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enisul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XV)

  • Cho, Duck-Hyun;Yoo, lck-Dong
    • Plant Resources
    • /
    • 제2권2호
    • /
    • pp.133-138
    • /
    • 1999
  • Many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t Pyonsan penisula Mt.Odae, Korean Highway Cororation Arboretum, Mt.Moak, Yaksan island from 1996 to 1998. They were identifi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Hygrocybe coccineocrenata, Collybia neofusipes, Marasmius wettsteinii, Amanita esculenta, Lepiota fuscipes, Leucocoprinus subglobisporus, Cystoderma japonicum and Coprinus narcoticus are newly to Korea.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 by author.

  • PDF

Notes on the Korean Ascomycetes (VII)

  • Cho, Duck-Hyun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18-122
    • /
    • 2000
  • Many ascomycetes were collected at Mt.Unjang, Pyonsan penisula national park, Mt.Moak Chonbuk provincial park, Daea-ri hebarium and Mt.Whaam from August 1996 to October 1999. They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ing, Lanzia echinophila, Discina parma, Hypomyces auranticus, Helotium versicolor, Cordyceps militaris f. albino, Isaria sinclairii are newly to Korea.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s by author.

  • PDF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순일차생산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NPP Distribution using NOAA/AVHRR)

  • 신사철;유철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605-612
    • /
    • 1997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verall NPP(Net Primary Productions distribution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satellite data(NOAA/AVHRR). This has been done using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vegetation condition and the NPP. The NPP of natural vegetation increases proportional to the annual net radiation(Rn), where radiative dorless Index(RDI) is a proportional constant connecting Rn to NPP.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Is used for monitoring vegetation change, and INDVI (Integrated NDVI) for annual analysis. The INDVI has a close relation to .Rn and NPP.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for estimating NPP distribution of where the meteorological data Is unavailable such as North Korea. The NPP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estimated based on the model.

  • PDF

한국산 변형균류의 다양성(II) (Biodiversity of Korean Myxomycetes(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5-250
    • /
    • 2003
  • 1997년부터 7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만뢰산, 위봉사, 운장산, 민주지산에서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관검은털먼지 (Amaurochaete tubulina), 쇠열매체먼지(Cribraria microcarpa), 빛 체먼지(Cribraria splendens), 흰색축먼지 (Diachea leucopodia), 이리장내먼지 (Enteridium lycoperdon), 노랑실먼지(Stemonitis flavogenita), 검은실먼지 (Stemonitis fusca)이었다. 이것들은 낙엽, 고목등 식물성 유기체에서 서식하고 있었고 이들에 대하여 한국보통명을 신칭 하였다.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의 빈도 및 특성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Typhoons Approaching the Korean-Peninsula)

  • 유희정;박준일;이배호
    • 물과 미래
    • /
    • 제16권4호
    • /
    • pp.253-257
    • /
    • 1983
  • In an attempt to study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typhoons which hit the Korean Peninsula a period of 40 years from 1946 through 1979 was covered to collect necessary data with respect to occurrence of typhoons and their influence Typhoons which occurred between 1959 and 1980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treking routes and strengths for detailed analy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average annual occurrence of typhoon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was found to be 28, only two of which attacked the Korean Peninsula. 2. The annual probabilities of typhoons attacking were 0.925 for one or more, 0.700 for twice or more and 0.323 for there times or moro. 3. The monthly probabilities were found to be 0.228 in July, 0.434 in August and 0.194 in September. 4. An half of the typhoons which hit the Korean Pennisula passed through the western coast and the rest through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s in similan proportions. 5. The western coast is hit most frequently in July and less afterwords, visa-vis the southern and the eastern coast. 6. The minimum SLP averaged 983 mb and ordered by the treking routes as S

  • PDF

태풍에 의한 파랑의 스펙트럼 및 통계적 특성 (On spectral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ea waves by the typhoons)

  • 심재설;오병철;김상익
    • 물과 미래
    • /
    • 제22권4호
    • /
    • pp.441-451
    • /
    • 1989
  • 한반도 주변해상에 큰 영향을 미친 태풍 LEE, VERA, THELMA 통과시의 파랑관측 자료에 대하여 zero-up & down crossing법 및 Tucker-Draper법으로 구한 유의파고를 파랑스펙트럼법으로 구한 유의파고와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zero-up crossing법으로 구한 개별파의 파고분포를 Rayleigh, Weibull, Gluhovski, Ibrageemov, Goda의 분포와 비교한 후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zero-crossing법으로 구한 유의파고가 스펙트럼에서 구한 유의파고와 가장 잘 일치하였으며, 파고분포는 Rayleigh와 Goda 분포가 관측치에 가장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반도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se Thomas(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in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Mammalia, Rodentia), from the Korean Penisula)

