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ve Chicke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새우젓의 육류단백질 분해 특성 (Proteolytic Properties of Saewoo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on Meat Proteins)

  • 오세욱;김영명;남은정;조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91-1195
    • /
    • 1997
  • 새우젓의 육류단백질 분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기투석기를 이용하여 탈염하여 조효소액을 조제하였다. 새우젓의 염도는 전기투석 후 2% 이하로 낮아졌으며 투석 시간이 경과할수록 조효소액의 protease activity는 증가하였다. 새우젓 조효소액에 우육, 돈육, 계육 등의 육류 전근육단백질을 기질로 하여 $37^{\circ}C$에서 반응시켜 SDS-PAGE로 근원섬유 단백질의 분해양상을 측정하였다. 새우젓 조효소액은 매우 강력하게 육류단백질을 분해하였으며 가열 처리 및 비가열처리 기질 모두 원활히 분해하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육류 단백질 분해는 특히 가열 처리한 육류에서 더 크게 나타나 5분 이내에 거의 모든 근육 단백질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났다. 가열변성된 기질을 사용하여 조효소액의 분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계육의 분해가 가장 원활히 일어났으며 그 다음이 돈육, 우육의 순이었다.

  • PDF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시험, immunoblot, 식품알레르기 생쥐모델에 의한 난백 처리물의 알레르기성 평가 (Allergenicity of Treated Chicken Egg Whites as Determined by 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Test, Immunoblot Analysis, and a Mouse Model of Food Allergy)

  • 김현정;류주현;이수영;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8-573
    • /
    • 2008
  • 난백의 알레르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난백의 알레르기성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test, immunoblot, 생쥐모델에 의한 알레르기 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PCA test결과 열처리($121^{\circ}C$, 30 min)한 난백은 처리하지 않은 난백에 비하여 그 항원성이 1/8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NaOH처리군은 0.3%와 1%에서 각각 1/4, 1/8로 항원성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NaOH처리 후 열처리(70oC, 15 min)를 추가적으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NaOH 0.3%(w/v)에서는 1/8 정도로, NaOH 1%(w/v)에서는 1/32 정도로 강력하게 항원성이 감소되었다.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한 결과 121oC로 열처리한 시료에서 난백의 주요 단백질 band가 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NaOH와 열로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에도 NaOH 0.1%(w/v) 이상에서 band들이 대부분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모델에 의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난백으로 유도한 전신알레르기 증상의 평균점수는 1.85이었으나 복합처리한 난백의 경우 그 점수가 0.20로 현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3종의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난백의 알레르기성 저감화 방법은 복합처리(NaOH(1%, w/v) 및 열($70^{\circ}C$, 15min))임이 확인되었다.

닭의 iNOS와 TLR-4 유전자 내 변이와 경제 형질 간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of SNPs from iNOS and TLR-4 Genes with Economic Trait in Chicken)

  • 임희경;한정민;오재돈;이학교;전광주;이준헌;서동원;;송기덕;최강덕;공홍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3-89
    • /
    • 2013
  •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TLR-4(toll-like receptor 4) 유전자는 모든 생물의 면역반응에 필요한 필수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iNOS는 닭에서 19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NO를 면역기관에서 생산되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TLR-4는 TLRs(toll-like receptors)중 하나로 알려져 있고, 그람 음성균의 LPS을 인식하여 초기 면역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유전적 변이는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었을 때 맹장의 장내 균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iNOS의 intron 24 영역 내 C14513T와 TLR-4의 exon 3 영역 내 G4409T 변이 지역을 대상으로 3품종(한국 재래닭, 코니쉬, 로드아일랜드 레드)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확인하고, 경제 형질 간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iNOS의 변이 지역(C14513T)은 한국 재래닭과 로드아일랜드 레드종에서 270일령 몸무게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TLR-4의 변이 지역(G4409T)은 경제 형질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면역 및 경제 형질 관련 표지인자 발굴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분자 육종을 위한 유전표지인자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열, 및 NaOH 처리에 의한 계란 난백의 항원성 변화 (Changes in the Antigenicity of Chicken Egg White by the Treatments of Protease,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Heat, and NaOH)

  • 류주현;이종미;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20-725
    • /
    • 2000
  • 여러 가지 처리가 난백의 항원성을 감소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끼 항난백항체로 난백 처리물들의 간접 경합 ELISA(ciELISA)를 실시하였다. 식물성, 동물성, 미생물성의 9가지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처리는 난백의 항원성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보다 효율적인 효소 가수분해를 위해 방사선 조사 후, 효소처리를 실시했는데, 이것 역시 항원성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처리는 난백의 항원성을 거의 제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는 $121^{\circ}C$ 고온처리의 경우에서만 반응성이 1/10,000이하로 감소하여 항원성이 거의 사라졌다. NaOH 단독 처리는 0.3%(w/v) 이상의 농도에서 반응성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1%(w/v) 이상에서는 반응성이 1/10,000이하로 감소하였다. NaOH 처리에 $70^{\circ}C$, 15분간의 열처리를 더해 주면, NaOH 단독 처리시보다 효과적으로 항원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죽초액의 첨가가 재래닭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 국길;이종봉;고홍범;김광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77-79
    • /
    • 200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oo Vinegar Liquid(BVL)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KNC) for 8 weeks. One hundreds KNC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placed in pens. Dietary levels of food waste 0%, 1%, 2% and 4% were included in experimental diets.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weight of KNC fed BVL supplement die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from the control group. The lipid content, cholesterol content and TBA in breast meat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y addition of BVL. However, the addition of BVL did not affect the meat color. The 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decreased(P<0.05),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 was increased(P<0.05) by addition of BVL 1% and 2%. Taste of sensory evaluation was improved by addition BV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l BVL 1% and 2% ma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NC. The prevention effect of KNC which challenged with Salmonella gallinarum (1${\times}$10$\^$9/ CFU/ml) was evaluated. A reisolation of S.gallinarum in liver, pathological index of villus and colon were evaluated. There was no reisolation of S.gallinarum in liver and a few pathological index of colon in 4% BVL supplement fed KNC than 1 and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l BVL 4% may improve the prevention effect to salmonellosis in chickens.

