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Pavilion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다중 지점 지상레이저스캐닝에 의한 전통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의 3차원 모델링 (3D Modeling of Both Exterior and Interior of Traditional Architectures by Terrestrial Laser Scanning at Multi-Stations)

  • 이진덕;방건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7-135
    • /
    • 2021
  • 본 연구는 지상 라이다에 의해 획득된 두 가지 유형의 한국전통양식의 건축물에 대한 스캔 데이터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제시하고 전통건축물, 문화재, 고고학적 유적지 등을 수치적으로 기록·문서화하기 위한 3D 측량방법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상레이저실측을 통한 수치적인 기록화를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고건축물이나 문화재 등은 모든 방향에서 데이터를 취득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물 주위의 다중 지점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합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레이저 스캔 데이터로부터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 양면을 동시에 자동적으로 재구성하는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경관형용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엄성준;김남춘;김상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4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Hence, in this paper we utilized landscape adjectives as a way to enhance the objectivity of the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landscape assessment. More specifically, not only this study used a landscape image of an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to identify a landscape adjective suitable for the landscape elements but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landscape adjectives compar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and the public.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2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of deriving the landscape adjectives from the main landscape elements, there were nine landscape adjectives that were consistent with experts and the public, including "clear" and "Artless" for rice paddies and fields, while the mismatched landscape adjectives were 'traditional'. The accent planting was a combin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such as 'natural' and 'clear', while the windbreak trees was a consensus of all landscape adjectives. Only two adjectives, 'friendly' and 'wild', agreed on the dirt load, nine dum-bung(small pond), ten natural small river, nine duckery, eight one-storied houses, 10 pavilion, eight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and three natural waterways.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windbreak trees, pavilions, and natural small river, all 10 landscape adjective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ree of the 10 landscape types on the dirt road and the natural number are matched. Thus, additional management measure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Artless" and "friendly" 13 times. The landscape adjective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responded by expert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natural, clear, zingy, silent, traditional, artless, friendly, wild and Leisurely, and consistent with the general public's opinion.

광한루원(廣寒樓苑)에 내재(內在)된 상상환경요소(想像環境要素) 고찰(考察) (Considerations on the Imaginary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Gwanghalu Garden)

  • 심우경;박주성;정용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8
    • /
    • 2010
  •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78 일대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6,000여$m^2$의 연못을 파고 월궁(月宮)을 상징하는 각종 상상환경요소들을 도입하여 조영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관아정원(官衙庭苑)으로서 천문(天文)적 우주를 축소하여 상징적으로 조성한 역사적 공공정원이다. 또한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고, 선도적 신선사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현한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한루 및 광한루원의 1) 점경물에 표현된 상상환경 요소, 2) 단청, 편액, 그림, 문양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 3) 시인묵객들의 시문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의 사상적 배경과 상징성을 파악해 보고, 조경설계에서 서구의 과학적 접근에 의해 단절된 상상환경을 자연환경, 인공환경 외 제3의 환경으로서 그 가치를 강조하고, 현재 재조명되고 있는 상상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전통조경에 내재된 상상환경을 현대조경교육에 계승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를 삼고자 하였다.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A Foreign Visitors Recognition with Respect to Koreaness of 'Seoul Garden' in Berlin, Germany)

  • 윤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7
    • /
    • 2018
  •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 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문화에 대한 인지성 분석 등 다각적인 차별화 방안이 향후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문 전후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 결과는 사전정보 없이 방문한 이용객의 경우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고, 재방문 의사도 높게 나타나 서울정원이 한국전통정원의 홍보와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성을 표출하고 있는 서울정원의 선호요소 중 수경관의 폭포와 계류, 정자와 자연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계개념에서 제시한 독락당과 별서정원의 입지구조, 독락당 전면 너럭바위와 계류를 모티브로 한 한국정원의 경관연출기법이 중국과 일본의 전통정원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리적 환경에서 지배적인 정원 건축물에 대한 양식적 차이와 함께 한국적 자연경관 형성을 통한 정원의 연출은 외국인에게 독특한 정원요소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K-pop 스타 상징물과 전통문양을 결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 BTS의 'IDOL'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Combining K-pop star Symbols and Traditional Patterns - Focusing on BTS 'IDOL' -)

