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의사 개념적.분석적 행동 분석 - 2005년 국가수준 수학 학업성취도 수행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s - The resul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5 -)

  • 김선희;원유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1호
    • /
    • pp.11-25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conceptual or the pseudo-analyt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i.e. advanced group, proficient group, basic group, and below-basic group) in grade 9 are as follows. Th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to get credit from teachers become conspicuous in lower achievement level. The high achieving students showed mor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without undergo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or control. The proficient group was short of control in computation, and the advanced group didn't control well in representation. The proficient group tended to depend on a past successful algorithm and behave habitu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teach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 behaviors shown in each achievement level.

  • PDF

수학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 탐색 - 초3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 수학 결과 분석 - (In Search of Improvement Schemes on Textbooks and Teacher Guide Book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Mathematics : A Careful Analysis of the Results of Korean Elementary 3 Grade Students National Diagnosis Assessment on Basic Scholastic Ability in Area of Mathematics)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69-88
    • /
    • 2006
  •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일수록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의 미묘한 차이에 따라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4년에 실시된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한 영역인 기초 수학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동일한 성취기준에 속한 평가 문항일지라도 그 조직과 제시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정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으며,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 기초학력에 미도달한 학생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분석 내용에 비추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및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교재 집필에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구체적이면서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수학과 평가 문항의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 분석 (Feature analysis for competency and representation type of mathematics assessment)

  • 박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209-2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을 출제할 때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을 규명하고, 수학과 평가 문항에서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 분석 및 2차에 걸친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의 특성으로 수학 역량 범주는 12가지, 표현 형식 범주는 8가지를 추출하고, 이 특성들로 구성된 문항 특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 특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교의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에 대한 출제 경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 차별기능문항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 migrant families students, through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조윤동;강은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75-9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하는 문항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Simultaneous Item Bias Test(SIBTEST) 방법과 MantelHaenszel(MH) 방법으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 대한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한 결과, 초 중 고등 세 학교급에서 8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와 특성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또한 추출된 각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한 잠재적인 원인을 탐색한 결과 언어 능력, 계산 및 문제 해결 과정의 복잡성, 교육과정의 일치 여부, 문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문제 해결식 교수 방법이 학생의 성취도, 과학 과정 기술, 과학 활동 인식에 미치는 효과 (Instructional Effects of a Problem Solving Model on Students'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 노태희;김동연;김혜경;홍은경;강석진;채우기;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a problem solving model on students'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The problem solving model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SCS (Search, Solve, Create, Share) problem solving model while considering Korean educational situations under a national curriculum. The model developed is composed of 4 stages; identify, solve, create, and share. In this research,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6 classe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taught about the separation of mixture for four weeks. Prior to instruction,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the Learning Approach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 and blocking variable, respectively. During instruction, classroom observations for each group were conducted with a researcher-made checklist. Immediately following the instructions, students'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were measured by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the Middle Grades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Test(MIPT), and the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though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found to use more science process skills correctly during their science activities, the MIPT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No interaction with students' learning approach was found for both students'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s. On the questionnaire of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activities,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and interest than the control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종이에서 컴퓨터로의 매체 전환에 따른 평가 결과의 변화 탐색: 고등학교 수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change in achievement by the transition of the test mode from paper to computer: Focusing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high school mathematics)

  • 정혜윤;송창근;김영준;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597-612
    • /
    • 2022
  • 최근 국내외 대규모 평가를 중심으로, 수학 평가가 전통적인 지필 평가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평가 문항의 유형, 문항에 반영된 기술공학적 기능, 학생의 컴퓨터 사용 특성 및 컴퓨터 평가 환경에 따라 평가 매체 전환에 따른 학생의 성취도 차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지필 환경과 컴퓨터 환경에서 실행된 2020 고등학교 수학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순 매체만 전환된 경우 모드 효과는 대체로 미미하였지만, 서술형 문항의 경우 단답형이나 선택형 문항에 비해 모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매체 전환과 기술공학적 기능의 반영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 문항에 반영된 기술공학적 기능에 따라 모드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컴퓨터 기반 평가 시행환경, 학생의 컴퓨터 활용 빈도와는 달리, 학생의 컴퓨터 활용 효능감에 따라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평가 내용과 역량에 맞춘 적절한 기술공학적 기능의 도입이 필요하며, 학생의 수학 학습 능력 외의 부수적인 능력이나 상황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세밀한 평가 설계와 환경 구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related attitud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이봉주;송미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5-84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의 성차를 고찰함으로써 수학 학업성취도의 성 차를 줄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수학과 평가 결과와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초 중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성취수준에 따른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 중 고등학교에서 모두 남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점수가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소에 대한 성차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모두 가치인식에 비하여 흥미와 자신감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 중 고등학교에서 모두 수학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수학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았으며, 수학에 대 한 태도 점수의 성차가 가장 큰 집단은 우수학력 집단이었다. 이로부터 수학 학업성취도의 성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여학생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계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학교급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migrant families by school classes in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 조윤동;강은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179-199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이 수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어떤 내용에 취약한지를 파악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교수 학습을 강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을 국제결혼가정 자녀(국내출생 자녀, 중도입국 자녀), 외국인가정 자녀, 탈북가정 자녀로 유형화하여 응시생 전체와 비교하였다. 먼저 학교급마다 이러한 유형별로 검사 전체의 성취수준 비율과 평균 척도점수와 정답률,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 문항별 정답률로부터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문항에 대한 질적 분석을 더하여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업 상황을 탐색하였다. 모든 하위 집단에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우수학력의 비율은 줄고, 기초학력 미달의 비율은 늘고 있다. 이러한 현상도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 집단에 따라, 내용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집단별로 맞춤형 학습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PDF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중학생의 군집화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lust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1-619
    • /
    • 2022
  • 최근 교육에서 교육 데이터마이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과학교육에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4문항에 응시한 2,576명의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비지도 기계학습의 한 가지 방법인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군집화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한 군집화 결과, 학생들을 6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볼수 있었다. 상위권이나 하위권에 비해 중위권 학생들이 다양하게 다른 군집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군집분석의 결과를 보면, 군집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 성취였으며, 군집별로는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별, 교과 역량별, 정의적 특성 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하위 군집에서는 정의적 영역 중에서 학습의욕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교과 역량 면에서는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내용 영역 면에서는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성취가 군집의 특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가 자료를 활용해 학생을 군집화한 후, 이러한 군집별 특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학습을 위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 연구 결과 활용의 가능성, 내용 영역별 균형 있는 학습, 교과 역량 증진, 과학적 태도의 향상 등 과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by Apply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 김희경;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289-31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Fusion 모형이라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수학교과에서 학교급별, 성취수준별, 성별에 따른 인지요소 숙달 양상과 다문화가정의 인지요소 숙달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6은 12개의 인지요소에서 '귀납적으로 추론하기', 중3은 10개의 인지요소에서 '연역적으로 정당화하기', 고2는 10개의 인지요소 중 '사칙계산'이 가장 높은 숙달 비율을 보였다. 성취수준별로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을 분석한 결과, 초 중 고 모두 우수학력 집단은 전체 인지요소에서 94%이상의 숙달률을 보였으나, 기초학력이하 집단 학생들은 거의 모든 인지요소에서 초6과 중3의 경우 미숙달 비율이 70%이상이었고 고2는 99%이상이었다. 또한, 초6, 중3까지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의 인지요소 숙달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으나 고2에서는 대부분의 인지요소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숙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과 일반가정 학생 집단 간 인지요소의 숙달 양상은 학교급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