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orage Rye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육성 호밀품종의 재배적지와 기상요인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of Korean Rye Cultivar)

  • 류정기;조익환;김진진;한옥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5-87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도 수원과 대구지역에서 11년 동안 수행된 호밀 재배 시험 성적과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비교하고, 그것에 관여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육성된 호밀품종 "곡우"의 재배적지를 설정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구와 수원지역은 호밀 재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수원지역은 대구지역에 비해 수분 공급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기후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수분 공급력과 깊은 관계가 있는 호밀의 재배기간 중 강우일수와 강수량이 호밀의 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상관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해 기후와 호밀의 생육 및 수량 요소 간의 관계를 평가하였고, 재배지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호밀 품종의 재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재배적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 Kang, Heonil;Lee, Donghyun;Han, Sangcheol;Choi, Insoo;Yun, Eulsoo;Lee, Jong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3-33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of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in east-southern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Cropping systems were tested in experiment using oat (cv. Highspeed and Darkhor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 corn (cv. Kwangpyeongok) and sorghum (ss-450) in summer season and rye (cv. Gogu) and triticale (cv. Joseong) in winter season. Considering the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such as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this result suggest that three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The combinations with tritical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ones. And also the combinations with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If forage crops cultivation was started in spring season, the combinations with oat (spring), oat (autumn), triticale or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appropriable. For the more suitable cropping system, we are proceeding on verification experiment of year-round forage crops.

  • PDF

남부지방에서 청예호밀의 생육특성 및 성분함량 (Gruwth Chara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of Forage Rye in Southern-Region of Korea)

  • 안계수;정동희;황종진;임준택;권병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9
    • /
    • 1994
  • To examine the productivity,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rye a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fourteen varieties of rye were sown at Nov. 13, 1992 at the plot of experiment farm of Crop Experiment Station, Mokpo Branch, and over winter survival rate, heading date, yield, yield components and nutritional values were measured. All the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 showed 100% over winter survival rate at the sowing date of Nov. 13. Heading dates of all the varieties ranges from Apr. 25 to May 10, which seems to be early enough to get high yield. The varieties, Paldal-hod, and Danko introduced from Japan appear to be the most recommended ones in the southem region of Korea. They showed early heading date of Apr. 25, large plant height, greater number of leaves, high yield, low content of crude fiber and crude fat, high crude protein, NFE, and crude a5h.

  • PDF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Wint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이승헌;김원호;윤세형;김종근;남진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118
    • /
    • 2005
  • 본 시험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 간척지내 시험포장에서 전작물로 벼 재배된 곳을 밭으로 전환하여 공시 초종으로 총체보리 2품종(올보리, 알보리), 호밀 2품종(올호밀, Koolgrazer)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2품종(화산 101호, Florida80)을 총체보리와 호밀은 10월 10일경,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9월 30일경에 조파하여 각 작목 간에 따른 토양염류도 변화, 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 검토코자 2002년에서 2004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각 작물재배구의 계절별 토양염류도는 각 작물구 모두 파종 당시에 높았으며 월동 후 수확시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높았으며 총체보리 그리고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높았으며, 총체보리 그리고 호밀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그리고 총체보리 순으로 높았다. ADF 함량은 총체보리>이탈리안 라이그라스>호밀 순으로 낮았으며, 식물체 중나트륨(Na) 함량은 총체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순으로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겨울 사료작물로 재배할 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총체보리가 가능하였다.

신개간지에서 구비 및 삼요소시용이 청예사료작물의 생육 및 건물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Compost and NPK Application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Selected Forage Crops on Neqly Reclaimed Uplands)

  • 한민수;박종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8-115
    • /
    • 1991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ttle compost application on the change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main forage crops. Maize(CV. Suweon 19) and sorghum hybrids(CV. Pioneer 9'31) as a summer crops and winter rye were grown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Fine loamy, Typic Hapludults)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 of cattle compost associated with chemical NPK fertilization, from Oct. 1986 to Sept. 1989. Experimental field was laid down as a split plots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attle compost application reclaimed soil physical propeties, such as formation of granular structure and water holding capacity, and it result in a great increase of plant growth and the rate of dry matter accumulation. 2. While cattle compost treatment reduced the portion of soild phase of the three phase constituents of soils, it increased the portion of air phase and liquid phase comparatively. 3. Organic matter, N, P, K, and mineral content in soil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plot treated with compost. 4. Cattle compost application increased fodder production both in maize-rye and sorghum hybrids-rye cultivation. Annual dry matter yield of maize-rye cropping was 2183(NI'K only), 2425(NPK+compvst 3000 kg) and 2800kg/lOa(NPK + compost 6000kg/10a).

  • PDF

Triticale의 사료성분과 in vitro 건물소화율에 미치는 생육시기의 촬영 (Effects of Maturing Stages on Chemical Composition for Feed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Triticale)

  • 윤승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7-232
    • /
    • 2000
  • Triticale을 사료로서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밀(북견 66호, 월한1호, 치오쿠코무기), 호밀(Amilo, W Warko, Mardar), triticale(Moniko, Presto, Tewo)을 출수기,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에 수확하여, 건물 수량, 사료성분 및 IVDMD을 조사했다. 1. 재료의 건물수량은 어느 초종도 생육에 따라 증가했고, triticale은 다른 2종의 초종보다 수량성이 우수했다. 2. triticale의 사료성분은 대부분 멸과 호밀의 중간에 위치했다. 3. triticale과 호멸의 IVDMD는 출수기부터 호숙기까지 저하하고, 성숙기에 향상한 것에 반해 밀은 생육에 따라 저하했다. triticale의 IVDMD는 출수기와 성숙기에서 가장 높았고, 유숙기와 호숙기에서는 밀이 높았고, 호밀은 출수기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최저였다.

