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ea

검색결과 2,951건 처리시간 0.031초

시판 녹차로부터 Theanine 함량의 분석 (Analysis of Theanine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 최성희;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7-179
    • /
    • 1992
  • 아미노산 자동분석계를 이용하여 생체분석법으로 수확시기와 제조공정이 다른 6종류의 시판 녹차를 시료로 하여 아미노산 중 특히 theanine을 중점적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찐 1번차에서 Theanine의 함량은 2235mg%였고, 수확시기가 늦은 2번차, 3번차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볶은 1번차에서는 2106mg%이었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찐차에서와 같이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theanine의 함량은 찐 1번차와 볶은 1번차의 경우 전 아미노산 peak 면적의 약 55%를 차지했다. 제조공정이 다른 찐차와 볶은차에서 theanine의 함량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키토산과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인체친화적 자외선 차단 셀룰로오스 섬유의 개발 -키토산 매염과 녹차추출물 재염의 효과를 중심으로- (Developing Human-friendly UV Protective Cellulose Fabrics Using Chitosan and Green Tea Extract -Focusing on the Repetition Effect of Chitosan Mordanting and Green Tea Extract Dyeing-)

  • 정혜경;김신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17-826
    • /
    • 2009
  • As UV radiation to the earth increased over recent years, many adverse effects of UV radiation have been reported. There are needs to develop UV-protective apparel and accessaries to protect skin from these harmful effects. Cellulo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worn fiber during summer time. However, celllulose shows very low UV-protective property especially in case of thin and low fabric content. In this study, UV-protective cellulose textiles were developed using chiotsan mordanting and green tea dyeing. The repetition effect of chitosan and green tea treatment were focused. Three different cellulose fibers, cotton, linen, and ramie, were used for this study. All chitosan mordanted and green tea dyed fabrics showed increases in UV-protective property. The color of fabrics tended to darker as the numbers of mordanting process and green tea dyeing increased. UV-protective property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upon the repetition of mordanting and green tea dyeing treatment except ramie fabric. UV protective property was persisted upon washfastness test in all three cellulose fiber types.

쌀가루 입자크기와 녹차첨가량을 달리한 녹차다식 개발과 품질특성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 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09-614
    • /
    • 2007
  •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ere studied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and compared them with commercially sold dasik. Among the samples with the same number of grinding times, the sample groups with the higher amount of green tea showed significantly the less mosture content(p<0.05).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higher amount of green tea among the ones with the same grain size (p<0.05). The M13G0.5 was evaluated to have the highest savory aroma with significance (p<0.05), and C1 to have the highest sweetness by sensory analysis. The developed dasik samples with lower rice grain particle size had significantly lower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In sensory tests, the compa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savory aroma and flavor and very lower hardness when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With the results above, dasik with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were developed with improved qualitie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ly sold dasik.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의 기호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ld T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최옥자;이행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11-1020
    • /
    • 2003
  • 갈색도를 나타내는 420nm에서는 한국차의 경우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672nm에서는 녹차 및 반발효차에서 특징적인 peak를 보였고, 발효가 많이된 차일수록 감소되어 강발효차에서는 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녹차 및 각 발효차 가루 및 차추출액의 색도는 모두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정도가 같은 차라도 추출액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녹차와 각 발효차의 추출액에 대한 관능 검사의 결과 향미는 발효차의 경우 발효를 많이 시킨 차일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약발효차는 각 온도에서 향미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맛은 녹차의 경우 추출물의 온도가 60∼7$0^{\circ}C$일 때 가장 좋은 선호도를 보였고, 중발효차와 강발효차는 추출물의 온도가 9$0^{\circ}C$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차의 선호도는 녹차, 강발효차, 중발효차, 약발효차의 순이었다. 향기성분은 녹차에서는 7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29.919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linalool, geraniol, nerolidol, benzyl alcohol과 linalool oxide로 나타났다. 약발효차는 76개의 peak가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159.077 mg/kg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은 geraniol, linalool, linalool oxide, ethanol, benzyl alcohol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녹차의 성분과 유사하였다. 중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455.608 mg/kg이었으며, 주요성분은 ethyl acetate, 3-methylbutanal, ethanol, (E)-2-hexenal, (E)-geraniol, linalooloxide으로 나타났다. 강발효차는 79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총함량은 680.521mg/kg이며 주요성분은 3-methylbutanal, ethyl acetate, geraniol, ethanol, (E)-2-hexenal, hexanal, linalooloxide로 나타났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향기성분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알데히드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홍차(紅茶) 기호도(嗜好度)와 관련된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에 대(對)한 통계적(統計的) 분석(分析)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Black Tea)

