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on Musical Style of Gyeongjae-Eosan and Comparison to Songam-chang(唱)

경제어산의 음악적 성격과 송암창(唱)과의 비교 고찰 - 안채비소리를 중심으로

  • 차형석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Received : 2019.07.15
  • Accepted : 2019.08.0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article has review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ompae (Buddhist chanting) performed by Gyeongjaeeosan Wonmyeongchang(唱) based on the result of musical style of Gyeongjae Anchaebi-sori as defined under the previous studies. An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Beompae performed by Songam-chang (唱), a same type of musical piece, it contemplates on mus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ngers. Results of the study are shown as follows. of Gyeongjaeeosan Seolhoeinyu-pyeon and of Socheongsaja-pyeon are sunged as Yuchi-Seong(聲) among Anchaebi-sori. 'main melody type' and 'ending type' are generally similar 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Yuchi-Seong(聲),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ngers are detected from main melody type D and ending type b. In particular, under of Socheongsaja-pyeon, only the type a is detected among the two types. becouse ending note of ending-type 'a' is ended with 'sol'. The basic frame of the Jjaimsae(musical form) has been clar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Jjaimsae of Yuchi-Seong(聲) has been maintained just the way it is. However, even for the same Seong(聲), the combination of the 'main melody type' of passage has not been unified, and depending on the musical piece,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main melody type' has been diversely organized. of Gyeongjaeeosan Bongsongsajapyeon belongs to Pyeon-gae-seong(聲) broadly from the Anchaebi-sori and it is shown to be So-seong(聲) in details. In particular, in the previous studies, the 'ending melody' of So-seong(聲) and the closing melody of were similar with a slight difference for the 'ending melody'. Such a difference is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for sequentially descending melody of Wonmyeong-chang(唱). The 'Jjaimsae(The musical struc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yeok-eum(weaving lyrics)' of Songam-chang(唱) has strong tendency of 3-sobak rhythm while the Wonmyeong-chang (唱) is shown the tendency of 2-sobak rhythm in general for the difference.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경제 안채비소리의 음악적 유형 결과를 토대로 경제어산 원명창의 범패가 어떤 성격의 악곡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동류 악곡인 송암창 범패와의 비교를 통해 두 창자 간의 음악적 차이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어산 설회인유편의 <개문경희응기어초면>과 소청사자편의 <유치>는 안채비소리의 여러 성(聲)들 가운데 유치성으로 가창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선율형'과 '맺는형'이 유치성의 음악적 특징과 대체로 유사했고, 창자 간의 차이는 주요선율형 D형과 맺는형 b형에서 다소 발견 되었다. 특히 소청사자편 <유치>에서는 '맺는형'의 두 유형 가운데 a형만이 발견되므로 종지음은 sol로 통일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짜임새의 기본적 틀은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바, 유치성의 구조적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동일한 성(聲)이라 하더라도 악절의 '주요선율형' 조합은 획일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악곡에 따라 주요선율형의 조합이 다양하게 짜여진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제어산 봉송사자편 <수설수륙대회소>는 안채비소리 가운데 광의적으로 편게성에 속하며 세부적으로 소성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소성의 '맺는선율'과 <수설수륙대회소>의 종지선율이 유사했으며 '맺는형'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원명창이 도약 진행하는 선율보다 순차 하행하는 특징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과의 관련성이 있다. 악절의 짜임새는 선행연구와 별반 다르지 않았고, 송암창의 엮음은 3소박 리듬의 경향이 짙은데 비하여 원명창은 전반적으로 2소박 리듬의 경향이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