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ealth Panel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34초

노인대상 영양정보 웹사이트 컨텐츠 개발 : 내용분석과 카드소팅과정(Card-sorting proces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Nutrition Information Contents for Older Adults : Content Analysis and Card-sorting process)

  • 채인숙;양일선;이필순;정유선;김영신;장윤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5-245
    • /
    • 200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web-based nutrition information contents for the older adults. Twenty six domestic web-sites were analyzed and then 12 foreign web-sites and 4 education materials for the elderly of foreign university were benchmarked. Also a lot of literatures on elderly education program were reviewed. A card-sorting task was performed with 8 older adults to ascertain how the target audience organized information about nutrition. The results were as fellows. Among 26 domestic web-sites, 2 sites(7.7%) were only for the elderly. Main topics of inform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 included 'Importance of Healthy Eating', 'DRI', 'Dietary Guidelines'. Four of twelve foreign web-sites were for the elderly nutrition education. Topics of 'Dietary Guideline', 'Meal Program' were found in 4 sites and 'Importance of Healthy Eating', 'Diet & Disease', 'DRI, 'Food Guide Pyramid', 'Nutrition Fact Labels' were found in 3 sites. Education materials of foreign university dealt with basic information on 'nutrient needs changes related with aging', 'Heart & Bone Healthy Eating Plan', 'Food Guide Pyramid'. Also topics on 'Eating on a budget', 'Eating Out Guideline' were included for practical use for the elderly. Based on card-sorting process, contents framework for web-site was developed and 4 main menus for framework were respectively named as 'Nutrition', 'Meals', 'Foods'. 'Check up Nutritional Health' by panel discussion. Finally we developed nutrition information contents for 4 main menus. We focused on helping older adul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ealthy eating and apply the nutrition information to practical use.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framework of contents can be a guideline for indentifying the information needs of older adults in developing effective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And we suggest that the survey for target people should be peformed for the web-site to be user-friendly designed and the developed contents be evaluated and revised in the near future.

새로운 세대정신?: 한국청년세대의 복지태도 지형연구 (A New Generational Spirit?: A Study on Welfare Attitude of Korean Young Generation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7-23
    • /
    • 2023
  •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복지제도에 대해 가지는 사고의 지형에 주목한다. 8개의 복지영역에 대한 정부지출의 확대 또는 감소에 대한 태도, 그리고 복지태도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에 대한 청년세대의 태도들이 주요 분석내용이다. 사전 가설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탐색적 성격의 연구이며, 분석결과에 대해서는 사후적 해설이나 추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가설 도출을 수행하고자 한다. 자료는 2022년에 수행된 한국복지패널 17차년도 조사결과이며 평균차이 검증과 사후 비교, 그리고 범주형 변수 간의 구체적 연관을 보여주는 대응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의 청년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에서는 '전문대졸'과 '대졸'이, 경제활동 상태에서는 '상용직'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30대'가 생각하는 가장 시급한 사회문제는 '주거'와 '양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한국 청년세대는 중장년 및 노년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상용직 위주의 경제활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적연금'에 대해서는 정부지출의 확대에 반대하지만, '주거지원'에 대해서는 정부지출 확대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년층('60대'와 '70대')에 비해 보편주의 복지태도를 지향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연령대에 비해 진보적 정치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정작 복지를 위한 증세에 반대하는 경향은 노년층에 비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적어도 복지이슈에 대해서 한국 청년세대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자의식 구조를 엿 볼 수 있는 분석결과로 보인다.

한국인의 세대 판별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지태도와 가치관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upon The Factors for Discriminating Generations: Focusing on Welfare Attitudes Values on Social Issue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169-174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집단 또는 세대를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한다. 주된 관심을 가지고 분석에 투입한 변수는 응답자의 복지에 대한 태도이나, 그 밖에도 정치적 성향, 형평의식, 교육수준, 한국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세금에 대한 인식, 그리고 건강상태 등의 변수들도 모형에 함께 투입되었으며, 따라서 이 연구는 일종의 탐색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22년도 수집된 한국복지패널 17년차 년도 자료이며 선형판별분석기법이 활용될 것이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대구분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과거 국내외 문헌을 통해 진행될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세대구분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계량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에 의해 세대구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즉 세대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는 정치적 성향과 가치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할 것이다. 가치관에 대한 검토에서 복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이 논의 될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 모형, 분석기법, 그리고 분석에 투입될 변수가 소개될 것이다. 분석결과의 제시 및 요약 후 이론적 및 방법론적 제언을 수행하고자 한다.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 개발: 델파이연구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Indicators fo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Delphi Study)