  • 김영수;김혜영;남영중;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3
    • /
    • 1986
  • 국내산 홍차 1종과 외국산 홍차 9종을 혼합하여 제조한 28종의 홍차에 대하여 이화학적 분석 및 기호도 평가를 행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산과 비교할 때 국내산 홍차는 제품엽 밀도, caffeine, theobromin, 조 단 백 질, theaflavin, thearubigin, 가용성 고형분 함량에 있어서 가장 낮았으며, Hunter L 값과 b값, neutral detergent fiber, calcium 및 산화중합물비에 있어서는 가장 높았다. 외국산 홍차중에서 8종은 국내산 홍차를 혼합함에 따라서 기호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띠었다. 국내산 홍차보다 기호도가 높은 홍차의 수는 12종이며 이것은 주로 국내산과 외국산의 혼합홍차였다. 중희귀분석 결과 홍차의 기호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화학적 특성치는 침출액의 theaflavin, hunter a값, 가용성 고형분, 제품엽의 potassium으로 밝혀졌으며, 이 특성치에 의해 산출된 희귀식은 홍차의 기호도를 67%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각종(各種) 차류(茶類)의 기호(嗜好)에 관(關)한 한(韓).일(日)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Various Teas Between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 황춘선;박수옥;천염절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7-76
    • /
    • 1988
  • With a view to making comparative study and promoting the interchange of food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a sensory test was given to 60 female college students (30 Koreans and as many Japanese)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various tea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pecific tea and total evaluation: Significant level of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indicated in case of color, taste, and aftertaste by both Koreans and Japanese. In case of odor, and flavor the Koreans indicated insignificant level of nought, and the Japanese significant level of high negative correlation one. In sweetness and total evaluation the Korean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Japanese insignificant level of nought. 2. Comparison of preference of various teas by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1) Ginseng tea A and Ginseng tea B As to Ginseng tea A and Ginseng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liked flavor best. In general preference the Koreans liked them better than the Japanese,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2) Black tea A: As to Black tea A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taste, and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s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3) Black tea B. As to Black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color, and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1). 4) Coffee A.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flavor, and neither of the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5). 5) Coffee B. The Koreans liked color best while the Japanese flavor, and neither of the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5). 6) Green tea A and Green tea B. As to Green tea A and Green tea B, the Koreans liked odor best while the Japanese taste.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them better than the Koreans, both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7) Malcha (a kind of traditional Green tea) Both groups liked flavor best, in general preference the Japanese liked it better than the Koreans, and both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level (p <.001).

  • PDF

차를 이용한 수돗물 간접 음용시 수돗물 중 미네랄 함량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the Mineral Contents in Tap-water Drinking with Diverse Teas)

