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trait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128초

바다갯고사리과(바다나리강, 바다나리목, 협중강아목)의 1 한국미기록종 (A New Record of Thalassometridae (Crinoidea, Comantulida, Oligophreata) in Korea)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85-189
    • /
    • 2004
  • 대한해협에서 채집한 바다나리류를 동정$\cdot$분류한 결과 바다갯고사리과 (Thalassometridae) 에 속하는 1종의 한국미기록종, 푸른발갯고사리 Parametra orion (A. H. Clark. 1907)로 밝혀져 재기재하고 보고한다. 바다갯고사리과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한국미기록종 의소지산호(Pseudocladochonus hicksoni)의 보고 (자포동물 문, 산호충 강, 소지목) (First Report of Pseudocladochonus hicksoni Versluys from Korea(Cnidaria , Anthozoa, Telestacea))

  • 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133-140
    • /
    • 1992
  • 한국산 산호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70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해산의 미포, 오륙도, 충무, 홍도, 범도와 제주도 해역의 서귀포에서 채집된 소지류의 표본들을 동정한 결과 한국미기록종목에 속하는 의소지산호(Pseudocladochonus hicksoni)가 한국미기록종임이 밝혀졌다.

  • PDF

Taxonomy of Cerianthus filiformis (Ceriantharia, Anthozoa) and Its Phoronid Associate, Phoronis australis in Korea

  • 송준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195-201
    • /
    • 1998
  • The tube anemone, Cerianthus filiformis Carlgren, was collected from nine localities in the Yellow Sea and the Korea Strait (the South Sea). Populations at different localities showed color variations in tentacles from pale brown to violet. This species is redescribed here because it shows the color variation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phoronid, Phoronis australis, which was newly recorded from Korean waters. The phoronid has black to purple tentacles shaded with the same color as the cerianthid's tube for mimicking.

  • PDF

사과포장용 골판지 라이너원지의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ner Board Used Corrugated Fiberboard Container of Apples)

  • 하영선;김수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0-153
    • /
    • 1998
  • As strait As a result of the quality research of liner boards used for the national-made corrugated boxes for apples, basis weight of each sample passed its tolerance within 4%. We found that KA, WLK, and SC liner boards showed better in relative bursting strength. SC, WLK, KA, and SK performed better in relative compression strength. WLK201 and KA210 were good for the outside liner, and K2200 was adequate for medium and inside liner. we classified WLK and KA liner boards as A grade and others as C grade.

  • PDF

Two New Species of Asterocheridae (Copepoda, Siphonostomatoida) from Korea

  • Kim, Il-Hoi;Je, Jong-Gee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05-314
    • /
    • 2000
  • Two new species of Asterocheridae are described from Korean seas: Acontiophorus pilosus associated with a bryozoan of Celeporina sp. in the Sea of Japan and Asteropontius bifurcatus associated with the antipatharian Antipathes japonicus in Jeju Island in Korea Strait. A key to the species of Acontiophorus is provided.

  • PDF

동해 난수역의 일차생산에 대한 대한해협 유입 영양염의 기여 (Contribution of Nutrient Flux through the Korea Strait to a Primary Production in the Warm Region of the East Sea)

  • 이동섭;노태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2호
    • /
    • pp.65-69
    • /
    • 2013
  • 대륙주변해인 동해의 일차생산력은 조사하기 쉬운 듯하지만 해황의 역동적 변동성 때문에 현장 관측으로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난수역의 평균적인(총)일차생산 배경값을 생지화학적 가설에 기반하여 추정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비혼합-부상 가설은 일단 일차생산이 오로지 대한해협을 통해 수송된 영양염에 의해서만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경우로서, 결과($209\;gC\;m^{-2}\;y^{-1}$)는 발표된 위성기반 순일차생산력과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일차생산이 100% 신생산에 의존한다고 가정했었기 때문에 이 구속을 풀어 신생산지표를 0.6이라 가정하면 일차생산력은 40% 가량 높아진다. 결과는 오로지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되는 영양염만으로도 기존에 알려진 일차생산을 지지하고도 남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배경값을 구하기 위해 배제시켰던 여러 가지 변동 요인들, 예컨대 용승, 지하수 유입, 대기 유입, 해양 투기, 태풍 등 배경에 더 해지는 교란은 모두 일차생산을 추가로 부양하는 요인이고, 여기에 아직 정량화 되지 못한 초미소남세균의 광합성에 대한 기여까지 고려하게 되면 실제 일차생산력은 배경값의 두 배 이상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에 일차생산력은 신생산지표가 0.6으로 알려진 페루 용승역과 비등한 규모가 된다.

