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hilosophy Thesi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Classification of Articles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Analysis of the Articles of Two Scholars - From 1st to 55th edit)

  • 황광욱
    • 한국철학논집
    • /
    • 제58호
    • /
    • pp.97-137
    • /
    • 2018
  •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선진(先秦) 황노학(黃老學)의 형성기원(形成起源)과 변천양상(變遷樣相) 연구(硏究) (A study of the formation of origin and the changed aspect on xian-Qin Huang-Lao philosophy)

  • 김예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203-233
    • /
    • 2013
  • 본 논문은, 현재까지 학계에서 정론(定論)되지 못한 '황로학의 정의와 범주'에 대해 '자연사와 인간사의 정치사상이 결합된 학문'이라는 관점을 견지하는 가운데, 황로학이 발원해서 형성되고 완성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즉, "국어(國語)"와 "좌전(左傳)"을 통해 황로학의 형성기원을, 학파 간 사상적 수용과 교류가 자유롭게 진행된 직하학(稷下學)의 개방적 학풍을 배경으로 황로학이 진일보하며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황제사경(黃帝四經)"과 "한비자(韓非子)"를 통해 완성된 형태의 황로학이 출현하는 흐름을 고찰한다. 또한 본 논문은, 황로학의 흐름을 '도가(道家)의 제가(諸家) 수용'과 '제가(諸家)(법가(法家))의 도가(道家) 수용'이라는 두 측면에서 조명하는 가운데, 황로문헌들에 내재한 고유한 세계관과 '무불위(無不爲)'의 정치방법론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간극을 분석한다.

등석(鄧析)의 재발견: 혜시(惠施) 철학의 연원을 찾아서 (Deng Xi Revisited: Search for the Origin of Hui Shi's Philosophy)

  • 김철신
    • 철학연구
    • /
    • 제92호
    • /
    • pp.5-28
    • /
    • 2011
  • 이 논문은 혜시(惠施) 철학이 '천지일체(天地一體)'를 지향하였으나 끝내 그에 이르지 못한 철학이라는 저평가를 바로잡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혜시 철학의 연원과 '천지일체'에 도달하는 혜시만의 독특한 방식을 규명해야 하는데, 이의 관건이 등석(鄧析)에게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우선 혜시 철학의 연원에 관한 이제껏 분분하였던 다양한 견해들을 살피고 그것들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다음에는, 등석이라는 새로운 대안에 주목하였다. 등석에 대한 탐구는 현존하는 "등석자(鄧析子)"의 두 편명인 '무후(無厚)'와 '전사(轉辭)'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중국 고대철학사의 맥락에서 논구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등석의 '무후'가 상고(上古)시대로부터 춘추말기(春秋末期)까지 절대의 준거였던 상제(上帝)와 천(天)이 인간사에 더 이상 개입할 수 없는 무효(無效)의 존재로 전락되고 말았음을 상징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사'는 인간들 사이에서 생겨난 문제를 천명(天命)이 아닌 인간의 명변(名辯), 혹은 생각 또는 말로써 해결하겠다는 의식의 반영임을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등석의 사상으로부터 혜시 철학의 연원과 '천지일체'에 도달하는 혜시만의 독특한 방식의 해명을 시도하였다.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 - 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 (Hegel's Philosophy of Law and Communitarianism - Focusing on Morality and Ethics -)

  • 양해림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161-189
    • /
    • 2011
  • 본 논문은 서구에서 1990년대부터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논쟁을 헤겔 "법철학"의 도덕성과 인륜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 한국사회의 정치현실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공동체주의를 헤겔의 입장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공동체를 근대의 윤리적-정치적 질서체계를 세우기 위한 근본적인 의미로서 파악하였다. 여기서 헤겔은 칸트의 도덕성을 수용하여 법과 국가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다시 규명하였다. 필자는 이 논쟁의 광범위한 영역을 헤겔의 도덕성과 인륜성에 대해 한정하여 논의해 보고, 결론부분에서 우리 한국의 정치 현실상황을 반성적 성찰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다구찌 기법 이용으로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Using Taguchi Method)

  • 이기영
    • 기술사
    • /
    • 제33권1호
    • /
    • pp.83-88
    • /
    • 2000
  • Taguchi developed and provided various independent methods for actual application in design of experiments. Taguchi method is described in philosophy, method and others related to quality management. This thesis is one of case studies for improving the bond strength of epoxy resin by Taguchi method which is applied as a optimum developing tool in six sigma management revolution in many companies.

