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검색결과 4,532건 처리시간 0.043초

안궁의 신뢰성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iability and Training of Face-Bow Transfer Procedure)

  • 소웅섭;최대균;권긍록;이석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4호
    • /
    • pp.297-308
    • /
    • 2003
  • Face-bow is used to transfer models to the articulator in diagnosing the patient or treating problems associated with occlus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the reliability of the face-bow proced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reliability of the face-bow proced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face-bow procedure and to evaluate whether the face-bow transferring has any training effect. Nine dentists working at M hospital conducted a face-bow transfer in one patient having a normal dentition and interdental relationship. The procedure was done two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maxillary model was mounted to the articulator every time, then the landmarks on the maxillary right first molar, the maxillary left central incisor, and the maxillary left first molar were measured with a special three-dimensional instrument. These data were input into a computer, and evaluat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examined with ANOVA test, the results were p=0.2040 in maxillary right first molar, p=0.0578 in maxillary left incisor, and p=0.1433 in maxillary left first molar. There was no significant(0< $p{\leq}0.05$). 2. Training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rial and rejection was -0.578 when analyzed with T-distribution. The more we tried, the less errors we found. 2) When the S.D. of the first three trials was compared to the S.D. of the last three trials in face-bow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rmer was larger than the latter in thirty-nine times, and the latter was larger than the former in fifteen times. The more we tried face-bow transfer, the less errors we found. 3. When the S.D. of x, y, z coordinates were examined, the S.D. of x coordinates had the largest measurement in five times, the S.D. of y coordinates had the largest measurement in four times, and the S.D. of z coordinates had the largest measurement in nine times. The possibility which the error can occur in z coordinate was the highest.

레이저 용접과 납착법으로 연결된 귀금속성 금속-도재 합금의 물리적 성질 (Mechanical Properties of Precious Metal-Ceramic Alloy Joined by the Laser-Welding and the Soldering Method)

  • 오정란;이석형;우이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4호
    • /
    • pp.269-279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recious metal-ceramic alloy joined by the laser-welding and the soldering compared with the parent metal. Twenty-four tensile specimens were cast in precious metal-ceramic alloy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eight. All specimens in the control group(group 1) were left in the as-cast condition. Group 2 and 3 were the test specimens, which were sectioned at the center. Eight of sectioned specimens were joined by soldering with a propane-oxygen torch, and the remaining specimens were joined by laser-welding. After joining, each joint diameter was measured, and then tested to tensile failure on an Instron machine. Failure loads were recorded, and then fracture stress(ultimate tensile strength), 0.2% yield strength and % elongation calculated. These data for three groups were subjected to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Neuman-Keuls post hoc test was then used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fracture locations, fracture surfaces were examined b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ensile strength and 0.2% yield strength of the soldered group($280.28{\pm}49.35MPa$, $160.24{\pm}26.67MPa$)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both the as-cast group($410.99{\pm}13.07MPa$, $217.82{\pm}17.99MPa$) and the laser-welded group($383.56{\pm}59.08MPa$, $217.18{\pm}12.96MPa$). 2) The tensile strength and 0.2% yield strength of the laser-welded group were about each 98%, 99.7% of the as-cast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wo groups(p<0.05). 3) The percentage elongations of the soldered group($3.94{\pm}2.32%$) and the laser-welded group($5.06{\pm}1.08%$)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e as-cast group($14.25{\pm}4.05%$) (p<0.05). 4) The fracture of the soldered specimens occurred in the solder material and many porosities were showed at the fracture site. 5) The fracture of the laser-welded specimens occurred also in the welding area, and lack of fusion and a large void was observed at the center of the fracture surface. However, the laser-welded specimens showed a ductile failure mode like the as- cast specim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ensile strengths of the laser-welded joint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as-cast joints and superior to those of the soldered joints.

Adjuvant로 유발된 관절염의 흰 쥐에서 초음파의 임상반응 (Clinical Responses of Ultrasound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 이동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ultrasound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Adjuvant arthritis was induced in 26 female Sprauge-Dawley rats by the subcutaneous injection of a single dose of .1 mL of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1 mg of Mycobacterium Butyricum suspended in .1 $m{\ell}$ paraffin oil) into the right hind paw. After confirming inflammatory edema and arthritis in the paw 2 weeks later, the arthritic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e., a control group, a pulsed ultrasound group (Group A), and a continuous ultrasound group (Group B) with 8 rats placed in each group. The rats in Group A were treated with pulsed ultrasound at 1 MHz frequency with .5 $W/cm^2$ intensity in 1 : 4 mode for 3 minutes. The rats in Group B were treated with continuous ultrasound at 1 MHz frequency with 2 $W/cm^2$ intensity in the continuous mode for 3 minutes. The ultrasound treatment was done in the left and right ankles for 2 weeks.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then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in body weigh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ed groups.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dema of the paw was seen in the rats in Group A that was treated with pulsed ultrasound by 26~29 days after the treatment started (p<.05). 3. According to radiological examination, Group A showed the lowest score in arthritis scale which means it showed a tendency to suppress arthritic inflammation of the left and right hind paw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in the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Group A and Group B. 4. According to histopathologic findings, the degree of infiltration by inflammatory cells and hypertrophy of the synovium were less in Group 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Group B.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rats that were treated with the pulsed ultrasound effectively suppressed adjuvant arthritis. However, more effort is needed to objectiv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ultrasound by developing more sensitive testing methods that coul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treatment effects of acute rheumatoid arthritis and by trying out different ultrasound treatment methods.

