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Data Citation Index를 기반으로 한 연구데이터 인용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Research Data Citation Based on DCI (Data Citation Index))

  • 조재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89-207
    • /
    • 2016
  • 연구데이터의 개방과 공유는 연구의 효율성과 연구 과정의 투명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데이터 통합과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과학으로의 창출도 가능하다. 서구를 중심으로 연구데이터 공개와 재사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개발되면서 표준적인 인용 체계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인용색인 DCI(Data Citation Index)를 기반으로 연구데이터의 구축 규모와 인용 정도를 파악하고, 기술통계분석과 Kruskal-Wallis H 분석을 통해서 고인용 데이터의 특성과 인용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알트매트릭스(Altmetrics) 분석 도구인 Impactstory를 통하여 연구데이터의 사회적 영향력도 진단해 보았다. 그 결과 연구데이터의 규모는 유전학과 생명공학 분야가 압도적으로 크지만, 다수 인용된 분야는 인구, 고용 등 경제 사회과학분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UK Data Archive, ICPSR(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에 구축된 연구데이터가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데이터세트보다는 조사방법과 연구방법론이 포함된 데이터스터디가 높은 피인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데이터의 알트매트릭스 분석 결과에서도 사회과학분야의 데이터스터디가 상대적으로 많이 참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w Can We Preserve Social Memories?: Exploration of Global Open Archives

  • Gang, Ju-Yeon;Kim, Geon;Oh, Hyo-Ju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40-51
    • /
    • 2019
  • Until now, records re-enacting social memories have not been main target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However, people have recently begun to focus on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memories because these personalized records have started to be recognized a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o preserve social memories by comparing various global open archives. For achieving our research goal, we first established the definition of social memories and records and revealed their characteristics. After then, we selected representative open archives' websites to examine their collection polices and compare them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As a result, we distilled insights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archive and discussed considerations in preserving social memories consisting of three phases: analyzing target social memories, establishing collection policies, and collecting actual record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mories and records and also suggests preliminary findings for advanced research to develop practical tools for social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Prospects and Problems of the Recent Developments in Social Survey in Korea: Mixed-Mode Surveys and Volunteer Web Panels

  • Han, Shin-Kap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47-150
    • /
    • 2014
  • Mixed-mode (or multi-mode) surveys and (volunteer) web panels were recently introduced as ways to cope with changes in the social survey environment, which is going through a rapid and massive transformation. The direction, speed, and magnitude of these changes have been clear in Korea, too. Enumerated in Figure 1 are the social surveys between 1960 and 2010 archived by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2. The left panel shows the exponential growth in the overall volume. The other two panels, more importantly, show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Mixed-mode and online surveys are rapidly increasing their shares and are fast becoming de facto standards in Korea, as in many other countries.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데이터요구와 데이터 재이용 행위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Data Needs and Data Reuse Behavio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 김나연;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26
    • /
    • 2020
  • 오늘날 점차 데이터 집약적으로 변모하는 학문 환경 속에서 데이터는 연구부산물이 아닌 연구성과물로써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공급의 확대나 접근가능성의 확보만으로는 실제적인 데이터 재이용을 담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의 주요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의 최근 3개년 데이터 재이용문헌 중 KCI 등재 논문의 저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인터뷰를 수락한 연구자 12명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면담 분석결과, 데이터를 재이용하는 요인은 개인적,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데이터 재이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그 자체를 이용하거나 데이터가 지닌 맥락정보를 활용하였다. 웹 기반의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주로 습득하였으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파악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데이터 재이용 시에 발생하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요구를 살펴보면 생산 단위는 기관을, 언어는 영어를, 국가로는 미국을 선호하였다. 또한 조사원 기입식 대인면접 조사 방식으로 수집된 양적 데이터를 우선시하였다. 메타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충분히 포함한 원자료 수준의 데이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접근 및 이용이 통제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지닌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려워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데이터의 규모나 최신성과 관련된 선호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선택 가능한 유사 데이터가 부재하였기 때문이었다.

융합시대 공학교양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for the Reform of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in an Era of Convergence)

  • 한경희;고동현;최문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25
    • /
    • 2016
  • This study deals with how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could be positioned properly in an era of convergence. Disciplines of Engineering has long been focusing on engineer as a 'technical profession' and the liberal education as an accessory to major study has been left behind. Under this understanding, the topic of 'convergence' in the 21th century engineering is hardly to find its way to the establishment into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reform of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aligned with major education and liberal one. For the reform, introducing and developing contents and methodologies considering convergence would open the door of engineering education to interdisciplinary study and to 'open-profession'. Next, the problem solving model in education will be very effective for learners to define the problem, to utilize various knowledges and to lead to meaningful solution. Lastly, we emphasize the changing context of liberal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echnology literacy' into lib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major study.

