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31초

New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to Develop Professionality of Science Teachers

  • Han, Jae-young;Sim, Jae-Ho;Ryu, Sung-Chul;Ihm, Hyuk;Choi, Jung-Hoon;Shin, Young-Joon;Son, Jeong-Woo;Hong, Jun-Euy;Hwang, Book-K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68-778
    • /
    • 2008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is the teacher. Therefore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the professionality is important as well as the selection of new excellence teachers. Our research i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where in-service teachers become the lecturers in the program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bound to the context of real lessons. This program is consisted of following 10 steps of work, which was implemented in 5 months: sharing the philosophy of the program, selecting science experiments, first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s, discussion on the first application, learning how to edit the movie clips of the lesson, second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s, in depth discussion on the second application, developing the experiment package, giving lecture to other science teachers, and evaluating the program. We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detail to suggest a mode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and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program is characterized by the emphasis of the context closely linked to the real lessons, the problem solving in a real situation, and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professo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in a teacher education.

초등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act of Cyber Home Learning on Elementary Grade)

  • 신수범;신성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1-98
    • /
    • 2012
  •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요인들을 선별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성을 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로 가정했고 이 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수업의 가치성, 사이트 사용성 그리고 주관적 규범 등으로 간추렸다. 우리는 이 요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설문을 배포, 수합하여 확인요인분석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설문을 수정하고 수정된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재투입을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이 모두 수용되었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는 본 연구의 제한사항과 연구 제언이 포함되어 있다.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과 이해도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ftware Education)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1-89
    • /
    • 2018
  • SW교육의 성패는 교사들의 역량과 이해에 의존하기에 다수의 교육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SW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과 SW교육 교육과정 및 교육효과에 대한 이해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C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94명의 3~4학년 학생들이었다.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과 관련해서, 다수가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 유용성, 지속적 학습 의지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나, 프로그래밍 경험에 만족하지 못하며, 프로그래밍을 어렵게 여기고, 자신의 프로그래밍 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W교육 관련 교육과정 이해'에 대해서는 다수가 SW교육의 필요를 인정하고, 배정된 시간이 불충분하다고 이해하였으며, SW교육을 실과 교과에서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적인 이해가 고루 나뉜 편이었다. 이와 비교할 때, SW교육의 개념 및 특성 그리고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들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SW교육의 효과 이해'와 관련해서는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을 포함한 6가지 효과 모두에 대해서 다수가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서 심화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 SW교육 관련 교육과정 이해 그리고 SW교육 효과 이해와 관련한 다수의 항목들에 대해서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SW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외국학술지지원센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운영 담당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ians in charge)

  • 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3-305
    • /
    • 2018
  • 대학도서관의 예산은 감소하는데 반해 해외 출판사의 인쇄학술지 및 전자저널 구독비용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와 KERIS는 해외 학술자료에 대한 접근성 확보차원에서 해외 인쇄학술지 분담수서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외국학술지지원센터 사업을 200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년 동안의 FRIC 서비스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FRIC 담당자 10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FRIC의 역할 및 가치, 운영상의 이해관계자별 주요 이슈, 서비스 개선방안 및 신규 서비스 요소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FRIC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어 학술정보의 공동이용과 학술연구 진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FRIC 운영에 있어 5가지 유형의 이해관계자 즉, 교육부 및 KERIS, 대학본부 및 도서관, 이용자, 타 기관 FRIC, 출판사 및 구독 대행사 등은 각기 다른 다양한 이슈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슈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도, 시스템, 운영 및 서비스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ork Application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er Posi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 강려은;양성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169-196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IT(inform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품질의 IT관련 교육서비스 제공의 필요성 및 중요성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교육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다양한 맥락에서 활발히 진행된 바 있으나, IT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RVPERF 모형 및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세부 IT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 나아가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학습자 직위(실무자 집단/관리자 집단) 및 참여동기(자발적 참여집단/비자발적 참여집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추가분석도 실시하였다. 서울 소재 'M'교육기관 203명의 IT교육 참가자 대상 설문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 가운데 유형성, 신뢰성 및 확신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교육만족도는 현업적용의도와 추천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ERVPERF 모형을 활용하여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영향력을 실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IT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의 교육만족도 제고 및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 교사 대상 인공지능 융합 교양교과목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 of Novel Engineer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 김지윤;김귀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07-51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공의 초 중등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융합 교양교과목 운영을 위한 방법론으로 노벨 엔지니어링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교육적 효과성을 창의융합역량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비전공자인 학습자의 특성 고려', '전공과의 융합 유도'라는 내용 구성의 방향을 도출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노벨 엔지니어링과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45차시 분량의 노벨 엔지니어링 활용 인공지능 융합교육 교양교과목의 내용을 구성하고 예비 교사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한 결과,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과 함께 높은 만족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예비 교사 교육방법으로 노벨 엔지니어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속 연구로는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지속적 연구, 예비 교사 대상의 인공지능 교양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측정이 제안되었다.

