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yotis specie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큰수염박쥐류 Myotis (Vespertilionidae) 4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al Study on Four Myotis (vespertilionidae) Species in Korea)

  • 윤명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2호
    • /
    • pp.173-192
    • /
    • 1990
  • 1985년 10월부터 1987년 7월까지 남한 18개 장소에서 채집된 애기박쥐과(Vespertilionidae)에 속하는 Myotis 4종, Myotis formosus tsuensis, Myotis Macrodactylus,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및 Myotis nattereri bombinus에 대하여 외부 및 내부골격(두개골, 하악골 및 상완골)의 형태를 이용하여 분류학적인 검토를 하였다. 그 중, 한국 및 동부 시베리아에 분포는 Myotis nattereri에 속하는 집단은, M. nattereri amurensis인지, 또는 일본산 M. nattereri bombinus와 같은 아종인지 그 분류학적 위치가 분명치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및 일본산 M. nattereri에 속하는 개체들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통하여 Wallin(1969)이 보고한 바와 같이 M. nattereri amurensis가 M. nattereri bombinus의 synonym임을 확인하였다.

  • PDF

Acoustic Species Identification of Korean Myotis Bat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 Yoon, Kwang Bae;Rahman, M. Mafizur;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68-73
    • /
    • 2016
  • We investigated structure and intensity of 267 echolocation call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M. nettereri, M. petax, M. ikonnikovi, M. macrodactylus and M. formosus). All the Myotis species produced typical FM call pattern with similar echolocation call shapes and outer shapes, producing steep, downward frequency-modulated calls. A pulse has two harmonies, which consist of the first harmony with wider bandwidth and the second harmony with narrower bandwidth. The PF of the first harmon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harmony. The typical FM call structure, with two harmonies and wide bandwidth, might be highly related to fast flying and wide screening in the dense forests. In classification of the echolocation calls by DFA, most of calls from the five species could be well correctly classified. All calls of M. nettereri (100% of 17 calls), M. formosus (95.5% of 22 calls) and M. ikonnikovi (85.7% of 70 calls) could be well discriminated from those of the other species, whereas calls of M. petax and M. macrodactylus could be discriminated by 70.4% of 98 calls and 76.7% of 60 call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five Korean Myotis species can be well identified by the echolocation calls with high correct classification by DFA.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한국산 박쥐류 6종에 대한 핵형학적 연구 (A Karvotvpic Studv on Six Korean Vespertilionid Bats)

  • 유동호;윤명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9-496
    • /
    • 1992
  • The karyotypes of 4 Korean Myotis species (M. mystucinus gracilis, M. jormous tsuensis, M. duubentonii ussuriensis and M. macrodoctvlusp and 2 Pipistrelfus species (p. coreensis and p. abramusl belonging to the Vespertilionidae were examined. The 4 Mvotis species had the karyotypes of 2n : 44 with FN : 50 (M. m. gracilis and M. f. tsuensisl or 52 (M. d. ussuriensis and M. mncrodactylus). Furthermore the karyotype of R obrumus (2n : 26, FN : 441 seemed advanced compared with that of U coreensis (2n : 44, FN : 501 which is similar to the original karyotype of Mvotis species (2n : 44, FN : 50).

  • PDF

멸종위기종 붉은박쥐의 개체군 경향과 보호 관리 - 동면처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The Population Trend and Management for Conservation in Myotis formosus)

  • 김선숙;최유성
    • 생태와환경
    • /
    • 제50권4호
    • /
    • pp.411-421
    • /
    • 2017
  • 온대지역에서 동면박쥐에 대한 분포와 생태정보는 대상 종의 보전 및 서식지 보호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연구에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 개체군 경향 분석과 생태적 요구 조건을 파악하여 보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수행한 결과, 전국 58개의 동면처에서 붉은박쥐 570개체가 확인되었다. 붉은박쥐가 이용한 동면처의 유형은 자연동굴에 비해 폐광산이 많았으며, 폐광산에서 보다 더 많은 붉은박쥐 개체가 동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붉은박쥐의 동면처는 평균 $12.13{\sim}15.07^{\circ}C$의 온도와 92% 이상의 습도가 동면기간 동안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장기적인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개체군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TRI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붉은박쥐 개체군의 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동면처 사례를 통하여 동면처의 구조 및 환경 변화로 인한 붉은박쥐 개체수가 급감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한 개체군 경향분석 결과와 현장 사례를 분석을 통하여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보전 및 서식지 보호 관리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멸종위기종인 붉은박쥐의 서식지 보호 관리 방안은 방향은 종의 온도 선호도 및 서식지 환경이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과 서식지 내 인위적인 간섭요인을 차단하는 것은 중요 사항이 될 것이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처 선택 (The Thermal Preference and the Selection of Hibernacula in Seven Cave-dwelling Bats)