비접촉 데이터 사회와 아카이브 재영토화 (Contactless Data Society and Reterritorialization of the Archive )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5-32
    • /
    • 2024
  • 한국 정부가 UN의 2022년 전자정부 발전 지수에서 UN가입 193개국 중 3위에 랭크됐다. 그동안 꾸준히 상위국으로 평가된 한국은 분명 세계 전자정부의 선도국이라 할 수 있다. 전자정부의 윤활유는 데이터다. 데이터는 그 자체로 정보가 아니고 기록도 아니지만 정보와 기록의 원천이며 지식의 자원이다. 전자적 시스템을 통한 행정 행위가 보편화된 이후 당연히 데이터에 기반한 기록의 생산과 기술이 확대되고 진화하고 있다. 기술은 가치중립적인 듯 보이지만 사실 그 자체로 특정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더구나 비물질적 유통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세계, 온라인 네트워크의 또 다른 아이러니는 반드시 물리적 도구를 통해서만 접속하고 접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디지털 정보는 논리적 대상이지만 반드시 어떤 유형이든 그것을 중계할 장치 없이는 디지털 자원을 읽어 내거나 활용할 수 없다. 초연결, 초지능을 무기로 하는 새로운 기술의 디지털 질서는 전통적인 권력 구조에 깊은 영향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정보 및 지식 전달 매개체에도 마찬가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구나 데이터에 기반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비롯해 새로운 기술과 매개가 단연 화두다. 디지털 기술의 전방위적 성장과 확산이 인간 역능의 증강과 사유의 외주화 상황까지 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딥 페이크를 비롯한 가짜 이미지, 오토 프로파일링, 사실처럼 생성해 내는 AI 거짓말(hallucination), 기계 학습데이터의 저작권 침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더구나 급진적 연결 능력은 방대한 데이터의 즉각적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인지 없이 행위를 발생시키는 기술적 무의식에 의존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지금의 기술 사회의 기계는 단순 보조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며 기계의 인간 사회 진입은 고도의 기술 발전에 따른 자연적인 변화 양상이라고 하기에는 간단하지 않은 지점이 존재한다. 시간이 지나며 기계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기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결과로서의 기록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방식의 변화가 의미하는 사회문화적 함의에 있다. 아카이브 영역에서도 초지능, 초연결사회를 향한 기술의 변화로 인해 데이터 기반 아카이브 사회는 어떤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인지, 그리고 그 속에서 누가 어떻게 기록과 데이터의 지속적 활동성을 입증하고 매체 변화의 주요 동인이 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가 행위의 결과인 기록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할 필요성에서 시작했다. 이를 통해 전통적 경계를 확장하고 데이터 중심 사회에서 어떻게 재영토화를 이룰 수 있을지를 알아보았다.

지역의 경제수준에 따른 의료자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 (Socioeconomic Equity in Regional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 전보영;최수민;김창엽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08
    • /
    • 2012
  • One of the ways to achieve the principle of equal access for equal needs, availability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of health care resources regardless of resident sites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socioeconomic inequities in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among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Korea). Data were extracted from regional statistic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and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at the same period of 2009.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health workforce and health care facilities in each region. The proxy indicator of regional socioeconomic status was local tax per person. To identify whether inequalities among regions,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 index(CI) and indirectly standardized CI by controlling each region's demographics and need factors. Total observations were 232 districts in nationwide, and we analyzed separately Seoul(25 districts) and non-Seoul areas(207 districts). The standardized CI values of health care resources were positive(favoring the rich region) across the nation in almost all kinds of resources. Especially the number of specialist, dentist, dental clinics, clinics, oriental medical clinics, pharmacists, and pharmac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avoring the rich region. But the CI for the number of long-term care hospitals, public health centers were negative(favoring the poor region). The tendency of CI presenting positive values were increased in Seoul area. But in the case of non-Seoul, the CI indexes were nearly zero. The results suggest that except the Seoul area, little regional socioeconomic-related inequalities were observed in the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Labor Supply)

  • 권현정;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79-2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의 노동공급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식적 돌봄 서비스가 부양가구원들의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한다면, 이는 부양가구원들의 시간제약을 변화시켜 노동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동공급효과는 각국의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서구국가들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혼재된 결과를 보인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무엇보다 방법론상 내생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사실험설계인 PSM(Propensity Score Matching)과 DD(Double Difference) 결합모형을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였다. 한국복지패널 3차, 9차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이중차이분석에서는 노동시간과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는 이중차이 고정효과모형분석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서구의 경험적 연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의 공적 돌봄서비스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하지 못하고 일부만을 보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그동안 제기되어온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급여불충분성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제도적 배열이 대상자 및 부양가족의 욕구에 맞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