  • 이경순;최윤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22
  • K-pop stars are an important influence in the era of digital culture based on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ly express the identity and worldview of their music in the virtual and real world, and to promote Korea's current and past culture. The study also intends to appeal to the emotions of the global fans by designing original textile in their music video 'IDOL' on Tiny TAN - a symbol of world pop star BTS. For design development, traditional Korean images shown in the 'IDOL' video were collected, patterns for each member were selected, and a motif was designed on Adobe Illustrator. We selected the dragon as the motif for V, cloud for Suga, chrysanthemums for Jin, mask for Jung Kook, hanok pavilion for RM, fan for Jimin, and Sam Taegeuk for J-Hope. The selected motifs were designed as per the four textile design arrangement methods: square pattern, 1/2 half drop pattern, turn-around pattern, and panel pattern. The design was presented by mapping Kwaeja to Tiny TAN character. The developed textile design can be used not only for character costumes in virtual space, but also for various products such as clothes, accessories, bedding, cosmetics, stationery, and food. By using it to produce goods inspired by K-pop star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competitive products in the global market and create synergy effects of K-Design, which would lead a new trend in the design world.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Wooden Frame Structure of Kumdang in Yongamsaji)

  • 윤재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5호
    • /
    • pp.25-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삼척 준경묘와 영경묘의 풍수적 입지와 공간구성 (The Feng-Shui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Junkyung and Youngkyung Tomb at Samcheok)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35-142
    • /
    • 2010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omb sites including tomb mound and attached buildings and also to find out the principles reflect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Feng-Shui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Junkyung and Youngkyung tomb at Samche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se tombs harmonize with each other in the cosmic dual forces because Junkyung tomb is men's sex symbol and tiger to lie on his belly and Youngkyung tomb is women's sex symbol in geographical feature. Spatial structure in these tomb sites were placed in a reflected line following the hierarchy of metaphysics by standing high Geumchunkyo(Bridge)-Hongsalmun(Gate)-Jegak(Pavilion)-Bongbun(Tomb mound). Axis structure of these tombs is irregular bent-axis type from Geumchunkyo to Bongbun, specially in case of Youngkyung tomb it is getting more refractive. These tombs are divided into and characterized by three zones. Firstly the space for living people constitutes from Geumchunkyo to Hongsalmun, secondly the semi-sacred space constitutes from Hongsalmun to Jegak, and lastly the space for the dead constitutes from the back of Jegak to Bongbun. - type Jegak instead of T type Jegak generally used at Chosun Dynasty was installed because of claypan stretched out in front of Junkyung tomb and Bongbun of Youngkyung tomb located at a ravine between two mountain ranges.

탑골공원 설계 (Design of Pagoda Park,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2-49
    • /
    • 2001
  • This design proposal was presented to a design competition for renovation of the Pagoda Park, located in Chongro-2ga, Chongro-gu, Seoul, where the first ˝Manse˝ (hurrah) Movement fighting against Japanese colonization, broke out on March 1st, 1919. The park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first modern park in Korea also. The objectives for the design were to make a sacred place to commemorate the 3.1 ˝Manse˝ Movement, to preserve and symbolically memorialize historic remains of the old ˝Wongaksa˝ Temple, an to provide natural and rest areas for citizen. For the space composition, three axes symbolic of, ´freedom and independence´, ´mercy´, and ´nature´, were created.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axis, exiting facilities, such as statures and monuments related to the 3.1 Movement, were relocated centering around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vement, to give order of the site. For the ercy axis, symbols of traditional temple structures, such as, ´Iljugate´-´Pian bridge´-´Chongwang gate´-´Haetal gate´-Pagoda-Buddhist sanctum, were created to symbolize the temple remains and placeness. For the nature axis, tree groves, walking trails, and rest areas for citizen were provided around the site. As a whole the design provided structural orders from secular spaces outside to sacred spaces inside.