  • PDF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에 관한 실험실적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Initial Stability of Two Tapered Dental Implant Systems in Poor Bone Quality)

  • 김덕래;김명주;권호범;이석형;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91-401
    • /
    • 2009
  • 임플란트의 성공은 식립 후의 초기 안정성 (Initial stability)의 결과가 중요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임플란트의 디자인과 self-tapping blade의 유무에 따라서 초기 안정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Self-tapping blade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있지 않은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사용되었다. Solid Rigid Polyurethane Form으로 연질 골 상태인 D4 골 모형을 재현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면서 초기 안정성 값을 기록하고, 식립 직후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을 측정하여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형골을 만능 시험기에 부착하여 장축 방향으로의 pull-out force를 측정하였다. 초기 안정성 값과 최대 pull-out torque 값은 non self-tapping implants가 self-tapping group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큰 평균값을 나타냈다 (P = 0.008). 공진 주파수 분석 결과인 ISQ 값은 거의 비슷한 평균값을 보였으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각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식립 토크와 pull-out 최대 토크 그리고 공진 주파수 간에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Non self-tapping 임플란트의 높은 식립 토크는 임상적으로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연질 골에서 self-tapping blade가 없는 임플란트가 있는 것 보다 더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보였다.

경골어류 잉어과 Tiger barb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Tiger Barb, Cyprinidae, Teleostei)

  • 정한석;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63-168
    • /
    • 2011
  •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tiger barb (Puntius tetrazona Bleeker, 1855)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흰색의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의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 색으로 염색되어 호염기성을 띠고 있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는 난세 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난황포들이 한 층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난막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매우 얇게 관찰되었고 인은 파란색으로 관찰되어 쉽게 구별되었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는 난황포 가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세포막에서 핵 쪽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포질의 hematoxylin 염색도는 많이 낮아졌으나 핵 주 위는 아직 염색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난막은 두꺼워졌다. 제2난 모세포는 제1난모세포 시기 때보다 더 난황포가 증식되어 세포 질 전체를 차지하고 있었다. 난자가 더 성숙함에 따라서 난황포 는 응축되어 난황괴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난자형성과정중 에 유구(oil droplets)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경골어류 등목어과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Three Spot Gourami, Belontiidae, Teleostei)

  • 장병수;정한석;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55-161
    • /
    • 2011
  • 경골어류 등목어과(Belontiidae)에 속하는 three spot gourami (Trichogaster trichopterus Pallas, 1770)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흐린 살색의 아가미 쪽은 뾰족하고 생식공 쪽은 둥근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색으로 염색되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 세포의 세포질은 핵 쪽에서 세포막 쪽부터 hematoxylin의 염색 성이 낮아졌고, 제1난모세포는 난세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유구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 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유구들이 세포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증식되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작은 유구들이 핵막 근처에 집중 되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2난모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 라서 난막은 두꺼워져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유구 가 세포질 전체로 퍼져나갔다. 세포막 쪽의 유구 사이에 난황포 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난황포는 호산성으로 에오신에 의해서 적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뚜렷하고 핵은 염기성을 띠었다. 또한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적색으로 염색된 구형의 난황괴를 이루 고 있었다. 수정란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중앙하단에 한 개의 큰 유구가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three spot gourami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유구와 난황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및 큰 유구의 형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상하 및 좌우회전 (Effect of head positioning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in panoramic radiographs: rotation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변진석;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4
  • 목적: 이 연구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환자의 머리 위치가 상방, 하방,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됨에 따른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직경 4 mm인 금속구 5개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2개)와 우측 대구치부(3개)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상하 및 좌우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에 건조 두개골을 고정시킨 후, 기준 위치와 회전된 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쵤영하였다. 결과: 기준 위치에서 평균 수평 확대율은 $1.22{\pm}0.01-1.44{\pm}0.01$이었고, 평균 수직 확대율은 $1.29{\pm}0.00-1.35{\pm}0.02$였다. 전치부와 구치부 비교시 수평 확대율은 전치부에서 $1.24{\pm}0.02-1.31{\pm}0.03$, 구치부에서 $1.40{\pm}0.03-1.33{\pm}0.0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수직 확대율은 차이가 없었다.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88{\pm}0.03-3.73{\pm}0.16$으로 기준 위치와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P < 0.05), 수직 확대율은 $1.24{\pm}0.01-1.37{\pm}0.02$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회전된 머리위치에서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촬영 시 수평 확대율의 변화가 크다.

