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2020)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초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경험의 비교 (Comparison of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Korea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9-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nsafe sex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3,029 respon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sex i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8. Weighted percentages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AS 9.2. Results: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unsafe s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related variables. Among the covariates, the odds of unsafe s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AOR: 1.34; 95% CI: 1.08~1.66),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AOR: 1.68; 95% CI: 1.17~2.39), those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OR: 1.33; 95% CI: 1.02~1.73), binge drinkers (AOR: 1.61; 95% CI: 1.29~2.02), smokers (AOR: 1.37; 95% CI: 1.06~1.78),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sex education (AOR: 1.59; 95% CI: 1.20~2.11).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also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school sex education on safe sex in teenag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x education for male students, students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binge drinkers, and smokers.

The Impact of Household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Socioeconomic Status on Suicidal Behaviors i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 Kang, Sanggu;Jeong, Yeri;Park, Eun Hye;Hwang, Seung-si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5호
    • /
    • pp.455-463
    • /
    • 2022
  • Objectives: Economic hardship has a serious impact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financial impa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was more severe for low-income families, and this also impacted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economic deterioration (ED)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SES) with adolescents' suicidal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included 54 9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dds ratios (ORs) of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related to ED and SES were calculat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 calculated relative excess risks due to interaction to assess additive interactions. Results: The ORs for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related to combined severe ED and low SES were 3.64 (95% confidence interval [CI], 3.13 to 4.23), 3.88 (95% CI, 3.09 to 4.88), and 4.27 (95% CI, 3.21 to 5.69), respectively. Conclusions: ED and low 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s in adolescents. Although no significant additive interaction was found, the 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were highest among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severe ED. Special attention is needed for this group, considering the increased impact of economic inequali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and mental health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bedtime across regions: using data from the 2020-2022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Sarim Kim;Jiyoung Jeong;Juyeon Kang;Jihye Kim;Yoon Jung Y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269-281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habits and mental health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bedtime, and to provide evidence supporting appropriate bedtime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healthy dietary habits and mental well-being. SUBJECTS/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5,681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2020-2022.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bedtime and wake-up time during the past 7 days and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 study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factors, dietary habits, and mental health of urban and rural students based on their bedtime. RESULTS: Bedtime was found to be later in the following order: urban female students, rural female students, urban male students, and rural male students. As bedtime got later, the rates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Students who went to bed before 11 p.m. had lower academic performance, while rural male students who went to bed after 2 a.m. had lower academic performance. Later bedtim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martphone usage, skipping breakfast, consuming fast food, and drinking carbonated beverages. Later bedtime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er perceived stress levels, particularly among students who went to bed after 2 a.m., higher rates of suicidal ideation, experiencing sadness and despair,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anxiety disord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go to bed too late have higher rates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as well as unhealthy eating habits, stress, suicidal ideation, sadness, and anx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and social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adequate sleep for the health of adolescents.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 및 관련 요인 분석: 제16차-제18차 (2020년-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ts: Using the 16th-18th(2020-2022)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계은슬;김유경;이정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45
    • /
    • 2023
  • 본 연구는 제16차(2020년) - 제18차(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한 2차 분석 연구로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의 연관성 및 인구통계학적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성별, 연령, BMI, 학교급, 거주 형태, 아버지의 국적, 흡연과 음주 경험, 경제 수준, 학업 성적, 주관적 건강 상태, 주관적 체형 상태, 신체 활동, 앉아 있는 시간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식생활 행태를 분석한 결과는 물 섭취 빈도, 단맛 음료 섭취 빈도,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과일 섭취 빈도와 아침 식사 빈도가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에 따른 우울 및 자살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우울감, 자살 생각, 자살계획, 자살 시도 모두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보정한 후에도 범불안장애 수준이 우울 및 자살 경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식생활 행태 및 인구통계학적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건강한 신체 및 정신적 발달을 위해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수준에 따른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 심층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불안의 매개효과. 2020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분석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Fatigue Recovery among Adolescents: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20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지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96-6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중재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16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청소년 54,948명이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는 상관분석, 요인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경유하여 피로회복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매개변인인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피로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또한 불안은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대상으로 피로회복을 향상하기 위해 불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가당 음료 섭취의 관련성: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기반으로 (Associations between and Smartphone Use and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Korea Adolescents: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7))

  • 김은정;김해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78-58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가당 음료 섭취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청소년 건강행위의 위험요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7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54,603명의 청소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 및 가당 음료 섭취와 관련된 변수는 익명으로 관리되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복합표본분석이 사용되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aOR = 2.19, 95%CI = 2.05-2.34)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의 사용 목적(aOR = 1.51, 95%CI = 1.43-1.60)은 주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가족과의 갈등은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고(aOR = 1.42, 95%CI = 1.33-1.51), 친구와의 갈등은 단맛 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으며 (aOR = 1.39, 95%CI = 1.30-1.49), 학업문제 경험은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다(aOR = 1.79, 95%CI = 1.54-2.07). 그러므로 학교와 가정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고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청소년의 가당 음료 섭취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족과 친구와의 긍정적 관계, 학업 스트레스의 적절한 관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부적절한 건강행위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흡연과 건강행위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궐련담배와 전자담배 비교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Smoking and Health Behavior and Status: Comparison between Cigarette and E-cigarette)

  • 박민희;송혜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6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health behavior and the status of cigarette or e-cigarette smoking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as secondary analysis research, used the raw data from the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8.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ao-Scott 𝑥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ifferences in gender, economic levels, and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were observed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e-cigarette smoking adolesc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health behavior and status was examined by comparing cigarette and e-cigarette smok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e-cigarettes was relatively higher in adolescents who have substance experiences. In contrast, cigarette smoking was related to drinking and perceived lack of sleep.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y behavior that is strongly related to the smoking types of adolescent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청소년의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바탕으로-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adolescent - Based on 2020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 이윤영;서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79-286
    • /
    • 2022
  •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 시기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에서 공동으로 실시한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를 이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범불안장애는 신체활동과 부적(-)인 관계가 있고 신체활동 역시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은 유의미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은 범불안장애와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 스포츠활동보다는 팀스포츠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을 높이는 것은 스마트폰사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이 자살시도 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e Attempt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

  • 이승진;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79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개인심리(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인식, BMI), 주관적 학업성적이 청소년 자살시도 유형(계획적 자살시도자와 충동적 자살시도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 15차(2019년) 청소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자 1,731명중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1,575명(91%)으로 충동적 자살시도자 156명(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67.3%)이 남성(32.5%)에 비해 자살시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 보면 중학생(62%)이 고등학생(38%)에 비해 높은 자살시도율을 보였다. 둘째, 자살시도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이었다. 우울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계획적 자살시도를 실행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의 경우 충동적 자살시도자가 계획적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여 1.32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계획적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MI, 주관적 학업성적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가정과수업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잠재적 청소년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현재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15th(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현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138
    • /
    • 2020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current allergic disea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57,303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χ2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hile controlling the affec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eating habits,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Smoking behaviors affecting the current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wer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smoking days, liquid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number of liquid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days, e-cigarett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e-cigarette smoking days, amount of smoking, second-hand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s were lifetime drinking, drinking days, the amount of drinking, and severe drinking. Variables such as physical activity exceeding 60 minutes days, intake of energy and sweet drinks, water intake, habitual drug use and mental health behavior such as stress perception, weekday sleep time, subjective sleep satisfacti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plan/ attempts affect current allergic diseases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rrent allergic disease relate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may be helpful to facilitate a health promotion plan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ch diseases and to promote evidence-based health practices at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