마산만에서 관찰된 불연속층과 플랑크톤 군집구조와의 관계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 한명수;김세화;김영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9-471
    • /
    • 1991
  • 1989년 10월, 진해만에서 수괴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관련된 플랑크톤의 미세분포와 군집구조를 micro-scale 관측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부도수도 내측에는 비교적 온난, 저염의 성층화된 수괴(stratified waters)가 존재하였으며, 풍부한 클로로필양과 영양염류가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영양염류는 부도수도의 내측과 외측에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외만성 혹은 해양성의 식물플랑크톤(Chaetoceros decipiens, Rhizosolenia stolterforthii, Rhizosolenia styliformis, and Ceratium trichoceros)과 동물플랑크톤(Sagitta enflata, Oncaea venusta and Oikopluera longicaudata)은 부도수도 외측의 혼합된 수괴(mixed water)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는 부도수도해역의 정점 3과 4사이에서 염분과 영양염류의 구배에 따른 불연속층(discontinuous layer)이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하며, 이 불연속층이 플랑크톤 군집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도수도 내측에서는 클로로필양이 $80{\mu}g/l$ 이상인 식물플랑크톤 Patchs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플랑크톤 bloom시, 높은 동화율에 의한 silicate 고갈은 이 지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bloom 소멸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 PDF

2010년 국내 남해 해역에 출현한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의 형태 특성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 Observed in Korea Strait, 2010)

  • 허영백;박종규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35-343
    • /
    • 2014
  • 규조류 Pseudo-nitzschia는 아미노산의 일종 신경독인 기억상실성 패독 domoic aicd (DA)를 생산하여 주목받고 있는 속이다. 최근 2010년 여름철에 남해 EEZ 골재채취 단지와 거문도에서 Pseudo-nitzschia cf. brasiliana가 최고 우점종으로 출현하여 그 형태 특성을 관찰하였다. P. cf. brasiliana는 개각(valve)의 모양이 선형이었고, 길이와 폭은 각각 $51{\sim}76{\mu}m$, $1.9{\sim}2.6{\mu}m$이었으며 중간 공간(central interspace)은 없었다. $10{\mu}m$ 안의 등줄안다리(fibulae) 수와 점무늬열(striae) 수는 각각 30~37, 31~37이었다. 미소공(poroid)은 2~3줄이었으며, $1{\mu}m$안에 10~14개가 있었다. 이러한 형태 특성은 $10{\mu}m$ 안에 있는 등줄안다리(fibulae) 수와 점무늬열(striae)의 수, 미소공(Poroid) 수에서 P. brasiliana와 크게 차이가 났다. 따라서 P. cf. brasiliana는 P. brasiliana의 변종이나 신종으로 추정된다.

드레이크 해협 남부 코어퇴적물에서 산출된 제 4기 규조 화석 연구 (Quaternary Diatom Assemblages from Sediment Core GC 98-06 in the Southern Drake Passage, Antarctica)

  • 이종덕;윤호일;윤혜수;김효정;박영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2-453
    • /
    • 2002
  • 남극 드레이크해협 남부에서 채취한 코아퇴적물(GC 98-06)로부터 32개의 시료를 얻어 고생물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총 23속 64종의 규조 미화석이 감정되었다. 산출된 규조 미화석의 군집 조성 중 Actinocyclus actinochilus, Coscinodiscus asteromphalus, Eucampia antarctica, Fragilariopsis kerguelensis, Thalassiosira lentiginosa, T. ritscheri와 T. anguste-lineata 등이 우점종으로 전체 군집의 73%를 차지한다. 공해환경을 지시해 주는 종들이 Bransfield Strait Water에 의해 유입된 해빙종들에 비해서 다량 산출되며, 제 4기 지시종과 제 3기의 마이오세와 플라이오세를 지시해주는 종들이 혼합되어 산출되는 것은, 퇴적물의 퇴적 당시 고환경이 주로 남극 순환수에 의해 운반된 남극저층수(Circumpolar deep water)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주변의 고기 퇴적물로부터 규조 화석들이 재이동 되었음을 의미한다.

대한해협에서 유종섬모충류의 종조성과 시간적 변동 (Tempor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Tintinnids (Protist, Ciliophora) in the Korea Strait)

  • 한국보;이원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76-183
    • /
    • 2010
  • 본 연구는 대한해협에서 유종섬모충류의 종조성과 시간적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2개 정점에서 17회에 걸쳐서 수행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유종섬모충류는 총 22속 51종으로 연안종과 외양종은 각각 9속 27종과 14속 24종이 관찰되었으며 정점 간 종조성의 차이가 있었다. 정점 1에서는 연안종의 출현이 우세하였던 반면에 정점 2에서는 외양종이 우세하였다. 계절별로 동계와 춘계에는 연안종이, 하계와 추계에는 외양종이 비교적 많이 출현하였다. 출현빈도에 따른 최우점종인 Stenosemella nivalis와 S. pacifica은 연안종으로써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출현하였으며, Acanthostomella norvegica, Amphorellopsis acuta, Epilpocyloides ralumensis, Protorhabdonella curta 등 많은 외양종들은 33 psu 이하 저염기와 $24^{\circ}C$ 이상 고수온기인 7월~10월에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유종섬모충류의 현존량은 0~1,845 cells $L^{-1}$의 범위를 보였으며, 저염 및 고수온기인 하계와 추계에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정점 l에서 정점 2에 비해 높았다. 직접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결과, 유종섬모충류(특히, 외양종)는 전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엽록소-a) 보다는 수온 및 염분과 유의성 있는 상관성을 보였으며, 수온과 염분이 현존량 분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환경요인임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해역의 복잡한 해황이 유종섬모충류 현존량 및 종 조성 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