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항공기 엔진 감항기준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Airworthiness Standards for Aircraft Engines)

  • 이강이;김기태;정하걸;노태성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1
    • /
    • 2015
  • An aircraft engine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mong aircraft systems. Thus type certificate is required for an aircraft engine to ensure its safety under appropriate airworthiness standard. U.S. FAR Part 33 or European CS-E is widely adopted as an airworthiness standard for aircraft engines, and other representative countries of the world established own airworthiness standards under their regulations. In this paper, we compared differences of the requirements between FAR Part 33 and CS-E, and proposed the rulemaking items to harmonize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 for Aircraft Engines with worldwide standards and to contribute to growth of aviation industry.

군용 소형 회전익무인기 감항인증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s for Military Small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 양준모;이상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8-83
    • /
    • 2021
  • In modern society, the use of small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such as drones is increasing. As the military considers tactics using drones, demand for drones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still no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 for drones for safety. In this paper, we propos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s for small rotorcraft unmanned aerial vehicles based on CS-LURS in Europe and STANG-4703, 4738 (draft)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In additio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ca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ccidents in operation by the Korean military. Th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tandards for small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a demonstration project.

군용항공기 감항인증을 위한 추진체 기술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to the Technical Criteria of Propulsion System for the Military Airworthiness Certification)

  • 전진각;김성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05-206
    • /
    • 2017
  • 본 논문은 군용항공기의 감항인증을 위한 표준감항인증기준 및 추진체 기술기준에 대한 연구 내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군용항공기의 감항인증 제도 소개, 민간항공기 감항인증과의 차이점 및 특징, 표준감항인증기준을 소개하고 추진체 주요 기술기준 내용, 그리고 기준 적용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 PDF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에 관한 신규 인증요건 분석 (Study on New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Powerplant System for the Small Airplane)

  • 이은석;이승근;이강이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8-133
    • /
    • 2018
  • 국내 민간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의 감항기준은 KAS Part 23 "감항분류가 보통(N), 실용(U), 곡기(A), 커뮤터(C)류인 비행기에 대한 기술기준"과 Part 33 엔진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미연방항공청(FAA)의 FAR Part 23 및 Part 33과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CS-23 및 CS-E와 동등한 체계를 갖고 있다. FAA(2016.12.12.)와 EASA(2017.3.29.)는 소형 비행기의 감항기준을 개정하였다. 설계 방식과 적합성 입증방법을 지정한 '규범적 규정'에서 안전한 성능을 달성하도록 목표를 지정하는 '성능기반 규정'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 전환에 따라 동력장치 감항기준 또한 대폭 변경되었다. 이에 따른 FAA의 동력장치 인증요건 개정 사항을 살펴보고 국내 감항기준 개정 방향을 고찰하였다.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에 관한 신규 인증요건 분석 (Study on New Airworthiness Requirements of Powerplant System for the Small Airplane)

  • 이은석;이승근;이강이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07-212
    • /
    • 2017
  • 우리나라 민간 소형 비행기 동력장치의 감항기준은 KAS Part 23(소형 비행기)과 Part 33(엔진)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미연방항공청(FAA)의 FAR Part 23 및 Part 33과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CS-23 및 CS-E와 동등한 체계를 갖는다. FAA와 EASA는 소형 비행기의 감항기준을 전면 개정하였다. 설계 방식과 적합성 입증방법을 지정한 규범적 규정에서 안전한 성능을 달성하도록 목표를 지정하는 성능기반형 규정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전환에 따라 동력장치 감항기준 또한 기존의 요건에서 대폭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FAA의 동력장치 인증요건 개정 사항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감항기준 개정 방향을 고찰하였다.

  • PDF

무인항공기시스템의 실험분류 특별감항증명 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Experimental 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ion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 최미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5-62
    • /
    • 2020
  • 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es can be issued if the aircraft does not meet the airworthiness standards, but it is deemed that it can be operated safely by partially limiting the scope of operation and flight performance. Currently, Korea is subject to experimental special certification for UAS(Unmanned Aircraft Systems) exceeding 150 kg of its own weight, but detailed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on how to prove that they can be operated safely in a limited range. Recently, Korea Airworthiness Standard(KAS) Part 21 has been revised to reflect this, but i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is study,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FAA's procedure of expeirmental 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ions for UAS, we would like to suggest what we should consider when developing relevant guidelines in our country.

경량항공기 개발동향 및 인증제도 고찰 (Development Trend of Light Sport Aircraft and Certification Policy)

  • 김용석;신홍철;신대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4-91
    • /
    • 2010
  • New aircraft category such as Light Sport Aircraft is introduced to prevent Ultralight Vehicle accidents and to promote aviation sports. Therefore, a new rule for airworthiness standard, certific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ight sport aircraft is being created.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LSA concept, development trend of LSA, airworthiness standards and certification policy. In particular, an aircraft type analysis of FAA certified LSA is conducted to establish performance requirements of Light Sport Aircraft designs.

국내 항공인증과 미국 인증체계의 비교 (Comparison of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U.S.)

  • 홍덕곤;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8-305
    • /
    • 2008
  • 항공기는 설계에서부터 완성까지 감항당국으로부터 형식증명, 제작증명 및 감항증명으로 구분된 복잡한 인증과정을 거치며, 부속품은 기술표준품형식승인 및 부품제작자증명으로 인증을 받아야 비로소 항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 국산 항공기와 부품의 개발진척에 따라 내수용과 해외 수출 확장을 위해 미국과의 상호항공안전협정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항공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본적인 인증절차를 기술하고 미국과 우리나라의 인증체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국제적인 인증체계 수립을 위한 관련 요구조건을 제시하였다.

항공기 시스템 설계와 안전성평가에 운영경험 반영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erational Experience in the Stage of Aircraft System Design and Safety Assessment)

  • 구민성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39
    • /
    • 2014
  • Airworthiness authorities specify the technical standards of airworthiness that propose minimum requirement of the commercial transport category and apply the rules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aircraft.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nd other national airworthiness authorities define the fatal accident risk level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the aircraft system and establish standard procedures to appl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However, an accident or incident may occur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although the aircraft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trict standards and approval by the Airworthiness Authorities. There are some key factors, such as human error, unpredictable complex system failures, degradation of the components reliability, improper maintenance task and intervals. Risk can be reduced by reflecting aircraft operational experience with similar types of aircraft in the process of aircraft development and safety assessment. Result of the root cause analysis for the Airbus A300-600 incident in which the aircraft engine reverser was deployed in the air have been introduced to reflect the design of system and related components. Also, this paper suggests to create a big-database in order to provide a feed-back to the FAR Part 25 transport category design and safety assessment of the operational experience.

e-VTOL 항공기의 감항기술기준 적용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rworthiness Standard for the e-VTOL)

  • 최주원;황창전;석진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593-599
    • /
    • 2021
  • e-VTOL 항공기는 전기동력으로 인한 운용유지비의 절감, 친환경성, 수직이착륙으로 인한 도심운용, 자동화로 인한 조종의 편리성 등 미래 교통수단으로 향후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나 상용화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안전성 확보와 인증에 있어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상존한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운송사업용 형식증명 및 표준감항증명을 받은 e-VTOL 항공기는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없는 상태이다. 현행 항공기 감항기술기준에서 요구되는 안전도 수준은 상당히 높고 이를 입증하는 과정도 상당히 까다롭다. e-VTOL 항공기 인증도 현행 감항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안전도 수준을 만족해야 하나 현행 기준의 적용성과 동등한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인 한계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와 문제점들을 e-VTOL 항공기의 특징과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