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 운송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Productivity in Korean Transportation Industry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소애림;신승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76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운송산업의 주체인 운송업 종사자의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해 다룬다. 본 연구는 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해 운송업의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을 선정하고 패널 로지스틱 회귀 모형(Panel Logistic Regression), Panel OLS 모형, Panel Robust regression 모형을 활용하여 요인 간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 여부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노조가입' 할수록, '직업훈련 경험'이 있을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은 '학력'이 높고 '노조가입' 할수록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회사규모'가 크고 '기혼'일 경우 고용안정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득생산성의 경우 '나이', '학력', '회사규모'의 값이 클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업훈련 이외의 교육', '건강상태'의 값이 클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무만족도의 경우는 '여성'일수록, '노조가입' 할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고용안정성'이 높을수록 높았고, '보통사람대비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전반적 생활만족도'와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운송산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의 분석과 향상 방안 모색을 통해 운송업 고용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 Analysis of Response Pattern and Panel Attrition in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Nam, Ki-Seong;Chun, Young-Mi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33-945
    • /
    • 2012
  • In this paper we used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tudy) data that surveyed from 2006(wave 9) to 2009(wave 12). Other previous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panel attrition in the early wave, but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ponse pattern and investigates some factors that influence panel attrition when the panel tends to stabilize. It was revealed that panel attrition was influenced by relocation and housing type through the logit model. Besides it was appeared that panel attrition was affected by the monthly living expenses and the overall household income through the decision tree.

코로나19 이후 음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2018-2020) (Factors of Drinking Frequency and Amount after COVID-19 Pandemic: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2018-2020))

  • 김미년;이원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6호
    • /
    • pp.503-513
    • /
    • 202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nalyze and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ed factors in order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drinking level after COVID-19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2018-2020).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male group, 10s and 20s, unemployed status, and groups whose personal income fell before COVID-19 have a high risk of increased drinking levels. n particular, in the group where the frequency of drinking before COVID-19 decreased, the risk of increasing the level of drinking after COVID-19 was found to be high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is group of subjects. Based on this, various studies on drinking factors are needed through long-term monitoring studies on drinking levels after COVID-19.

패널자료에 의한 외국인 근로자의 소득증대 효과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On the Effects of Foreign-born Labor on Increasing in National Income Implemented by Panel Data Analysis: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 이현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66-375
    • /
    • 2016
  • 본 연구는 34개 OECD 국가 중에서 자료의 가용성에 따라 24개국을 대상으로 모의변수를 설정한 고정효과모형에 의한 패널분석을 수행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소득증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패널자료를 활용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총고용률, 자국인 고용률 및 외국인 고용률이 소득지표인 국내총생산과 일인당 국민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고용률이 내국인 고용률에 비해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고용률이 자국인 고용률을 대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노동이 국가의 소득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향력이 크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으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하향 조정되거나 노동시장이 분절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즉, 노동정책 당국은 외국인 근로자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시장을 개방해야 할 것이다.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기관 이용과 기관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 (Use of Early Childhood Care Centers a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Choosing an Institute)

  • 김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65-7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essential inform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Us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Vol.5., this study analyzed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decide the use and type of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it is not easy for young children under three years old to use education and care institutes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home care. Second, the mother's job status affects the child's use of 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institutes for education except for the using of early child education centers. Third, the affecting main factors for the use of child care centers are quite similar to critical factors for use of the private institute for education. Thus, young children using the private institute for education could be interpreted as coming from a low-income class compared with the children using the early child education centers.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과 추세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ies in Korea and Their Trend)

  • 김봉근;석재은;현은주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25-41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최근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세대 간 임금 소득이동성을 추정하였다. 선행연구의 짧은 패널 기간과 적은 표본 수의 문제 등을 보완하였다. 세대 간 장기임금소득탄력성은 0.3 근방으로 추정되어 문헌에서 보고된 다른 나라들의 추정치들에 비해 낮아 소득이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6년 이후 자료로 추정한 세대 간 소득이동성들의 추세가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선행연구에 비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의 글로벌 경제위기로 소득이동성이 저하되는 추세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우리나라의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Intra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Korea)

  • 윤정열;홍기석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2호
    • /
    • pp.43-77
    • /
    • 2012
  • 본 연구는 개인 근로소득의 결정요인을 초기 조건(학력, 성별, 연령 등)과 후기 조건(기타 요인)으로 구분하여 두 요인이 어떻게 소득분배 및 소득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 결과에 의하면 첫째, 표본 전체의 소득분배는 1998~2008년 기간 동안 대체로 악화되었으나, 각 연령 집단 내에서는 소득분배가 특별한 추세를 나타내지 않는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초기 조건과 후기 조건의 상대적 중요성으로 소득이동성을 정의하는데, 대부분의 연령 집단에서 초기 조건에 의한 소득격차가 감소함에 따라 소득이동성은 조금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 (Estimating Labor Supply Elasticity in Korea)

  • 문외솔;송승주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2호
    • /
    • pp.35-51
    • /
    • 2016
  • 2000~2008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미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는 0.23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기간 중의 주5일 근무제 확대나 개별 가구의 소득 및 자산을 포함할 경우에도 추정치는 강건성을 보인다. 근로자들의 노동시장 참여 여부를 포함한 거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는 미시 노동공급 탄력성 추정치보다는 큰 값을 갖지만, 통상적인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

가계의 재무구조가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별 접근연구 - (The Effect of Household Financial System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 Focused on Income Classification -)

  • 이승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1-169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factor for househol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financi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income level is classified by comparative poverty and analyzed the influence power The data for this study was "the Korean Labor Panel"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0. The result showed the demographic factors by the income level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have big difference. Also, income level affect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lower income level, demographic factors affect more than financial factors. This result explain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s luxurious goods. For middle income level, financial factors affect more than demographic factors. This explain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s choice goods. For upper income level,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as explained as investment goods.

군 복무 여부가 임금결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ilitary Service on Wages in Korea)

  • 엄동욱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4호
    • /
    • pp.805-817
    • /
    • 2009
  • 최근 군가산점제도의 부활에 관련되어 군 복무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배경에서는 우리나라 남성들이 군 복무를 통해 금전적, 비금전적 손실을 입는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그러나 군 복무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제10회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남성 임금근로자 자료를 활용하여 군 복무가 임금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일반적인 민서형( Mincerian) 임금함수 추정을 통해 군복무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적인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군 복무가 노동시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