  • 신재용;김정란;이지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37-50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역량지표관련 자료들을 종합 분석하여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개발하였다. 결과 : 역량지표는 8개 역량요소를 기반으로 1차 델파이 결과 133개, 2차 델파이 결과 135개의 역량지표가 조사되었으며 최종적인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는 8개 요소를 기준으로 131개의 역량지표가 개발되었다. 3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95, 안정도 .10, 수렴도 0, 합의도 1로 높은 수준의 합의를 보였다. 결론 : 개발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포도주(葡萄酒) 제조방법(製造方法)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 변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80
  • 포도주(葡萄酒)의 제조방법(製造方法)과 품종(品種)에 따른 제품(製品)의 물리(物理)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그들의 기호성(嗜好性)에 대(對)한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하므로서 평가(評價)한 몇가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포도(原料葡萄)의 성분(成分)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90.70{\sim}90.82%$로서 품종간(品種間)에는 차별(差別)이 없고 Brix 당도(糖度) 및 당분함량(糖分含量)은 Muscat Bailey A>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다. 적정산도(滴定酸度)는 Muscat Bailey A 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고 PH 는 Campbell Esrly>Muscat Bailey A Alden의 순(順)이였다. 2)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포도주(葡萄酒)의 비중(比重)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었다. 3) 포도주(葡萄酒)의 주정도(酒精度)는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자연발효구(洗滌自然醱酵區)의 순(順)이였으나 숙성(熟成)이 됨에 따라 차(差)는 적어졌다. 4) 발효액(醱酵液)의 PH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에 비(比)하여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가 약간 낮으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차(差)가 적어졌다. 5) 총(總) Ester 양(量)은 발효(醱酵)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가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 보다 약간 높았으며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6) 발효성(醱酵性)에 따른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발효조건(醱酵條件)에 따라서는 효모첨가구(酵母添加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발효구(洗滌醱酵區)의 순(順)이였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Alden>Muscat Bailey A>Campbell Early 순(順)으로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고형 두유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Soymilk Yogurt and the Related Studies)

  • 오혜숙;이경혜;윤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4호
    • /
    • pp.175-181
    • /
    • 1981
  • 한국인의 기호에 맞고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대두 yogurt의 개발의 시도하였고, 그에 관련된 일련의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L. acidophilus, S. thermophilus, L. bulgaricus 세 균주는 모두 glucose galactose, lactose를 발효시켰다. 대두의 주요한 당인 sucrose는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되었으나, L. bulgaricus는 sucrose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인체내에서 gas생성요인이 되는 raffinose와 melibiose 는 본 실험에 사용한 어느 균주에 의해서도 발효되지 못하였다. 2) 두유에서 유산군의 생육도를 조사한 결과 배양 초기에는 L. acidophilus가 가장 우수한 성장도를 보였으나, 배양 16시간 이후부터는 S. thermophilus도 비슷한 성장도를 현미경을 통해 혼합균주의 생육 정도를 관찰하였을 때 S. thermophilus가 대부분이었고, L. bulgaricus는 매우 드물었다. 배양 16시간 째에 L. bulgaricus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산도 0.6%, pH 4,6이 되도록 산을 생성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산도와 pH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S. thermophilus를 사용하여 우유 yogurt, 두유 yogurt, 우유 두유 yogurt를 제조하여 관능 검사를 한 결과 냄새에서 두유 yogurt가 우유 yogurt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풍미, 질감 등 관능 검사의 총 점수는 세 제품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 검사의 결과는 두유 yogurt가 새로은 식품으로 소개될 때 별 저항없이 받아들여질 것 으로 해석된다.

  • PDF

치아 외과적 발거 전 혈액검사의 필요성과 이의 정책적 제시 (Needs of Preoperative Blood Sample Test in Surgical Extraction: Suggestion of New Policy)

