 옥수수 첨가비율이 비육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축산연구소에서 평균 3개월령 이유 거세흑염소 32두(평균체중 15.9 kg)를 대상으로 총 14개월간 수행하였다. 시험설계는 TMR 사료에 옥수수 15.0% 첨가 (T1), 옥수수 25.0% 첨가 (T2), 옥수수 35.0% 첨가 (T3), 대조구는 시판 배합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당 8두씩 시험축을 임의배치 하였다. 연구결과, 출하체중은 T2구에서 58.9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53.1 kg 순이었다. 일당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T2구에서 각각 100.2 g, 1,346 g으로 가장 높았으나, 사료요구율은 T2구에서 오히려 13.4로 가장 낮았다. 도체중은 T2구에서 35.3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도체율은 T3구에서 61.5%로 가장 높았다. 육질특성 중 지방함량이 T2구에서 6.54%로 가장 높았으며, 가열감량은 대조구에서 15.2%로 가장 낮았으며 향미는 대조구에서 5.3으로 가장 높았다. 지방산 성분 중 oleic acid (C18:l)와 palmitic acid (C16:0)은 T2구에서 각각 48.6%, 22.4%로 가장 높았으며, stearic acid (C18:0)는 T1구에서 14.5%로 가장 높았다.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에서 58.8%로 가장 높았으며 T3구 58.2%, T2구 57.8, T1구 54.4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흑염소의 생산성 향상 및 육질개선을 위해서는 흑염소 TMR 사료에 옥수수를 25% 첨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거세시기에 따른 재래흑염소 육의 육질 및 관능적 특성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by Different Castration Age)

  • 김병기;황은경;김수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9-426
    • /
    • 2010
  • 재래흑염소를 각 처리구별로 8두씩 배치하여 총 32두(4처리$\times$8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생후 5개월령의 비거세구)와 3개 처리구(T1구: 7개월령 거세구, T2구: 5개월령 거세구, T3구: 3개월령 거세구)로 구분 배치하여 총 410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육 전기간(410일간) 동안의 총 증체량은 T2구(28.4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당증체량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총 사료섭취량는 T3구가 410.82 kg으로 가장 낮았고, 사료요구율은 T2가 16.39로 사료효율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흑염소 육의 가열감량과 드롭로스는 대조구가 각각 35.53%와 2.08로 가장 높았고(p<0.05), 총 콜레스테롤함량은 시험구가 대조 구 보다 더 높았다(p<0.05). 또한 관능검사의 다즙성, 연도, 향미, 조직감, 염소 특이취 및 종합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아 더 좋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였으며(p<0.05), 그 중에서도 T2구(3.61점)가 가장 좋았다(p<0.05). 육색에서 명도(L)값과 Hue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적색도(a)값은 T3구, 황색도(b)와 Chroma는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은 T2구가 53.76%으로 나타났고,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MUFA)은 T1구와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따라서 MUFA/SFA의 비율은 T1구와 T2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고품질 흑염소육 생산을 위해서는 생후 5개월령의 거세가 생산성과 육질개선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료원 종류가 거세 염소(Capra hircus)의 영양소 소화율 및 온실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 Castrated Goats (Capra hircus) Fed Various Roughage Sources)

  • 나영준;황석진;최용준;박기태;이상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43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roughage source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enteric methane ($CH_4$), and carbon dioxide ($CO_2$) production in goats. Four castrated black goats ($48.5{\pm}0.6kg$) were individually housed in environmentally controlled respiration-metabolism chambers. The experiment design was a $4{\times}4$ balanced Latin square design with 4 roughage types and 4 periods. Alfalfa, tall fescue, rice straw, and corn silage was used as representative of legume, grass, straw, and silage, respectively.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r (p < 0.001) in corn silage than in alfalfa hay. Dry matter digestibility of alfalfa hay was higher than those of tall fescue or rice straw (p < 0.001).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of tall fescue was lower (p < 0.001) than those of alfalfa, rice straw, or corn silage. Daily enteric $CH_4$ production and the daily enteric $CH_4$ production per kilogram of $BW^{0.75}$, dry matter intake (DMI), organic matter intake (OMI), digested DMI, and digested OMI of rice straw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all fescue but were higher (p < 0.001) than those of alfalfa or corn silage. Roughage type had no effect on enteric $CO_2$ emission in goats. Straw appeared to generate more enteric $CH_4$ production than legume or silage, but similar to grass.

