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검색결과 4,526건 처리시간 0.032초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상하 및 좌우회전 (Effect of head positioning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in panoramic radiographs: rotation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변진석;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4
  • 목적: 이 연구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환자의 머리 위치가 상방, 하방,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됨에 따른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직경 4 mm인 금속구 5개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2개)와 우측 대구치부(3개)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상하 및 좌우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에 건조 두개골을 고정시킨 후, 기준 위치와 회전된 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쵤영하였다. 결과: 기준 위치에서 평균 수평 확대율은 $1.22{\pm}0.01-1.44{\pm}0.01$이었고, 평균 수직 확대율은 $1.29{\pm}0.00-1.35{\pm}0.02$였다. 전치부와 구치부 비교시 수평 확대율은 전치부에서 $1.24{\pm}0.02-1.31{\pm}0.03$, 구치부에서 $1.40{\pm}0.03-1.33{\pm}0.0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수직 확대율은 차이가 없었다.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88{\pm}0.03-3.73{\pm}0.16$으로 기준 위치와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P < 0.05), 수직 확대율은 $1.24{\pm}0.01-1.37{\pm}0.02$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회전된 머리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수평 확대율의 변화가 크다.

칫솔질이 IPS e.max Press 도재의 외부 stai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Externally Stained IPS e.max Press Porcelain Due to Tooth Brushing)

  • 박찬;이경제;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213-221
    • /
    • 2012
  • 장기적인 칫솔질시 외부 stain 처리된 IPS e.max Press 도재의 색의 변화를 분광측색장치(SpectroShade$^{T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외부 stain의 색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IPS e.max Press LT ingots shade a1(Ivoclar Co.,Liechtenstein)를 사용하여 블록 형태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Orange, A, B, C, D shade로 외부 stain 처리 하였다. 칫솔질 기계를 이용하여 1년(11,000회), 2년(22,000회), 4년(44,000회), 6년(66,000회), 8년(88,000회) 치의 칫솔질 운동을 수평적으로 시행하였다. SpectroShade$^{tm}$ MICRO(MHT, Italy)를 이용하여 색조 변화를 측정하였다. 1년치(11,000회)의 칫솔질 연마 후 Orange shade에서 다른 4개의 shade보다 더 크게 색 차이가 나타났다. 그 후 칫솔질 횟수가 증가하여도, 외부 stain의 shade에 따른 색 차이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칫솔질의 횟수의 증가에 따른 색 차이의 변화량은 일정한 증가나 감소의 경향을 보이지 않고 불규칙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칫솔질이 IPS e.max Press 도재의 외부 stain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도 외부 stain의 색 안정성이 인정된다고 생각된다. 추후 외부 stai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 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Exploring the Use of Melody During RAS Gait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Study)

  • 박혜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36
    • /
    • 2015
  •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듬청각자극(RAS) 적용 시 선율의 유무에 따른 보행 훈련 효과를 비교하고, 보행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평가를 제외한 총 8회의 보행훈련을 진행하였다. 회기별 중재 시 선율 유무에 따른 보행 속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훈련 효과에 따른 시공간적 지표 및 운동 형상학적 지표 변화 비교를 위해 VICON 370 Motion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보행 지표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RAS 보행 훈련 시 제공한 음악 자극 형태에 따라 보행 속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으므로, 선율의 사용 유무는 보행 훈련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RAS 보행 훈련 후 분속수, 보행 속도, 활보장, 활보장 시간, 보행 대칭성이 공통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대상자 모두 공통적으로 고관절 및 슬관절의 움직임에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굴곡이나 신전이 감소함에 따라 양측의 비대칭성 감소 및 움직임의 안정성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리듬 적용과 리듬 자극에 선율을 반영한 음악 자극 적용에 따른 보행 속도 간 차이를 비교한 본 연구 결과는 운동기능을 위한 RAS 적용 시, 일정한 간격의 리듬자극에 의한 리듬-운동 동조화가 핵심 기제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RAS 보행 훈련을 통한 보행 기능뿐만 아니라 보행 패턴의 개선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Submerged 임플란트에서 덮개나사 노출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상실 (Early Marginal Bone Loss around Submerged Implant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over Screw Exposures)

