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lody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8초

Development of Audio Melody Extraction and Matching Engine for MIREX 2011 tasks

  • 송재종;장달원;이석필;박호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64-16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for extracting predominant melody of polyphonic music based on harmonic structure. Harmonic structure is an important feature parameter of monophonic signal that has spectral peaks at the integer multiples of its fundamental frequency. We extract all fundamental frequency candidates contained in the polyphonic signal by verifying the required condition of harmonic structure. Then, we combine those harmonic peaks corresponding to each extracted fundamental frequency and assign a rank to each after calculating its harmonic average energy. We run pitch tracking based on the rank of extracted fundamental frequency and continuity of fundamental frequency, and determine the predominant melody. For the query by singing/humming (QbSH) task, we proposed Dynamic Time Warping (DTW) based matching engine. Our system reduces false alarm by combining the distances of multiple DTW process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we introduced the asymmetric sense, pitch level compensation, and distance intransitiveness to DTW algorithm.

  • PDF

유아의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reativity and musical creativity of children)

  • 김연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5
    • /
    • 2005
  • 본 연구는 유아의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 음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만 4,5세 유아 50명으로 이들에게 일반적 창의성 검사와 음악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일반적 창의성은 음악적 창의성의 하위영역중 멜로디 만들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창성은 멜로디 만들기 능력과, 제목의 추상성은 가사 만들기 능력과, 정교성은 멜로디 만들기 능력 및 율동으로 표현하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제어산의 음악적 성격과 송암창(唱)과의 비교 고찰 - 안채비소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on Musical Style of Gyeongjae-Eosan and Comparison to Songam-chang(唱))

  • 차형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801-833
    • /
    • 2019
  •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경제 안채비소리의 음악적 유형 결과를 토대로 경제어산 원명창의 범패가 어떤 성격의 악곡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동류 악곡인 송암창 범패와의 비교를 통해 두 창자 간의 음악적 차이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어산 설회인유편의 <개문경희응기어초면>과 소청사자편의 <유치>는 안채비소리의 여러 성(聲)들 가운데 유치성으로 가창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선율형'과 '맺는형'이 유치성의 음악적 특징과 대체로 유사했고, 창자 간의 차이는 주요선율형 D형과 맺는형 b형에서 다소 발견 되었다. 특히 소청사자편 <유치>에서는 '맺는형'의 두 유형 가운데 a형만이 발견되므로 종지음은 sol로 통일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짜임새의 기본적 틀은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바, 유치성의 구조적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동일한 성(聲)이라 하더라도 악절의 '주요선율형' 조합은 획일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악곡에 따라 주요선율형의 조합이 다양하게 짜여진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제어산 봉송사자편 <수설수륙대회소>는 안채비소리 가운데 광의적으로 편게성에 속하며 세부적으로 소성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소성의 '맺는선율'과 <수설수륙대회소>의 종지선율이 유사했으며 '맺는형'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원명창이 도약 진행하는 선율보다 순차 하행하는 특징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과의 관련성이 있다. 악절의 짜임새는 선행연구와 별반 다르지 않았고, 송암창의 엮음은 3소박 리듬의 경향이 짙은데 비하여 원명창은 전반적으로 2소박 리듬의 경향이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개인 멜로디 생성 인터페이스 연구 (A study of generative melody interface)

  • 김영선;반상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143-145
    • /
    • 2007
  •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바일 기기나 컨버젼스 제품들의 주요 특징으로, 주요 메뉴 외 다수의 부가 메뉴가 제공된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메뉴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를 검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색 상황에서 사용자 의지가 개입된 개인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고안된 인터페이스는 범용의4방향 버튼을 활용하여 각각의 메뉴에 사용자가 임의로 고유 음계를 지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지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를 고속으로 변경 시 메뉴들은 지정된 멜로디를 출력하게 되며 이때의 출력음들이 모여 개인 멜로디가 생성된다. 본 논문을 통해 사용자 의지가 개입된 개인 멜로디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의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Sentence- Final Intonation Contours: Formal Description

  • Park, Say-hyon
    • 음성과학
    • /
    • 제1권
    • /
    • pp.39-53
    • /
    • 1997
  • As the segmental phonetic output is derived from its underlying form, the phonetic surface of intonation could also be derived from its underlying tone melody. In order to show clearly the phonological processes (in fact, we need more than just phon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intonational surface, we need to formalize the description of those processes. This paper firstly examines different types of sentence-final intonation contour in Korean, and then attempt to formalize the intonational behavior of those contours. In this attempt, we will investigate what kinds of linguistic information participate in deciding the shapes of the. contours and what kinds of tonological processes the underlying tone melody undergoes before it takes the surface shape. In this analysis of intonation contours, we focus on the linguistic structure rather than the acoustic property, adopting just two tones L and H as phonological tones, with four phonetic pitches.