  • 서미현;김성민;오진실;명훈;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332-336
    • /
    • 2012
  • Purpose: The third molar extraction is one of the mostly performed procedure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most of dental clinic or hospital, the third molar extraction used to be frequently performed in an office-based surgery, and most patients did not have specific medical history with young ages. Medical history taking are dependent on the only way by asking to the patients about their individual conditions. Therefore, as the specialists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the field of dentistry, we suggest a new policy that the preoperative lab must be performed routinely before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1,096 patients who have been managed with third molar extractions, from March 2008 to September 2011 by a single surgeon. The preoperative lab, including complete blood count, coagulation panel, chemistry and serology, was performed before any surgical procedures. The results were informed to the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abnormalities, and any abnormalitie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platelet count and coagulation factors, were checked and corrected safely. Results: Through the preoperative blood test, systemic diseases that the patients had not recognized before, such as anemia, leukopenia, fatty liver and chronic renal disease, were identified.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leukemia, Hepatitis B, and HIV positive, were also detected as a small number. Also, the possibilities of the cross-infection between dentists and patients or between patients and patients, and any other emergency situations can be prevented; as well as the public health condition can be improved, too.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low cost preventive blood test and high quality of medical services. Conclusion: Therefore, routine medical lab testing, including history taking are needed before an office-based minor surgery, such as third molar extractions, and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as a new policy in the field of dentistry.

Aesthetic outcomes after surgical repair of pectus excavatum in females: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professional evaluators

  • Wachter, Tanja;Frari, Barbara Del;Edlinger, Michael;Morandi, Evi Maria;Mayerl, Christina;Verstappen, Ralph;Celep, Emre;Djedovic, Gabriel;Kinzl, Johann;Schwabegger, Anton Herbert;Wolfram, Dolores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26-134
    • /
    • 2020
  • Background Pectus excavatum is less common in females than in males, and it often aggravates a coexistent breast asymmetry. We conducted a study comparing female patients' versus medical professionals' evaluation of pectus excavatum repair to assess differences in aesthetic outcome ratings. Moreover,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surgical correction on patients' self-perception. Methods Of 30 female patients who were initially screened, 18 patients (mean age, 20 years) who underwent bar removal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pectus excavatum deform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60%).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rating their appearance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responded to a psychological questionnaire about the changes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mean interval between pectus bar removal and evaluation was 28 months. Standardiz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atient photographs were evaluated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by a panel of medic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n=24)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rated their preoperative deformity as more severe than the other evaluators, reveal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deformity on patients' self-perception. Postoperatively, patient and professional evaluations were much better than before and were very similar.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showed a clear improvement in well-being. The ratings of the medical professionals were not influenced by their degree of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Surgical correction of pectus excavatum in female patients positively influences body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should therefore not be considered as a merely aesthetic correction, but as an important procedure to restore a patient's self-perception.

가계의 엥겔계수, 엔젤계수 및 슈바베계수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Influencing Household Head's Life Satisfaction : according to Income Quintile)

  • 오윤희;김순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1-2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influencing Household head's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8th analysis of the 2013 Korea Welfare Panel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or the sample, 903 male Household head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program (Ver. 21.0) was used. And for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d percenti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s of analyzing the food costs, education costs and housing costs depending on Income Quintile, the food costs and education costs in the 5th Income Quintile compared with other Income Quintile, were highest. Also, the highest housing cost was in the 2nd Income Quintile, while the least housing cost was in the 1st Income Quintile.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according to Income Quintile, the results show that E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decreases as Income Quintile increases, and Angel coefficient increases as Income Quintile becomes higher. Third, the level of HH'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Income Quintile, 1st Income Quintile, 2nd Income Quintile, 4th Income Quintile, 3rd Income Quintile, 5th Income Quintile in order, increased.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household and demographics about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it was shown that the variables effecting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are age, occupations, Number of workers, House ownership, Income Quintile.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effecting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while Schwabe index is not that significant, Engel coefficient and Angel coefficient a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erefore, the influence of Food costs and education costs can be confirmed.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past on Activity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resources)

  • 신수민;김동배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57-83
    • /
    • 2013
  • 본 연구는 과거의 노후 준비가 노년기에 이르러 활동적인 노년 생활을 보내는 것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노후준비를 통해 획득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라는 심리사회적 자원이 이러한 두 요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 서울시 복지패널조사"자료 중 2010년도 가구원용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분석 및 구조방정식으로 모형을 분석하였다. Sobel test를 통해 과거의 노후준비가 활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사회적 자원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노후준비의 구성 요소인 신체적인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 그리고 여가적인 노후준비는 활동적 노년생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거의 노후준비와 노년기의 활동성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어, 부분 매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 진입에 앞서 다양한 영역에 대한 노후 준비는 심리사회적 자원을 획득하고 이는 활동적인 노후생활에 영향을 미치므로 복지정책을 개발함에 있어서도 향후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중장년층에게 노후준비 교육등을 실시하여 심리사회적 자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