  • 최미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2호
    • /
    • pp.175-182
    • /
    • 2013
  • 2단계 임플란트 수술법에 있어서 식립 후 골유착을 위한 치유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덮개나사의 노출의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흡수 정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덮개나사의 노출을 보인 경우에서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를 선택해 모집단으로 하여, 28명의 환자에서 덮개나사의 노출이 확인된 28개의 임플란트를 실험군으로 하고 노출되지 않은 나머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총 64개의 임플란트 고정체($TiUnite^{TM}$, NobelBiocare, Sweden)가 식립되었으며 임플란트 식립 1개월 후 정기검사를 통해 덮개나사의 노출을 확인하였다. 노출의 정도에 따라 1군(대조군, 노출 없음), 2군(pin-point 노출), 3군(1/2이하의 노출), 4군(1/2 이상 노출), 5군(완전 노출)으로 하였고 2개월 정기 검진 시 치유지대주를 연결하였다. 식립 직후, 2개월 정기 검진시 치근단 방사선 촬영을 통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덮개나사의 노출시 변연골 흡수가 관찰되었다. 2. 2군과 3군은 나머지 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3. 4군과 5군은 1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05), 그 정도는 2군과 3군에 비해 작았다(P <.05). 이상의 결과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치유과정 중 발생하는 덮개나사의 노출은 조기 변연골 흡수에 기여하므로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유지대주를 연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 가능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 (Recurrent Herpetic Stomatitis Mimicking Post-Root Resection Complication)

  • 홍성옥;이재관;장훈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18-425
    • /
    • 2013
  • 본 증례에서는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할 수 있는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49세 남환이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의 수직파절로 근관치료 후 근심협측 치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19개월 후 환자는 뜨거운 고기를 씹은 후에 좌측 구개부가 헐고 불편하다는 주소로 재내원하였다. 구강 내 검사 시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구개측 치은에 농루로 의심되는 융기부위가 관찰되었다. 임상 검사에서 치아는 치주탐침 시 출혈을 보였고 5 mm 이하의 치주낭이 관찰되었으나 치아동요도는 없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구개측 치근에 치주인대강 비후의 소견을 보였다. 농루로 의심되는 부위에 gutta percha cone을 이용한 농루 추적을 시도하였으나 삽입되지 않았다. 시야를 넓혀 구개 전방부를 관찰하였을 때 작은 원형의 궤양이 다수 관찰되었고 환자는 동통을 호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비치성 동통으로 판단하여 구강내과에 의뢰하였고 구강내과에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로 진단하여 항바이러스제 처방 후 환자의 통증 및 구개측 치은의 궤양이 소실되었다.

나노구조 표면에 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Nano-Modified Implant Surfaces)

  • 박고운;차민상;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2호
    • /
    • pp.141-151
    • /
    • 2013
  • 티타늄 산화막을 나노단위에서 변형시키는 방법은 다공성 표면을 강화하는 내부적 접근과 나노입자를 피복하는 외부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나노표면은 나노튜브, 나노피트, 나노노듈 및 다형구조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형성방법 및 형성재료에 따라 다른 표면이 생성되지만, 현재까지 표준화된 형성방법은 없다. 나노표면을 분석해 보면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적이다. 나노표면은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며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모두 촉진하고,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저해하여 연조직 개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포 및 단백질과 유사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조직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골유착을 증진시킨다. 하지만 그 작용이 미치는 범위는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골조직과의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다.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과는 달리 나노표면은 광촉매효과로 인한 항균작용을 가지지만 지속시간이 짧아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효과는 의문시 된다. 하지만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거칠기가 가지는 단점을 배제할 수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재활치료 환자에서 DXA를 이용한 요추부와 대퇴경부 골밀도 검사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Neck BM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Rehabilitated Patients)

  • 정묘영;지연상;김창복;동경래;류재광;최지원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1-316
    • /
    • 2018
  • Average life expectancy is getting longer due to medical developments and improvements in living standards. So much so that the elderly have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osteoporo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iagnose, and treat the senile disease at an early stage through a bone density test. Bone density i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n (DXA). In this study, while using DXA, in cases when the measurements for both the lumbar and the femur could not be taken simultaneously,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measurements were known, and the measurement of one area was used to make a clinical inference for the value of the other.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Lunar Prodigy Advance (GE) for 43 participant with clinically significant fractures. Statistical calculations were produced and analysed regarding bone density. In case of T-score, lumbar spine produced a statistical result of $-2.112{\pm}1.836$ and femur neck was $-1.716{\pm}1.565$. In case of Z-score lumbar spine produced a statistical result of $-0.151{\pm}1.513$, and femur neck $-0.026{\pm}1.283$. It is indicated tha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score between lumbar spine and femur neck is high at 0.699,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Z-scor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t 0.503. The correlation of bone density between lumbar spine and femur neck is shown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score's p-value at 0.000 and Z-score's p-value at 0.001. In conclusion, it seems to have clinical usefulness that we can infer the result of one measurement through that of the other part tested,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umbar spine and femur neck.

