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ealth Panel (KHP)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2018년 자살 관련 지표들과 추이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8)

  • 이두웅;권준현;양지은;주영준;박은철;장성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19
    • /
    • 2020
  • Suicide has been a long-standing problem for global public health, along with almost 800,000 deaths from suicide worldwide in 2016, accounting for 1.4% of all deaths. South Korea was ranked first in suicide mortality in 2018 among countries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up-to-date information about suicide-related indicators such as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and suicide death, and its trends by applying sampling weight to make it nationally representative. In this study, we used the data sourc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S, '07-13, '15-18),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08-09, '13, '17), Korean Wealth Panel Study (KOWEPS, '12-18), Korea Health Panel Survey (KHP, '10-13), and Statistics Korea (1983-2017).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as recent year was 4.73% (KNHANES, '17), 6.96% (KCHS, '17), 2.29% (KOWEPS, '18), and 5.39% (KHP, '13). That of suicide attempt as recent year was 0.51% (KNHANES, '18), 0.32% (KCHS, '17), and 0.15% (KOWEPS, '18). Annual percentage change (APC) of suicidal ideation was -15.4% (KNHANES, '07-13, '15, '17), -2.5% (KCHS, '08-09, '13, '17), -10.8% (KOWEPS, '12-18), and -10.9% (KHP, '10-13). APC of suicide attempt was -4.4% (KNHANES, '07-13, '15-18), -4.4% (KCHS, '08-09, '13, '17), and -13.6% (KOWEPS, '12-18). APC of death by intentional self-harm was -1.25% (Statistics Korea, '07-18). All suicide-related indicators were found to be decreasing in the overall from 2009.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level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Even though suicide rate had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its highest point in 2011 (suicide rate: 31.7 per 100,000 population) to 2017 (suicide rate: 24.3 per 100,000 population), it increased again in 2018 (suicide rate: 26.6 per 100,000 population). This information would be grounded on policy implementation for suicide prevention, thus continuous data observation is necessary.

자가 응답식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및 건강기대수명 연구의 신뢰도 분석: 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 (Reliability of self-reported data for prevalence and health life expectancy studies: comparison with sample cohort DB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 권태연;박유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329-1346
    • /
    • 2016
  • 한국 의료패널 데이터와 국민건강 영양조사는 추출된 표본의 자가 진단에 따른 건강상태(self-assessed health)와 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자가응답식 자료(self-reported data)이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연구 및 그에 따른 건강기대수명 연구에 관하여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었다. 반면 최근 공개된 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DB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에 관련된 모든 자료가 저장된 자료인 국민건강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객관적인 자료이다. 또한 추정된 질병별 유병률에 대하여 그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음이 검증된 자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유병률에 대한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는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들 응답식 데이터에서 도출된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가응답식 자료를 통한 유병률은 표본코호트 DB를 통한 유병률에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과소추정되어 있고 이러한 과소추정은 건강기대수명의 과대추정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본코호트 DB를 제외한 우리나라 건강자료의 안정적이지 못한 표본의 문제는 추정된 건강기대수명의 트렌드를 왜곡하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질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health care: Based on the Korea health panel data)

  • 한지영;박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195-206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 2011~2013년 연간데이터(beta version 1.0)을 이용해 의료서비스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의료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을 분석 결과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이용 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미충족의료와 치과이용제한이 의료서비스 질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mpact of Changes in Medical Aid Status on Unmet Need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 Kim, Woo-Rim;Nam, Chung-Mo;Lee, Sang-Gyu;Park, So-Hee;Kim, Tae-Hyun;Park, Eun-Cheol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4-55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changes in Medical Aid (MA) status are associated with unmet need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Methods: Data from the 2010 to 2014 Korea Health Panel (KHP) were used. The impact of changes in annual MA status ('MA to MA,' 'MA to MA Exit,' 'MA Exit to MA,' and 'MA Exit to MA Exit') on unmet need (all-cause and financial) and CHE (10% and 40% of household capacity to pay) were examined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separately for MA type I and II individuals. Results: In 1,164 Medical Aid type I individuals, compared to the 'MA to MA' group, the 'MA to MA Exit' group had increased likelihoods of all-cause and financial unmet need. This group also showed higher likelihoods of CHE at the 10% standard. The 'MA Exit to MA Exit' group showed increased likelihoods at the 10% and 40% CHE standards. In 852 type II recipients, the 'MA to MA Exit' group had higher likelihoods of CHE at the 10% standard. Conclusions: Type 1 MA exit beneficiaries had higher likelihoods of all-cause and financial unmet need, along CHE at the 10% standard. Type I 'MA Exit to MA Exit' beneficiaries also showed higher likelihoods of CHE at the 10% and 40% standards. In type II recipients, MA exit beneficiaries had higher likelihoods of CHE at the 10% standard. The results infer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MA exit beneficiaries as they may be vulnerable to unmet need and CHE.