  • 김선숙;최유성;유정칠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58-272
    • /
    • 2014
  • 동굴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동굴성 박쥐의 동면생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회의 동면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쥐가 출현된 140개의 동면장소에서 관박쥐, 문둥이박쥐, 검은집박쥐, 긴가락박쥐, 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물윗수염박쥐, 토끼박쥐등 총 13,288개체를 확인하였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는 종 간 차이를 나타냈다. 동굴성 박쥐 7종 가운데 붉은박쥐의 평균 체온은 $13.64{\pm}0.76^{\circ}C$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박쥐와 긴가락박쥐의 평균 체온은 $9.19{\pm}2.35^{\circ}C$$7.83{\pm}1.94^{\circ}C$였다. 반면 저온을 선택한 관코박쥐의 체온은 $2.64{\pm}0.98^{\circ}C$, 토끼박쥐는 $2.78{\pm}0.98^{\circ}C$, 검은집박쥐는 $2.76{\pm}1.68^{\circ}C$, 물윗수염박쥐는 $4.4{\pm}1.1^{\circ}C$로 다른 3종(붉은박쥐, 긴가락박쥐, 관박쥐)의 온도선호도와 차이를 나타냈다. 종 간 차이를 나타낸 7종의 체온은 대기온도($T_a$)에 비해 암벽온도($T_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동굴성 박쥐 7종의 동면장소 별 출현된 박쥐의 종 수는 동면장소의 온도특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고온특성을 나타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HTR, 동면저의 최저온도가 $7^{\circ}C$ 이상)에 출현된 박쥐 종수는 $1.44{\pm}0.53$로 가장 낮았지만,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특성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LTR, 최고온도가 $7^{\circ}C$ 이하인 곳)에서 출현된 박쥐의 종수는 $2.77{\pm}1.72$였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과 고온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대기온도 범위가 넓은 동면장소(WR)에서 $3.02{\pm}1.36$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박쥐의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청면역학적 연구 (A Seroimmunologic Study of Bats Infected with Hantavirus in Korea ($1989{\sim}1995$))

  • 박은병;조규봉;박철희;이연태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9
    • /
    • 1996
  • To understand whether the bats inhabiting in Korea play role as hosts harboring Hantavirus that cause acute febrile diseases, a total number of 802 bats of 9 species were collected from seven provinces in Korea from 1989 to 1995 and test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Hantavirus by means of immunofluorescent antibody (IFA) techniqu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otal 802 captured bats were classified into 9 different species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 They were Rhinolophus ferrumequinum, Eptesicus serotinus, Miniopterus sehreibersii, Vespertilio superans, Myotis mystatinus, Murina leucogaster, Myotis formosus, Myotis macrodactylus and Plecotus auritus with numbers and rates of 423 (52.74%), 291 (36.28%), 47 (5.86%), 28 (3.49%), 8 (1.00%), 1 (0.12%) and 1 (0.12%),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e bats was Rhinolophus ferrumequinum with 52.74% of the captured. 2. Among 9 species of bats,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Eptesicus serotinus were positive with Hantavirus antibody of strain numbers 76-118. The rate of antibody positive was 3.78%. 3. The seasonal differences of Hantavirus antibody in 802 bats tested were 5.83%, 4.17%, 3.67% and 0.64% in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Again the highest viral antibody prevalence was detected in winter. It could be concluded through the study that certain species of bats inhabiting in Korea play a definite role as the host animals of certain species of Hantavirus.