치주염 치료를 위한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항염효과: 예비 실험 (Anti-inflammatory effect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for periodontitis treatment: in vitro pilot study)

  • 박유리;김현주;이주연;정성희;권은영;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88-94
    • /
    • 2021
  • 목적: 대표적인 만성 구강내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의 치료에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치주 조직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치은섬유모세포에 대한 항염효과를 평가해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명의 환자의 구강내에서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득하여 primary culture 시행한 후 실험실에서 치은섬유모세포를 계대배양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헬륨 가스를 이용하는 저온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제작하였다. 치주염증을 유도하기 위해 Porphyromonas gingivalis (Pg)의 LPS를 처리하고, CCK-8 kit를 통해 세포생존율 평가를 시행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 (IL)-8, IL-6의 분비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인간치은섬유모세포 생존율 평가에서는 Pg LPS를 처리한 군과 플라즈마를 처리한 군, Pg LPS와 플라즈마를 함께 처리한 군 모두에서 생존율이 92.28%에서 100% 사이로 존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6시간과 24시간 세포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생존율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Pg LPS를 적용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IL-8과 6의 분비가 증가되었으며,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적용시 그 분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저온상압 플라즈마가 인간섬유모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치주염유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인 IL-8과 IL-6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반투명 지르코니아와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유리의 물성에 관한 문헌고찰 (Properties of translucent zirconia and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s: a literature review)

  • 차민상;김예진;고경호;박찬진;조리라;허윤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71-80
    • /
    • 2022
  • 다양한 치과용 도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단일구조 보철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계적, 광학적 성질을 보이는 도재는 반투명 지르코니아와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유리가 대표적이다. 기계적 성질의 경우 지르코니아가, 광학적 성질은 리튬디실리케이트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물성개선을 통해 보다 다양한 증례에 보철물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반투명 지르코니아와 리튬디실리케이트 보철물의 적응증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두 도재는 유리질(glass matrix) 포함여부뿐만 아니라 강화기전, 탄성계수 등이 서로다르다. 이에 본 문헌고찰에서는 두 단일구조 치과용 도재의 물성을 평가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특히 가공치가 포함된 고정성 보철물의 디자인 시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nesthetic efficacy of supplemental buccal infiltration versus intraligamentary injection in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with irreversible pulpitis: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 Zargar, Nazanin;Shojaeian, Shiva;Vatankhah, Mohammadreza;Heidaryan, Shirin;Ashraf, Hengameh;Baghban, Alireza Akbarzadeh;Dianat, Omid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5호
    • /
    • pp.339-348
    • /
    • 2022
  • Background: To compare the anesthetic efficacy of supplemental buccal infiltration (BI) (1.7 ml) versus intraligamentary (IL) injection containing 0.4 ml of 4% arti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after a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with 1.7 ml 2% lidocaine in the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s diagnosed with irreversible pulpitis (IP). Methods: One hundred subjects diagnosed with IP of either the mandibular first (n = 50) or second molars (n = 50) and failed profound anesthesia following an IANB were selected. They randomly received either the IL or BI techniques of anesthesia. Pain scores on a 170 mm Heft-Parker visual analog scale were recorded initially, before, and during supplemental injections. Furthermore, pulse rat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supplemental injection. During the access cavity preparation and initial filing, no or mild pain was assumed to indicate anesthetic success. The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for the analyses. Results: The overall success rates were 80% in the IL group and 74% in the BI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63). In the first mol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chniques (P = 0.088). In the second molars, IL injec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 (P = 0.017) than BI. IL injection was statistically more successful (P = 0.034) in the second molars (92%) than in the first molars (68%). However, BI was significantly more successful (P = 0.047) in the first molars (88%) than in the second molars (64%). The mean pulse rate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L group than in the BI group (P < 0.001). Conclusions: Both the IL and BI techniques were advantageous when used as supplemental injections. However, more favorable outcomes were observed when the second molars received IL injection and the first molars received 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