정신과 외래환자들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 by Psychiatric Outpatients)

  • 김채봉;황성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7-86
    • /
    • 2012
  • Objective of the study represents experiences of medical utilization of Psychiatric Outpatients. This research draws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2008 National-wide sampling study of the Korean Healthcare Panel(KHP) conducted.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e significance of variables such as the gender(p<.001) in the social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medical security type(p<.016), medical institution utilization(p<.012) treatment type(p<.004) in the utilization factors. In the case of medical utilization cost, the financial support factor(p<.018)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particularities of gender, medical security type, financial support, medical institution utilization, treatment type were determined through a multipl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Gender showed that, among Psychiatric outpatient age of 30-59 level was 5.358 times and 60 years and older, their the second medical examination level was 4.490 times higher than Psychiatric outpatients under the age of 29. Health insurance type showed for the others medical allowance was 6.712 times higher than job health insurance and the other treatment was 0.395 times lower than drug treatment. Psychiatric outpatients utilization are rooted in the thoughts and factor levels of the Psychiatric patients and must be understood from the Psychiatric outpatients's perspective. The point is not only to gauge the patients research during Psychiatric medical utilization. The important of social community mental healthcare services levels goes beyond the goal of enhancing healthcare.

주변화 모형을 이용한 의료 패널 이진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medical panel binary data using marginalized models)

  • 오채영;이근백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4호
    • /
    • pp.467-484
    • /
    • 2024
  • 경시적 자료는 같은 개체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반복 측정된 자료들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경시적 자료분석에서는 이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개체 내 상관관계와 개체 간 변동성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시적 이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 중 공변량의 모집단 평균 효과의 추정을 위해 주변화 모형에 집중하고자 한다. 경시적 이진 자료분석을 위한 주변화 모형으로는 주변화 임의효과, 주변화 전이, 주변화 전이 임의효과 모형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 이들 모형을 먼저 고찰하고, 그리고 모형들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결측치가 없는 자료와 결측치가 있는 자료로 나눠서 모의실험을 진행한다. 모의실험에서 자료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에 자료가 생성된 모형에 따른 성능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변화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료패널자료를 분석한다. 한국의료패널자료는 반응변수로 주관적 불건강 응답을 이진변수로 고려하였고, 여러 설명변수를 가진 모형을 비교하고 가장 적합한 모형을 제시한다.

1인실과 다인실 입원 병상 이용에 관한 병상 선택 요인과 환자 만족도 분석 (Use of Single Bedrooms versus Multiple Bedrooms: Selection Factors and Comparison of Patient Satisfaction)

  • 이근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8-83
    • /
    • 2021
  • Background: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single bedrooms have many potential advantages compared to multiple bedrooms. However, Korea has a reimbursement system that patients have to pay the additional fee if they will use single bedroom or pay-bed (1-3 bedroom).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atients' bed sel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tisfaction and bed type in the Korean setting. Methods: Using the 2017 Korea Health Panel (KHP) Survey data, we modified bed type by two dichotomous variables: single bedroom vs. multiple bedroom (2+ bedrooms) and pay-bed (1-3 bedroom) vs. reimbursed bed (4+ bedro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choice of room type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ospital room types are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Results: Single room and pay-bed (1-3 bedroom) use was influenced by patient age (19- years old), male, a person at work, hospitalizing in a clinic, and birth. After controlling variables of the behavioral model of medical utiliz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satisfaction and use of single bedroom & pay-bed (1-3 bedroom). Cause of hospitalization, major treatment, and recognition of unnecessary ca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Although the single room is about the standard for newly built hospitals in western countries, it remains unclear that single room or pay-bed (1-3 bedroom) has positive effects on patient's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this empirical study, the difference in patient satisfaction by bedroom type was not noticeable. In terms of bed management by hospital staff, securing patient credibility in hospital care is an important task. Patients' perception of whether medical staffs have encouraged unnecessary treatment or tes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s satisfaction.

노인 의료비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 예측요인과 주관적 건강에 대한 영향 (Predictors of Latent Class of Longitudinal Medical Expenses of Older People and the Effects on Subjective Health)

  • 송시영;전혜정;최봄이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467-48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Korea Health Panel: KHP)의 2008년(1, 2차)부터 2016(10차)년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이 사용한 의료비 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특성과, 의료비 잠재계층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이 9개년에 걸쳐 지출한 의료비 변화 궤적이 서로 다른 하위집단을 구분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 의료비 변화의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의료비 잠재계층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의료비의 종단적 변화궤적은 4개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고의료비 유지 집단, 의료비 증가 집단, 저의료비 유지 집단, 의료비 감소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배우자 유무와 경제활동 유무, 만성 질환 개수와 의료보장 형태가 의료비 변화궤적의 하위유형을 예측하였다. 특히 보유 만성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고의료비 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의료급여 수급자는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저의료비 유지, 의료비 감소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낮은 수준의 의료비를 유지하거나 의료비가 감소하는 집단은 높은 수준의 의료비를 유지하는 집단보다 주관적 건강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비 지출 궤적에 따른 노인 집단 내 이질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이질성을 예측하는 특성을 탐색하였으며 의료비 지출 궤적이 주관적 건강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의료비와 관련된 보건·건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