  • PDF

Dietary composition of two coexisting bat species, Myotis ikonnikovi and Plecotus ognevi, in the Mt. Jumbong forests, South Korea

  • Sungbae Joo;Injung An;Sun-Sook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168-176
    • /
    • 2023
  • Background: Many insectivorous bats have flexible diets, and the difference in prey item consumption among species is one of the key mechanisms that allows for the avoidance of interspecies competition and promotes coexistence within a microhabitat. In Korea, of the 24 bat species that are known to be distributed, eight insectivorous bats use forest areas as both roosting and foraging sites. Here, we aimed to understand the resource partitioning and coexistence strategies between two bat species, Myotis ikonnikovi and Plecotus ognevi, cohabiting the Mt. Jumbong forest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dietary consumption based on habitat utilization. Results: Upon examining their dietary composition using the DNA meta-barcoding approach, we identified 403 prey items (amplicon sequence variants). A greater prey diversity including Lepidoptera, Diptera, Coleoptera, and Ephemeroptera, was detected from M. ikonnikovi, whereas most prey items identified from P. ognevi belonged to Lepidoptera. The diversity index of prey items was higher for M. ikonnikovi (H': 5.67, D: 0.995) than that for P. ognevi (H': 4.31, D: 0.985). Pianka's index value was 0.207, indicating little overlap in the dietary composition of these bat species. Our results suggest that M. ikonnikovi has a wider diet composition than P. ognevi. Conclusions: Based on the dietary analysis results, our result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s in foraging site preferences or microhabitat utilization between two bat species cohabiting the Mt. Jumbong. In addition, these differences may represent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 in reducing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the two bat species. We expected that our results will be valuable for understanding resource partitioning and the coexistence of bats inhabiting the Korean forests.

박쥐의(Chiroptera) 휴식지로서 교량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Bridges as Roosting Site by Bats(Chiroptera))

  • 정철운;한상훈;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4-301
    • /
    • 2009
  • 주야간 휴식장소로써 박쥐가 교량(Bridge)을 이용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의 수계에 조성된 81개 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량을 휴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해 alaschanicus, 우수리박쥐 Myotis petax,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v, 문둥이박쥐 Eptesicus seotinus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총 7개 유형의 교량 가운데 거더(girder)가 조성되어 있는 3개 유형의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어 교량에 있어 박쥐의 휴식장소 이용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특징을 제외한 환경요인으로는 교량의 주변 산림, 경작지,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여부 등의 요인이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Bats (Chiroptera) in Jeju Island, Korea)

  • 박수곤;김유경;김태욱;박준호;;김가람;박선미;이준원;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394-402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박쥐류상 (Chiroptera)을 밝히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용암동굴, 해식동굴, 진지동굴, 생태통로 등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주도 내 박물관에 소장된 박쥐류 표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3과 6속 8종의 박쥐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는 1928년부터 보고된 사전 문헌기록들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는 관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긴가락박쥐가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식동굴에서는 1개 지역에서만 관박쥐가 확인되었고, 생태통로에서는 관코박쥐와 집박쥐를 비롯한 5종이 확인되었다. 지역 내 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조사 결과 큰귀박쥐의 표본도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8종 외에 큰집박쥐, 작은긴가락박쥐, 윗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M. branditii, 물윗수염박쥐, 작은집박쥐 등 7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진 붉은박쥐와 한반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흰배윗수염박쥐가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것과, 관코박쥐도 조사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박쥐류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나 생태학적 연구를 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한국에 서식하는 곤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큰발윗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반향정위 형태 (General Patterns in Echolocation Call of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Japanese Pipistrelle Bat Pipistrellus abramus and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in Korea)

  • 정철운;한상훈;임춘우;김성철;이화진;권용호;김철영;이정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68
    • /
    • 2010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lse-duration, pulse-interval and peak-frequency of echolocation call in three species as Rhinolophus ferrumequinum, Pipistrellus abramus, and Myotis macrodactylus. The peak frequency and pulse duration for above mentioned species were 69 kHz, 47 kHz and 49 kHz and $69.39{\pm}8.76\;ms$, $4.95{\pm}0.77\;ms$ and $3.09{\pm}0.48\;ms$ for R. ferrumequinum, P. abramus and M. macrodactylus, respectively. The pulse intervals for R. ferrumequinum, P. abramus and M. macrodactylus were $103.61{\pm}9.05\;ms$, $67.59{\pm}3.47\;ms$ and $66.35{\pm}4.96\;ms$, respectively. The pulse pattern of R. ferrumequinum was setting into a short FM call and linked to long CF call and went through the short FM call again. The pulse pattern of M. macrodactylus was comprised with serial short FM call and the CF call was not checked up in accordance with the spectrogram analysis. The long FM call and short CF call got join together for the P. abramus and the peak frequency was checked up at the pulse ending as CF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