  • 고흥선;유상규;김상복;유병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171-179
    • /
    • 1993
  • 한반도의 8개 지역에서 채집한 39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8가지의 제한효소로 digestion시켰으며, 이들 mtDNA 절단단편들을 분석하였다. 전부 31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7개의 mtDNA clone이 밝혀졌으며, 전체 8개 지역의 39마리 중에서 8개 지역의 32마리(속초, 1중에 1; 치악산, 5중에 4; 월악산, 3중에 3; 속리산, 2중에 2; 덕유산, 2중에 2; 지리산, 4중에 3; 해남, 4중에 2; 청주, 18중에 15)가 동일한 한 clone에 속했다. 또한 이들 7개 mtDNA clone들 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 (p)의 범위는 0.2%-2.3%였으며, 이들 clone들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subgroup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한반도산 등줄쥐는, mtDNA genotype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으로 나뉘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일 아종인 Apodemus agrarius coreae임을 확인하게되었다.

  • PDF

국외 대규모 지진과 최근 발생한 국내지진에 의한 이온층 총 전자수 변화 (Changes of Ionospheric Total Electron Content Caused by Large-scale Earthquakes and Recent Earthquakes Occurr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김병훈;서기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4호
    • /
    • pp.228-235
    • /
    • 2016
  • 대규모 지진 전/후에 이온층에서 발생하는 총 전자수(TEC)의 이상 변화를 재 확인하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최근 지진관련 이온층 변화가 보고되었던 국외 대규모 지진들과, 근래에 발생한 규모 7.8 에콰도르 강진에 대해 TEC를 계산하고, 지진 발생 전 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TEC 계산 결과, 선행 연구들과 유사한 TEC 변화 시계열을 얻을 수 있었으나, 시계열들이 후처리되는 방법에 따라 전조현상 또는 후지진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들에 대하여 지진에 의한 TEC 변화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나, 2016년 경주지진을 포함한 가장 높은 규모의 국내지진들과 관련하여 지진 전/후에 TEC의 이상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국외의 대규모 지진들에 비해, 국내 지진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탄성파(음파)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황해 태안반도 남서부 해양퇴적물의 지음향 특성 (Geoacoustic Properties of Marine Sediment Adjacent the Southwestern Taean Peninsula, the Yellow Sea)

  • 김화랑;김대철;서영교;이광수;김경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7-258
    • /
    • 2016
  • 황해 태안반도 남서부 해역 8개 정점에서 해양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의 지음향 및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반적으로 사질 퇴적물이 우세하며 연구지역의 사질 퇴적물은 최대빙하기(LGM)이후 해수면 변동의 영향을 받아 연구지역에 퇴적되었다. 이후 금강 및 인근 연안에서 유입된 세립질퇴적물의 영향을 받은 지역은 니질 사 또는 사질 니가 발달했다. 이러한 퇴적 환경의 영향으로 정점별로 퇴적물 조직특성, 물리적 성질, 음파전달속도의 수평 수직적 차이가 나타난다. 음파전달속도, 평균입도 및 물리적 성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비교모델로 사용한 남해 퇴적물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나 절대값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퇴적환경, 광물조성 및 측정 시스템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WRF 기반 공군 단기 수치 예보 시스템 : 2009년 하계 모의 성능 검증 (WRF-Based Short-Range Forecast System of the Korea Air Force : Verification of Prediction Skill in 2009 Summer)

  • 변의용;홍성유;신혜윰;이지우;송재익;함숙정;김좌겸;김형우;김종석
    • 대기
    • /
    • 제21권2호
    • /
    • pp.197-20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hort-range forecast system of the Korea Air Force (KAF) and to verificate its performace in 2009 summer. The KAF weather prediction model system, based on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i.e., the KAF-WRF), is configured with a parent domain overs East Asia and two nested domains with the finest horizontal grid size of 2 km. Each domain covers the Korean peninsul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The model is integrated for 84 hour 4 times a day with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from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NCEP) Global Forecast System (GFS) data. A quantitative verification system is constructed for the 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domains. Verification variables for the East Asia domain are 500 hPa temperature, wind and geopotential height fields, and the skill score is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data from the NCEP GFS model and the forecast data of the KAF-WRF model results. Accuracy of precipitation for the Korean penisula domain is examined using the contingency table that is made of the KAF-WRF model results and the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ion)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Using the verification system, the operational model and parallel model with updated version of the WRF model and improved physics process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for the 2009 summer. Over the East Aisa region, the parallel experimental model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peration model. Errors of the experimental model in 500 hPa geopotential height near the Tibetan plateau are smaller than errors in the operational model. Over the Korean peninsula, verification of precipitation prediction skills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al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one in simulating light precipitation. However, performance of experimental one is generally better than that of operational one, in pre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