  • 김정희;류리나;송대성;이정엽;이영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511-5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돗물을 끓이는 과정에서의 잔류염소와 소독부산물 제거 특성과 더불어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성분의 용출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유해 중금속의 흡착 제거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차를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성분의 용출특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수돗물을 음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잔류염소농도 0.7 mg/L 수돗물을 약 20분 가열시 모두 제거되었으며, 소독부산물(THMs, HAAs, CH) 농도는 65%까지 감소하였다. 시판 차 5종(옥수수, 보리, 둥굴레, 현미, 결명자)을 이용하여 끓였을 때 인체 필수 미네랄 6종(칼슘,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황, 인)의 단위중량당용출량 총합은 결명자차가 최대 9.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현미차의 용출량은 1.6 mg/g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다른 미네랄에 비해 체내에서 정상혈압유지, 세포물질대사, 효소작용 등 중요역할을 담당하는 칼륨의 용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차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끓여 마시는 것만으로도 일부 미네랄성분은 한국인 영양권고 섭취량의 최대 40%까지 섭취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리차 제조시 수돗물 중 염소소독부산물의 제거 여부 및 보리차.옥수수차.결명차 중 Maillard 반응 생성물 동정 (Effect of Barley Tea on the Reduction of the Tap Water Chlorination By-Products in Top Water and Identification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the Extracts of Barley Tea, Corn Tea, and Cassia tora Seed Tea Using GC/MSD)

  • 이수형;김희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56-261
    • /
    • 1999
  • 볶은 보리 알과 보리 티백으로부터 일상적인 차를 만드는 과정에 따라 보리차를 제조할 때 염소로 소독된 물로부터 염소소독부산물의 수준이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았다. 수돗물과 두 종류의 보리차 중의 여덟가지 염소소독부산물 중에서 여섯 가지의 휘발성화합물들은 10분 동안의 가열한 후에 검출한계 이하가 되었으므로, 비휘발성 화합물인 dichloro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및 총잔류염소에 대해 서로 비교하였다. 가열전후의 상대적인 양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세 항목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원래의 물 중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봉우리들이 기체크로마토그래프/전자포획검출기 (GC/ECD)의 총이온크로마토그램(TIC)상에 나타났다. 증류되고 탈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보리차(알곡과 티백), 옥수수차와 결명차를 제조한 후 액-액 추출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선택검출(GC/MSD)을 이용하여 phenol류, furan류, pyrrole류 등 33종의 유기화합물을 분리 확인하였다.

  • PDF

녹차 염색 견포의 카테킨 함량 분석 (HPLC analysis of Catechins in The Residues After Dyeing Silk Fabrics with Korean Green Tea Extracts)

  • 손지현;천태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6-301
    • /
    • 2004
  • We focused our research interests on the characteristic of silk fabrics dyed with green tea extracts and, moreover, revealed the catechin content of silk fabrics after dyeing with Korean tea extract by measuring the residues. Three kinds of green tea samples were taken between April and May, 2003, from Bosung(southern province in South Korea), in different terms as the first corp, the second corp, and the third corp. Before and after dyeing the silk fabrics with these extracts, catechins in the residue were analyzed by HPLC. Four kinds of Catechins, such as (-)-epicatechin(EC), (-)-epicatechin gallate(ECG), (-)-epigallocatechin (Eg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were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extracts. Catechine contents in Korean green tea leaves depend on the making process such as heating and steaming, and the younger the richer. The absorbed catechins in sillk fabrics after dyeing followed in a decreasing order of EgCG>EgC>ECG>EC. We have found a 68% uptake of EgCG, and 116.8mg/g of EgCG in the silk fabrics after dyeing with 1% Korean green tea extracts.

  • PDF

First Report on Gray Blight of Tea Plant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in Korea

  • Shin, Gil-Ho;Park, Hyoung-Koog;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308-310
    • /
    • 1999
  • A fungus associated with gray blight on tea plant (Camellia sinensis) was identifed as Pestalotiopsis theae based on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Mycelial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and size and shape of conidia of P. theae were similar to those of P. longiseta, but P. theae was different from P. longiseta in the color of three median cells and the number of apical appendages. Artificial inoculation of conidial suspension or mycelial mats on the wounded leaves and shoots of healthy plants induced the same disease, respectively. The Korean native variety was relatively. The Korean native variety was relatively more resistat to P. theae than a Japanese variety‘Yabukita’which has bee recently introduced and planted in large areas of southern parts of Korea. Here, we report the report the first record of gary blight caused by P. theae on tea plant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