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immigrant adolescen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Difference in Immigrant Adolescents' Experience of Life in Korea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and those with immigrant backgrounds -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99-107
    • /
    • 2015
  •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difference in experience of life in Korea among adolescents whose immigrant backgrounds were different (Korean-bor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 using the data of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 children aged between 9 and 2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experienced 'difficulty in using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chool dropout,' and 'school violence' more frequently than Korean-born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with regard to social discrimination (friends, teachers, relatives, neighbors, and unknown people),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experienced 'discrimination by teachers,' 'discrimination by relatives,' 'discrimination by neighbors,' and 'discrimination by unknown people' more frequently than Korean-born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analyz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and specific strategies for adjustment to life in Korea b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Immigrant Women for Marriage)

  • 유현희;이창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1-23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도의 여성결혼이민자 58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이들의 우울에 정적인 효과를 보인 반면 희망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과 부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희망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 증진을 통하여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동남아출신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 출신국 문화에 대한 청소년기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ilingual Socialization of Mothers from Southeast Asia and Korean Fathers on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 허청아;그레이스 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2호
    • /
    • pp.103-117
    • /
    • 2015
  • Family environ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dolescent development.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are brought up in a distinctive family environment, where they get to experience two different cultures within their families.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environ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actions between family members influence adolescent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utheast Asian mothers' and Korean fa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and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Does bilingual socialization of each parent affect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2) Does children'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affect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urvey data from the '2012 Nationwide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analysed, using SEM. The sample consisted of 318 multicultural adolescents (aged 9-17) living with Korean fathers and immigrant mothers from Southeast Asia.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fa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migrant mo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The path from Korean fa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to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immigrant mo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Second, adolescents' attitude toward mothers' native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suggest that Korean fathers' bilingual socializ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bilingual socializ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each parent's bilingual socialization helps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form a positive identity as a me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The Factors Affecting Vocational Identity : Comparing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and Non-Immigrant Adolescents(Korean parents family))

  • 유비;김기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5-29
    • /
    • 2015
  •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진로발달은 한국 사회적응과 사회적 배제의 완화를 직 간접적으로 돕는 요인이며 진로정체감은 진로발달을 고취시키는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진로정체감발달과 연관된 요인으로써 차별, 우울, 자존감의 관계를 한국인 부모를 둔 비 빈곤 청소년 및 빈곤 청소년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변수들의 평균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비 빈곤 청소년들에 비해 우울이 높고 자존감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경로분석과 다중집단 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차별경험은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영향력 역시 나타냈다. 그러나 비 빈곤 청소년과 빈곤 청소년들의 경우는 차별이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효과만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청소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on Support from Spouse and from Family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dolescent Children)

  • 조혜경;임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89-4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 양육 프로그램 및 중재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154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는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일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가 양육태도인 비 과잉-과잉에 음의 상관관계(r=.046, F= 3.629 p<.05)가 있었다.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는 양육 스트레스에 음의 상관관계(r=.105, F= 8.903 p<.01)가 있었다.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중 배우자 지지만이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227, F= 7.114 p<.01)가 있었다. 배우자 지지와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배우자 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주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기회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의 이주민에 대한 편견: 부모의 영향 및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 (Adolescen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The Role of Parents and the Effect of Adolescent Prejudice on Self-Identity and Coping Styles)

  • 임지영;그레이스 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1-11
    • /
    • 2012
  • As the immigrant population is rapidly growing in South Korea, it is important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adolescents to foster unprejudiced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This paper thus seeks to shed light on adolescen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by address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Does a mother'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nd parenting style influence their adolescent children'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2) Does an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influence his/her self-identity? (3) Does an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influence his/her coping styles? The sample consisted of 288 pair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 mother'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significantly predicted her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fter tak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to account, whereas her parenting style did not. In addition, having a low level of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mong adolescents predicted high levels of self-identity (e.g. independence, proprioceptive, and mission orientation), and a greater use of positive coping skills (e.g. support-seeking and problem-solving). Overall,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ir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Results also provided evidence tha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may interfere with the healthy development of self-identity and coping style during adolesc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dolescents can be more effective, when it is provided in partnership with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is designed to raise parental multicultural awareness.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eds of Women Immigrants on Life-Long Education)

  • 김소정;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84-1090
    • /
    • 2012
  • 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12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평생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순위 결정은 Borich 결정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첫째, 취업교육, 둘째, 자녀교육, 셋째, 임신 출산 건강생활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사춘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부모교육 요구도에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Efficacy on Educational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dolescent Children)

  • 임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02-2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요구도에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130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은 부모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태도와 양육 효능감은 양의 상관관계(r=.248, p<.01)가 있었다. 양육태도에서 수용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192, p<.05)가 있었고 과잉기대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성지도 교육요구도가 높아지고, 수용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사회성지도와 부모자신의 성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요구도는 학습과 진로지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교육에 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자녀 교육에 효과적인 수용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기회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School Violence, Depressive Symptoms, and Help-seeking Behavior: A Gender-stratified Analysis of Biethnic Adolescents in South Korea

  • Kim, Ji-Hwan;Kim, Ja Young;Kim, Seung-Sup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1호
    • /
    • pp.61-68
    • /
    • 2016
  • Objectives: In South Korea (hereafter Korea), the number of adolescent offspring of immigrant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mainly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This research sought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mental health outcomes, and the role of help-seeking behaviors in the association, among biethnic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of 3627 biethnic adolescents in Korea from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victim's help-seeking behavior,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eeking help' group; 'feeling nothing' group; 'not seeking help' group.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depressive symptoms for males and females separately. Results: In the gender-stratified analysis, school violence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the 'not seeking help' (odds ratio [OR], 7.05; 95% confidence interval [CI], 3.76 to 13.23) and the 'seeking help' group (OR, 2.77; 95% CI, 1.73 to 4.44) among male adolescent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including the nationality of the immigrant parent and Korean language fluency. Similar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the female groups. However, in the 'feeling nothing' group, the association was only significant for males (OR, 8.34; 95% CI, 2.82 to 24.69), but not females (OR, 0.77; 95% CI, 0.18 to 3.28).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that the role of victims' help-seeking behaviors in the association may differ by gender among biethnic adolescents in Korea.

여성결혼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A Study on the Attitudes of Women Immigrants toward the Elderly)

  • 박지영;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0-5577
    • /
    • 2011
  • 이 연구는 59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한국 가족 및 모국 가족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0년에 진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Sanders 등의 노인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평균비교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결혼 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지, 배우자의 교육수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 및 모국 가족과의 연락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설명력은 한국 가족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예측변인은 연령, 거주지, 가정 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가정소득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