  • PDF

Association among Egg Productivity, Granulosa Layer IGF-I, and Ovarian IGF-I in Korean Native Ogol Chicken

  • Kang, W.J.;Seo, D.S.;Ko,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325-330
    • /
    • 2003
  • There exists considerable evidence that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ovulation rate and follicle development. IGF-I is believed to modulate the effects of gonadotropins on follicular growth and cell differentiation via paracrine and autocrine mechanism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late the expression of IGF-I on ovaries and follicles with egg productivity at 60 wk. The egg productivity of 70 KNOC was recorded from 20 to 60 wk. Blood was taken every 10 wk and ovaries and follicles were taken at 60 wk. Serum IGF-I and IGF-I of ovaries and follicle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Based on egg production levels up to 60 wk and ovarian IGF-I expression at 60 wk, respectively. Chick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 Egg production and serum IGF-I in the high IGF-I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low group. Moreover, the IGF-I expression of follicles in the high ovarian IGF-I expression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low group. These finding are consistent with the report that IGF-I indirectly regulates ovulation in chickens, suggesting that this regul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ed egg productivity.

한국재래닭의 경제 형질에 대한 육종가 추정 (Estimation of Breeding Values for Economic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상병돈;최철환;김학규;김시동;장병귀;나재천;유동조;이상진;상병찬;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1-237
    • /
    • 2005
  • 본 연구는 축산연구소에서 1995년부터 2001년까지 7세대에 걸쳐 능력 검정된 11,583수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재래 닭에 대한 경제형질의 육종가를 추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육종가의 추정치는 적갈색, 황갈색, 회갈색, 흑색 및 백색계통의 150일령 체중에서 각각 $-16.563\~-0.474,\;-14.714\~9.272,\;-25.186\~12.953,\;-15.549\~6.329$$-10.708\~20.284g$이었고, 270일령 체중에서 각각 $-18.836\~21.700,\;-23.025\~11.297,\;-28.368\~18.156,\;-18.264\~14.963$$-25.112\~10.132g$이었다. 산란능력의 육종가 추정치는 적갈색, 황갈색, 회갈색, 흑색 및 백색 계통의 시산일령에서 각각 $-1.236\~0.047,\;-1.509\~0.298, \;-1.362\~0.114,\;-1.435\~0.199$$-1.385\~0.718$ 일 이었고, 시산난중은 각각 $-0.105\~0.075,\;0.109\~0.042,\;-0.166\~0.084,\;-0.l19\~0.066$$-0.l12\~0.0279$ 이었고, 270일령 난중은 각각 $-0.120\~0.398,\; -0.205\~0.173,\;-0.256\~0.091,\;-0.051\~0.132$$-0.070\~0.101g$ 이었으며, 270일령 산란수는 각각 $0.298\~1.807,\;-0.049\~l.146,\;-0.396\~l.125,\;-1.205\~1.173$$-0.474\~2.641$개 이었다.

한국 재래닭의 유전적 개량량의 추정

  • 최철환;상병돈;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이상진;유동조;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5-126
    • /
    • 2003
  • 축산기술연구소에서 1995부터 7세대 동안의 재래닭 5계통 11,583수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한 결과 150일령 및 270일령 체중은 각각 -5.292 ∼ 3.682 및 -6.184 ∼ 4.591 g 범위였으며, 시산일령은 -0.399 ∼ -0.102일, 시산난중 및 270일령 난중은 각각 -0.026 ∼ -0.016 및 -0.039 ∼ 0.068 g, 270일령 산란수는 0.222 ∼ 0.587개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재래닭의 경제형질에 미치는 계통의 효과

  • 상병돈;최철환;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이상진;유동조;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5-116
    • /
    • 2003
  • 재래닭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계통의 효과는 모든 형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계통별 최소자승 평균치는 150일령 및 270일령 체중에서 흑색계통이 각각 1,594.38 및 1,911.57 g으로 가장 무거웠고, 시산일령은 백색계통이 146.88일로 가장 빨랐으며, 시산난중 및 270일령 난중은 적갈색계통이 각각 33.20 및 50.74 g으로 가장 무거웠고, 산란수는 황갈색 계통이 79.50개로 가장 많았다.

  • PDF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한 한국 재래닭의 주요 경제형질의 유전력

  • 최철환;상병돈;김학규;나재천;장병귀;김시동;유동조;이상진;상병찬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7-128
    • /
    • 2003
  • 재래닭 5계통의 체중에 대한 유전력 추정치는 150일령에서 0.25∼0.61, 270일령에서 0.32∼0.59의 범위로 대체로 높은 추정치였으며, 150일령보다는 270일령 체중에서 계통별로 비교적 높은 유전력을 보였다. 산란능력에 대한 유전력 추정치는 시산일령에서 0.15∼0.31, 시산난중에서 0.06∼0.09, 270일령 난중에서 0.24∼0.41, 산란수에서는 0.09∼0.26의 범위로서 시산난중에서 매우 낮은 추정치를 보인 반면 시산일령과 산란수에서는 저도 및 중도의 유전력 추정치였으며, 270일령 난중에서는 중도의 유전력 추정치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