  • PDF

포항 칠인정원림(七印亭園林)의 조영특성과 '괴목(槐木)' 식재(植栽)의 문화변용(文化變容)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Acculturation of Planting of 'Guǐ(槐)' in Chirinjeong Wonlim of Pohang)

  • 노재현;한상엽;김정문;정푸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1
    • /
    • 2017
  • 포항 칠인정원림의 건립취지, 조형의도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조 누정 조영의 시대적 감각과 조영의장을 조명하고, 원림내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식재의 문화변용 현상을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주의 괴목(槐木) 식재로 인해 쌍괴정(雙槐亭)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은 칠인정(七印亭)은 고려말 관료 출신의 장표(張彪)가 태종9년(1409) 초곡리 사일마을에 건립한 은거형 정자이며, 칠인정원림은 쌍계구곡(雙溪九曲)의 제3곡인 초곡(草谷)의 핵심이기도 하다. 칠인정원림은 사일마을 비보숲 초입의 진입부(進入部)와 칠인정 및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로 이루어진 정자부(亭子部)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과 배롱나무로 이루어진 지당부(池塘部)로 구분된다. 칠인정 기문 내용이나 아들과 사위 7인의 인수(印綬)를 쌍괴수(雙槐樹)에 내건 것에서 기인된 당호(堂號)로 볼 때, 초건 시 식재한 괴목과 그 이후 보식(補植)한 수종 또한 삼공(三公)의 지위와 학자수(學者樹)를 상징하는 회화나무(홰)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뿐만 아니라 영조21년(1745) 보식한 수종이 현재 칠인정에 존치하는 느티나무(괴)라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칠인정 담장 밖의 회화나무가 당시 식재한 그 수목임을 배제할 수 없다. 요컨대 느티나무와 함께 칠인정원림에 심겨진 3주의 회화나무는 인동장씨 후손들이 회화나무(홰)와 느티나무(괴)의 차이점을 인식하였음을 알리는 최소한의 징표가 아닐 수 없다. 회화나무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한편으로 회화나무로, 다른 한편으로 느티나무로 인식되었고 점차 구입용이성, 성장속도, 장수목으로의 성장가능성에서 회화나무와 비교우위에 있는 느티나무를 회화나무 대용(代用)으로 혼용한 자발적 문화변용 현상을 칠인정원림의 괴목 식재사례를 통해 목도(目睹)하게 된다.

편액을 통해 본 중국 졸정원의 의미와 공간 특성 (A Study on the Mean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Zhuozhengyuan from the Tablets)

  • 함광민;손용훈;이수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8-109
    • /
    • 2017
  • 졸정원의 편액에 함의된 사유의 특성을 인지하고 유형화(類型化)하여, 공간과의 접목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졸정원의 편액은 세 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A그룹은 탑, 배, 삿갓 등을 포함하는 인공요소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선비가 갖추어야 할 기품과 청렴한 정신을 강조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누와 정자 등 조망성이 좋은 건축물이 이에 속하고, 수변에 근접하여 건축물의 한 면이 수면과 일체화된 것이 특징이다. B그룹은 비, 바람, 눈 등을 포함하는 기후요소를 통해 일시적 경관을 묘사하거나 정경적 분위기를 운운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풍경을 조망하기에 좋은 가산의 정상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C그룹은 연꽃, 목련, 매화, 대나무 등 식물요소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정자, 관, 각, 당 등 다양한 건축물이 이에 속하며, 건축물은 수면과 직접 혹은 평대를 사이에 두고 일체화되며 원림 전 영역에 산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편액의 유형 빈도가 높은 것을 토대로 영역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서부 영역은 A그룹이 다수 분포된 곳으로써, 편액에 함의된 유희와 관념이, 경물의 형태와 위치, 감상자의 시점, 풍경의 구도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공간의 질서를 향상시켰고, 이는 사유의 범위를 영역 전체로 확장하는 특성으로 이어졌다. 반면 중부 영역은 C그룹의 편액이 다수 분포된 곳으로써, 편액명으로 이용된 수목의 고유한 성질과 형태가, 정자, 당, 관, 각 등의 다양한 건축물과 연계되어 공간 특유의 정체성을 형성시켰고, 결속과 독립의 방식으로 원림의 사유세계와 연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