  • PDF

멜로디 비교 시각화를 통한 음정 교정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Tone Correction System Through a Visualization of Melody Comparison)

  • 이혜인;박주현;이석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호
    • /
    • pp.156-161
    • /
    • 2014
  • With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music, public's interest in music and desire to sing well are increasing.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tone correction system through a visualization of comparison between music and humming data. For this we extract MIDI note from music and humming data and then design a matching engine using DTW algorithm which is for robust matching results against local timing variation and inaccurate tempo. This system is expected to correct the user's wrong tone by visualization and feedback from the result.

인공지능을 이용한 국악 멜로디 생성기에 관한 연구 (Korean Traditional Music Melody Generat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배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869-876
    • /
    • 2021
  • 음악 분야에서는 최근 머신러닝을 이용한 다양한 인공지능 작곡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대부분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국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연구를 위한 데이터 세트조차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여서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해당 논문에서는 국악의 데이터 세트를 만들고 그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하여 세 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국악 멜로디를 생성하고 그 결과물을 비교하여 보기로 한다. 언어와 음악의 유사성에 기반한 LSTM, Music Transformer 그리고 Self Attention 3가지 모델들이 선택되었다. 각 3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국악 멜로디 생성기를 모델링하고 학습시켜 국악 멜로디를 생성해 내었다. 사용자 평가 결과 Self Attention 방식이 LSTM 방식과 Music transformer 방식에 비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데이터 표현 및 훈련데이터는 인공지능 작곡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기초적인 국악 데이터 세트를 만들고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인공지능 작곡을 시도하였고 이것이 향후 국악 인공지능 작곡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국진 <한국선율에 의한 피아노소품집>에 수록된 25개 악곡의 난이도 분석과 효과적인 지도방안 제시 (Analysis of a Degree of Difficulty in Kim Kukjin's "25 Pieces of Korean Melody for Piano" and Suggestion of Effective Pedagogic Guidelines)

  • 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00-610
    • /
    • 2022
  • 한국 피아노 교육의 성장 가도에서 유독 중급과정의 약세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중 제한적 학습문헌 특히 자국 창작곡들의 교습 부족이 문제점으로 거론된다. 본 연구는 김국진의 <한국선율에 의한 피아노 소품집>이 중급 교재로써 활용되는데 실제적인 지침을 주고자 25개 악곡의 난이도를 분류하고 단계별 학습목표와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난이 단계는 다른 중급수준의 피아노 문헌과의 비교를 위하여 제인 머그라의 10단계 분류표에 근거하였고,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음악의 핵심요소인 한국적 선율, 리듬, 짜임새로 세분하였다. 난이도 분류 결과 4단계에서 10단계까지의 악곡들은 가장 기초적인 진행부터 한국 장단적 리듬패턴, 시김새를 표현하는 다양한 아티큘레이션과 꾸밈음, 그리고 성부별 독립적 짜임새 훈련을 단계별로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악곡들의 특징과 난이 정도를 고려하여 단계별 악곡들의 교습 순서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국내 중급 학습 문헌의 확장과 한국 창작곡 교습의 활성화에 시발점이 되길 희망한다.

Longitudinal music perception performance of postlingual deaf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using acoustic and/or electrical stimulation

  • Chang, Son A;Shin, Sujin;Kim, Sungkeong;Lee, Yeabitna;Lee, Eun Young;Kim, Hanee;Shin, You-Ree;Chun, Young-Myo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103-109
    • /
    • 202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longitudinal music perception of adult cochlear implant (CI) users and how acoustic stimulation with CI affects their music performance. A total of 163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96 participants were using acoustic stimulation with CI and 67 participants were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only via CI. The music performance (melody identification, appreciation, and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pre-implantation, 1-year, and 2-year post-implantation. Mixed repeated measures of ANOVA and pairwise analysis adjusted by Tukey were used for the statistics. As result, in both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lody identification, music appreciation, and music satisfaction at 1-year, and 2-year post-implantation than a pre-implan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 and 2 years in any of the variables. Also, the group of acoustic stimulation with CI showed better perception skill of melody identification than the CI-only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found in music apprecia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ssible explanations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acoustic and/or electrical hearing devices benefit the recipients in music performance over time. Although acoustic stimulation accompanied with electrical stimulation could benefit the recipients in terms of listening skills, those benefits may not extend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music.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mproved sound processing mechanisms and music rehabil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