  • PDF

해석학적 철학과 철학적 해석학 (Hermeneutical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Hermeneutics)

  • 이경배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165-192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철학과 가다머 철학적 해석학 사이의 철학사상적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들 두 사람의 해석학 사상의 차이는 1. 하이데거 철학의 출발점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연구와 초월철학이었던 데 반해 가다머 철학의 출발점은 플라톤의 대화철학과 헤겔의 변증법이라는 사실에 있다. 2. 하이데거는 인문주의를 인간에 대한 근대적 이상의 변형이라 간주하는 반면, 가다머는 인문주의를 낭만주의의 인간 교육이상을 구체화하는 장소라고 이해한다. 3. 하이데거가 해석학적 순환을 논리적 순환구조와 실존적 순환구조로 이해한데 반해 가다머는 순환을 수사학적 전통으로부터 기인한 전통 해석학의 법칙으로서 전체와 부분사이의 순환으로 간주한다. 4. 하이데거가 플라톤 철학을 서양 실체 형이상학의 시작이며, 헤겔 철학을 주체 형이상학의 완성으로 간주하여 철학의 끝을 선언한데 반해, 가다머는 이해와 해석의 무한성을 주장한다. 5. 하이데거 존재론이 '죽음을 향해 있음'으로서 미래 지향적이고, 또한 종말론적이라면, 가다머 해석학은 언제나 그리고 이미 '텍스트를 향해 있음'으로서 과거 지향적이며, 무한 개방적이다.

노자사상(老子思想)과 미스 반 데르 로에(Mies van der Rohe)의 건축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Lao Tzu's Philosophy on Architectural Ideology of Mies van der Rohe)

  • 이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92-99
    • /
    • 2014
  • Quantum theory of Niels Bohr received the Nobel Prize in Physics was rooted to the Oriental thought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陰陽五行', and architect Frank Lloyd Wright is also known as Lao Tzu's thoughts on the best architectural theory. Thus, the western architecture and oriental thought is very similar to the concept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Mies van der Rohe is closely contact with Lao Tzu's Taoism, that is 'The greatest has no boundary 大象無形, Tao Te Ching chap.41' or 'The way to be is not to be 有道者 不處, Tao Te Ching chap.24'. Henc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German architect Mies van der Rohe's 'almost nothing' and the Chinese philosopher Lao Tzu's 'Taoism'.

장개빈(張介賓)의 "의역의(醫易義)" 연구(硏究) - 세계관(世界觀)을 중심으로 - (The Summary of Zhang Jie Bin's ${\ulcorner}$The Meaning of Medicine and Changes${\lrcorner}$)

  • 김시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2
    • /
    • 2000
  • Zhang Jie Bin had a lot of influences on the oriental medical world to write Lei Jing(類經) and Lei Jing Tu Yi(類經圖翼). His oriental medicine is based on profound philosophy. In this thesis, he understand the thousand year of chinese philosophy of ancient times in the reign of Song, Yuan, and Ming dynasty and his view of the world which is revealed in Oriental Medicine is regarded as Qi(氣) and then Li(理) is considered not an object for a special purpose but an attribute of Qi(氣). The base which a debater is able to suggest like this is that because of his saying that Tai Ji(太極) is Yin and Yang(陰陽). The basis of his world is Qi Yi Yuan Lun(氣一元論) of Yin Yang Wei Fen(陰陽未分)

  • PDF

초등학교 교실공간에 관한 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Classroom Space in Elementary School)

  • 류호섭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12
    • /
    • 2016
  • This thesis examines the shape, organization,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room space in highly appraised elementary schools since the inauguration of public education in modern tim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or architecture. This thesis acknowledges that classroom shapes comprise an auditorium-like space for a large-scale study group, a square-shaped classroom designed for simultaneous teaching for single class, and bent and L-shaped classrooms for various learning activities. Whereas the square-shaped classroom for simultaneous teaching which has lasted until now evolved around 1870, the post-1930s era witnessed the emergence of a composition in which classroom and outside space are associated, of an atypical classroom, and of Functional Unit where common space and classrooms are assembled. It is deemed that the emergence of the atypical classroom comes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learning and space pursuant to progressive pedagogical philosophy and child development theories and functional architecture theories. Thus, this thesis verifies that school construction and learning space can be newly created and the synthesis between education, child development studies, and architecture is a prerequisite to such a creation.

장 누벨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장소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 Program of the Light in Jean Nouvel Architecture Space)

  • 황윤희;윤상영;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11
    • /
    • 2012
  • As most modern architectures had been constructed aiming at only both self-reliance and the purity without considering the place,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s have been also exposed to 'the loss of the place' similarly. From recognizing these problems, studying new spatial approach and various movements to create new modern place overcoming this have been progressed. It is meant that building shouldn't exist away from a land, without meanings. It is need to create new space aggressively against varying spaces. Thus, This thesis focus on architect Jean Nouvel among the architects having the insight of space and study his architectural design philosophy through his works creating new sp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o define the 'placeness', and the light as a mediator of place. First of all, this thesis begins with a review what is the 'placeness' as spatial analysis and how to define 'light' as a mediator of place with his books, scholarly lectures, interviews, writing and papers and then analyse how light is represented through 'the place program of light' from his selected works. As a result of it, the thesis provides the possibilities of his constant challenges about 'existence-space-essence'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program of light' focused on what his architectural approach constructs new space all the time through a regular program even if hard to define all his works as one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