간호대학생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프로그램 연구 동향 고찰 (Research Trends Review of Undergraduate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 노원정;강지원;이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48-15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창업교육에 대한 관련 연구의 고찰 및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논문은 '창업', '학생', '교육', '프로그램', '훈련' 의 주요 키워드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정보서비스시스템, DBpia,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2000년부터 2016년 9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학술지논문과 학위논문 35편이었다. 2011년 이후에 수행된 연구가 85.71%로 가장 많았고, 조사연구의 비중이 높았다(88.57%). 주요 독립변수는 창업효능감, 기업가정신 등이었으며, 종속변수는 창업의도와 창업효능감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 특성에 적합한 창업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학과 대학생의 창업교육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컴퓨터 교과과정 개편을 위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A Study of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Computer Education Courses)

  • 박근우;한규정;이영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95-40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의 교과과정을 효과적으로 개편하기 위하여 현직 교사들의 교과목별 요구를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 초등학교의 컴퓨터교과 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교 초등컴퓨터 교육과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과목의 중요도와 미래 지향성에 관한 현장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장 교사들은 현재 교과목별 중요도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이나 멀티미디어 제작과 같은 교과목들을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컴퓨터 교과교육 과목들은 상대적으로 그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미래에는 멀티미디어 제작이나 컴퓨터를 활용한 창의성 교과목들도 중요한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Hand-Washing Education Volunteer

  • Kim, Yun-Jeng;Cho, Eu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91-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교육 봉사 활동을 경험한 그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손씻기 교육 봉사에 참여한 학생은 1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11월 까지 2개월 실시하였으며, 3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주제와 10개의 하부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개인의 발전', '예비 간호사로서 자부심', '봉사의 의미를 알아감'등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은 손씻기 교육 봉사를 통해 봉사의 의미를 알게되었으며, 본인의 내적 성숙을 경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은 손씻기 교육봉사를 통해 봉사의 참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 대학생의 교육 봉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교육 봉사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 흡연 관련 행태 및 흡연에 의한 건강문제 (A Review of Cigarette Smoking-related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순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9
    • /
    • 2011
  • Objectives: This article reviewed research on smoking behaviors and smoking-related health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suggest evidences for developing smoking control strategies for them. Methods: Domestic research papers were screen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 (MEDLIS), 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 and digital national assembly library. International papers were searched mainly via PubMed. Results: Smoking prevalenc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over 50% in majority of Korean studies. While studies on smoking-related health problems were scant in Korea, several recent studies overseas showed possible effects of smoking on health among young adults, including decreased lung function, respiratory symptoms, cardiovascular problems, glucose intolerance, buccal disease, depressive symptoms, and so forth. Besides, smoking behaviors were closely related with other risk behaviors including drinking, and several psychosocial factors. Conclusions: To explore the smoking problem among college students, the first step should be a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with scientific methods. Mor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the smoking-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o prevent smoking among college students,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and the initiatives of smoke free campu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