칫솔질이 IPS e.max Press 도재의 외부 stai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Externally Stained IPS e.max Press Porcelain Due to Tooth Brushing)

  • 박찬;이경제;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213-221
    • /
    • 2012
  • 장기적인 칫솔질시 외부 stain 처리된 IPS e.max Press 도재의 색의 변화를 분광측색장치(SpectroShade$^{T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외부 stain의 색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IPS e.max Press LT ingots shade a1(Ivoclar Co.,Liechtenstein)를 사용하여 블록 형태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Orange, A, B, C, D shade로 외부 stain 처리 하였다. 칫솔질 기계를 이용하여 1년(11,000회), 2년(22,000회), 4년(44,000회), 6년(66,000회), 8년(88,000회) 치의 칫솔질 운동을 수평적으로 시행하였다. SpectroShade$^{tm}$ MICRO(MHT, Italy)를 이용하여 색조 변화를 측정하였다. 1년치(11,000회)의 칫솔질 연마 후 Orange shade에서 다른 4개의 shade보다 더 크게 색 차이가 나타났다. 그 후 칫솔질 횟수가 증가하여도, 외부 stain의 shade에 따른 색 차이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칫솔질의 횟수의 증가에 따른 색 차이의 변화량은 일정한 증가나 감소의 경향을 보이지 않고 불규칙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칫솔질이 IPS e.max Press 도재의 외부 stain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도 외부 stain의 색 안정성이 인정된다고 생각된다. 추후 외부 stai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 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Exploring the Use of Melody During RAS Gait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Study)

  • 박혜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36
    • /
    • 2015
  •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듬청각자극(RAS) 적용 시 선율의 유무에 따른 보행 훈련 효과를 비교하고, 보행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평가를 제외한 총 8회의 보행훈련을 진행하였다. 회기별 중재 시 선율 유무에 따른 보행 속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훈련 효과에 따른 시공간적 지표 및 운동 형상학적 지표 변화 비교를 위해 VICON 370 Motion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보행 지표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RAS 보행 훈련 시 제공한 음악 자극 형태에 따라 보행 속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으므로, 선율의 사용 유무는 보행 훈련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RAS 보행 훈련 후 분속수, 보행 속도, 활보장, 활보장 시간, 보행 대칭성이 공통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대상자 모두 공통적으로 고관절 및 슬관절의 움직임에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굴곡이나 신전이 감소함에 따라 양측의 비대칭성 감소 및 움직임의 안정성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리듬 적용과 리듬 자극에 선율을 반영한 음악 자극 적용에 따른 보행 속도 간 차이를 비교한 본 연구 결과는 운동기능을 위한 RAS 적용 시, 일정한 간격의 리듬자극에 의한 리듬-운동 동조화가 핵심 기제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RAS 보행 훈련을 통한 보행 기능뿐만 아니라 보행 패턴의 개선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Submerged 임플란트에서 덮개나사 노출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상실 (Early Marginal Bone Loss around Submerged Implant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over Screw Exposures)

  • 최미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2호
    • /
    • pp.175-182
    • /
    • 2013
  • 2단계 임플란트 수술법에 있어서 식립 후 골유착을 위한 치유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덮개나사의 노출의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흡수 정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덮개나사의 노출을 보인 경우에서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를 선택해 모집단으로 하여, 28명의 환자에서 덮개나사의 노출이 확인된 28개의 임플란트를 실험군으로 하고 노출되지 않은 나머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총 64개의 임플란트 고정체($TiUnite^{TM}$, NobelBiocare, Sweden)가 식립되었으며 임플란트 식립 1개월 후 정기검사를 통해 덮개나사의 노출을 확인하였다. 노출의 정도에 따라 1군(대조군, 노출 없음), 2군(pin-point 노출), 3군(1/2이하의 노출), 4군(1/2 이상 노출), 5군(완전 노출)으로 하였고 2개월 정기 검진 시 치유지대주를 연결하였다. 식립 직후, 2개월 정기 검진시 치근단 방사선 촬영을 통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덮개나사의 노출시 변연골 흡수가 관찰되었다. 2. 2군과 3군은 나머지 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3. 4군과 5군은 1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05), 그 정도는 2군과 3군에 비해 작았다(P <.05). 이상의 결과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치유과정 중 발생하는 덮개나사의 노출은 조기 변연골 흡수에 기여하므로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유지대주를 연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적절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