Characterization of Trueperella pyogenes isolated from caseous lymphadenitis lesions in Korean native goats

  • Aftabuzzaman, Md.;Espiritu, Hector;Kim, Seon-Ho;Mamuad, Lovelia;Jin, Su-Jeong;Lee, Sang-Suk;Cho, Yong-Il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21-326
    • /
    • 2021
  • The study characterized Trueperella pyogenes (T. pyogenes) from caseous lymphadenitis (CLA) in Korean native goats (KNG). CLA samples (n=191) were obtained from abattoir-slaughtered KNG. Pus were obtained and Corynebacterium pseudotuberculosis was detected by PCR using PLD gene. Three PLD-negative samples (1.57%) from supramammary lymph node were subjected to bacterial cultur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and biochemically characterized by APIZYM. Phylogenetic and biochemical analyses identified the isolates as T. pyogenes, and have shown separate clusters and varied enzyme reaction, suggesting genotypic and phenotypic diversity. This first report of T. pyogenes-induced CLA in KNG provided inform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s.

산지초지를 이용한 방목유형별이 유기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Grazing Types of Hilly Pasture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Organic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김상우;손동수;전병수;이성훈;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9-320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흑염소 생산에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유형이 다른 산지초지에 방목하여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40두를 4처리구 (개량목초구, 유기목초구, 산야초구, 수엽류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공시하여 2007년 5월 15일부터 2007년 11월 5일까지 174일간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방목지에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개량목초구가 다른 시험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도체율은 개량목초구와 유기목초구가 산야초구와 수엽류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정육율은 개량목초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흑염소 고기의 조지방은 산야초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고기의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은 개량목초구 보다 유기목초구, 산야초 및 수엽류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아라키돈산은 산야초와 수엽류구가 다른 시험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전단력은 산야초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중 다즙성과 연도는 유기목초구와 산야초구가, 풍미는 산야초구와 수엽류구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산지에 방목 사육된 유기흑염소는 관행구에 비해 다소 생산성과 도체특성은 낮으나 육질 및 물리적 특성이 뒤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 높은 유기축산물 생산으로 농가소득 증대 뿐 만이 아니라 소비자 요구충족에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oncentrate in the Diet on Physicochemical Trait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Meats

  • Kim, Sang Woo;Park, Seong Bok;Kim, Myeong Jik;Kim, Dong Hun;Yim, Dong-Gy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57-463
    • /
    • 2014
  • The effects of feeding of diets based on roughage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on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black goats were investigated. The 40 male goats at 5 mon age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T1 (1.5%), T2 (2.0%), T3 (2.5%) and T4 (ad libitum) feeding of concentrate with ad libitum rice straw. Forty bucks at the end of the feeding were fasted for 12 h before slaughter and were then slaughtered. For carcass measurement, cold buck carcasses were examined after 24 h of chilling at $5^{\circ}C$. The carcasses were chilled in refrigerator at $2{\pm}2^{\circ}C$ for 24 h, then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was removed from the carcasses. The samples were separately vacuum packaged, frozen and stored at $-20^{\circ}C$ for up to 1 mon, prior to physicochemical evaluations. Carcass yields were greatly affected by rate of concentrate feeding. T4 showed the heaviest live and carcass weights and the highest dressing and fat percentages (p<0.05). The moisture contents were lower in T4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while the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higher (p<0.05).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 T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whic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s of oleic acid (C18:1). For the sensory test, T4 was tenderer and produced better flavor scores than others. Increasing the level of concentrate in the diet resulted in an improvement i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at meats.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Black Bengal Goat Oocytes

  • Haque, Aminul;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Khatun, Momena;Shamsuddin, Mohammed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28
    • /
    • 2011
  • In vitro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oocytes are primary steps towards biotechnological manipulation in embryology.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termine the oocyte recovery rate per ovary, in vitro maturation rates of oocytes and rates of parthenogenetically activation of matured oocytes in Black Bengal goats. All visible follicles were aspirated to recover follicular fluid from individual ovaries (number of ovaries = 456). The immature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n = 1289) were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supplemented with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for 27 hours at $39^{\circ}C$ with 5% $CO_2$ in humidified air. The matured oocytes (n = 248) were activated with 5 ${\mu}M$ ionomycin for 5 minutes followed by treatment with 2 mM 6-dimethylaminopurine (6-DMAP) for 4 hours. After activation, oocytes were cultured for another 14 hours in TCM-199 supplemented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at $39^{\circ}C$ with 5% $CO_2$ in humidified air. The pronucleus formation in activated oocytes was determined by staining with 1% orcein (whole mount technique). Matured oocytes (n = 176) without activation stimuli were used as control.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covered per ovary was $3.5{\pm}0.5$. The proportion of oocytes matured in vitro,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first polar body, was $42.1{\pm}4.7%$. Parthenogenetic activation, evidenced by formation of pronucleus, occurred in $37.2{\pm}15.8%$ of matured oocytes. No pronucleus formation was observed in control oocytes. In conclusion, a combination of ionomycin and 6-DMAP induces activation in one third of Black Bengal goats' o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