  • PDF

주요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I. 작물별 곤포 silage의 일반 성분과 에너지함량 평가 (Study on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orage Crop and Pesture Grasses III. Evalua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energy contents of baled silage with selected forage)

  • 김정갑;한민수;김건엽;한정대;진현주;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2
    • /
    • 1996
  • The quality of silages, made from whole crop barley, rye, spring oat, Italian ryeglass, orchardgrass, alfalfa and grass-legume pasture mixtures, were evaluated under two different conservation techniques in baled silage making (BS) and conventional silages(CS). Crops materials were harvested at the stage of the greatest dry matter accumulation(hard dough for barley, soft dough for rye and oat, late bloom for Italian ryegrass and others pasture species), and baled in a self constructed square baling chamber weighted by 25~30kg in dry matter basis. Each bales were wrapped with 0.05mm thick polyethylen plastic film and stored six months long in stack silos. Barley, rye, oat and Italian ryegrass including of pasture crops produced higher quality silages in the baled silage making, due to better organic acid fermentation and lower nutrient losses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silages. TDN contents of barley silages were 65.3% in BS and 63.7% in CS, NEL value of barley silages was improved hum 6.48MJ(CS) to 6.61MJ/kg(BS) in dry matter basis. Silage quality of rye, oat and pasture crops were also improved markedly in the baled silage utilization.

  • PDF

외국산 도입호밀의 청예사료로서의 생산성 비교 V. 품종 및 수확시기가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Studies of Introduced Rye for Spring Forage Production V. Cultivar and harvesting date effect on forage yield and quality)

  • 김동암;이성철;이종경;민두홍;전우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32
    • /
    • 1992
  • A 2-year neld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harvesting datrs on agronomie characteristlcs,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our winter rye (fecafe cereofe L.) cultivars at the experi-mental fold of Livestock Farm,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All rye rultlvars were winter hardy. Winter more and Elbon were upright in growth and early inmaturity with tall plant height, while Korean native and Kodiak were semi-prostrate and prostrate,respectively in growth and later in maturity with shorter height.Dry matter yields of Winter more and Elb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ose of Korean native andKodiak harvested in early In 1985 and 1986. There were no slgnin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yieldof the rye cultivars harvested in late in 1985, but Winter more and Elbon were signifcantly higherforage yield than the two other cultivars harvested in late in 1986.Crude protein (CP) concentrations of Korean native and Kodiak were signifcantly higher thanthose of Winter more and Elbon harvested in both early and late in 1986.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 uif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the rye col-tivars harvested in early in 1986, but those of Korfan native and Kodiak were signiHcantly lligher thanthe two other cultivars harvested in late.CP and IVDDM yields of Winter more and Elb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native and Kodiak harvested in early in 1986. but no signiFcant differences were round among the ryeco]tivars haryested In late.

  • PDF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mising Double Cropping System of Summer and Winter Forage Crop in Paddy Field)

  • 김원호;신재순;임영철;서성;김기용;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3-238
    • /
    • 2005
  • 본 연구는 여름 사료작물(옥수수, 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 사료용 피, 율무, 밭벼)와 겨울 사료작물(호밀, 총체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을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답리작 논에서 생육특성, 사료가치 그리고 건물생산성을 고려하여 최적 작부체계를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행하였다. 여름 사료작물에 있어 도복에 강한 작물은 다른 초종에 비교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율무 그리고 밭벼가 강했으며, 겨울 사료작물 중에서는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보다 총체보리에서 강했다. 여름 사료작물과 겨울 사료작물을 15개 작부조합 하였을 때 총체보리+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 호밀+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작부조합에서 ha당 각각 27,766 kg, 27,296kg 그리고 25,365kg으로 건물생산성이 높았으며, 그 외에 총체보리+사일리지용 옥수수와 호밀+사일리지 옥수수에서 각각 ha당 23,766kg과 23,572 kg으로 양호하였다.

저장방법 및 저장기간이 호밀 건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ype and Period on the Quality of Rye Hay)

  • 오미래;박형수;우제훈;임은아;이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2-66
    • /
    • 2023
  • 본 연구는 호밀 건초 저장 시 랩핑의 유무와 저장 기간에 따른 외관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호밀은 '곡우'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2020년 10월 15일에 파종하고 이듬해 4월 22일 출수기에 수확하여 건초로 조제하였다. 호밀 건초의 랩핑 유무에 따라 시험구를 구성하였고, 저장기간은 3개월과 6개월이었다. 외관평가 결과는 호밀 건초 저장 3개월 및 6개월 차 모두 랩핑처리가 비랩핑처리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외부와 내부 간 샘플의 외관평가 차이는 없었다. 호밀 건초의 수분함량은 랩핑처리 시 3개월과 6개월 저장기간 모두 조제 시 수분함량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비랩핑처리의 경우 저장 3개월 차에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가 6개월 차에 감소하였다. 호밀 건초를 장기 보관 할 경우 랩핑처리가 비랩핑처리에 비해 CP 함량은 높고, NDF 및 ADF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호밀 건초를 장기 보관할 때 장마철 높은 습기와 같은 외부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랩핑처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6개월 이상의 장기 저장 시 품질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