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lmogorov-Smirnov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7초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iagnostic Tests and Nursing-)

  • 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79-285
    • /
    • 2020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로 26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에 총 4회기 8시간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29일부터 12월 10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Kolmogorov-Smirnov, pari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 학습후 비판적 사고성향(t=-2.16, p=.04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z=-2.36, p=.018)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셀프리더십(t=-.16, p=.875)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이 간호사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언한다.

독립성분의 순서화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everal criteria for ordering independent components)

  • 최은빈;조수림;박미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6호
    • /
    • pp.889-899
    • /
    • 2017
  • 독립성분분석은 혼합된 신호에서 원신호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변량 분석방법으로서, 블라인드 음원 분리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독립성분분석은 주성분분석이나 요인분석과 같이 선형변환을 사용하지만, 원신호들의 통계적 독립과 비정규성 가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설명되는 분산의 누적비율이 클수록 더 중요한 성분을 의미하게 되는 주성분분석과 달리, 독립성분분석에서는 독립성분들의 중요순서를 결정하는데 적절한 유일한 기준이 정해지지 않는다. 군집분석이나 차원축소된 그래프 작성 등과 같은 후속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일부의 주요 독립성분을 사용하게 되므로, 성분의 순서를 정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분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몇 가지 기준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첨도와 첨도의 절댓값, 음의 엔트로피,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통계량, 계수제곱합을 이용한 방법이 고려되었다. 이들은 알려진 그룹을 분류하는 능력을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두 가지 형태의 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 유역에 대한 GCM 정보의 확률론적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GCM Information in Korea Using Probabilistic Diagnostics)

  • 정창삼;허준행;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173-184
    • /
    • 2004
  • 기상예보모형 중 장기예측에 널리 사용되는 CGM모의결과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불확실성 해석기법의 적용을 통해 유역단위로 관리되는 국내 수자원 운영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된 기법은 GCM 모의값이 관측값의 크고 작음을 얼마나 잘 구분하는지를 확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사용한다. GCM 모의값으로는 ECMWF에서 AMIP-II 형태로 모의한 결과로부터 표면강수량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관측값은 국내 7개 유역에 대해 면적강우량을 산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어느 정도의 구분능력이 적정한가를 판단하기 위한 유의수준(significance threshold)을 결정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7개 유역에 대해서는 ECMWF 의 GCM 자료가 우기(6월∼9월)에 대해 인근 노드점의 자료를 평균하여 사용되어 질 경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기(10월∼5월)의 경우 구분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뢰성에 기초한 사장교 케이블 장력 관리기준치 설정 (Reliability-Based Managing Criteria for Cable Tension Force in Cable-stayed Bridges)

  • 조효남;강경구;차철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29-138
    • /
    • 2005
  • 본 논문은 사장교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가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케이블 관리기준 장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현재 한국의 많은 장대교량에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량의 이상현상이나 손상을 진단하고 관리주체에 경고하기 위해 설치된다. 사장교에 있어서는 그 기하학적인 형상 때문에 케이블 장력이 교량 이상징후의 중요한 지시가 될 수 있다. 만약 케이블 장력관리치가 너무 높거나 또는 너무 낮게 설정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량의 이상징후를 적절하게 경고하지 못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치는 경험이나 공학적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장력에 대한 확률분포모형과 신뢰성 해석에 기초한 새로운 케이블 장력관리치 설정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실제 콘크리트 사장교에 적용되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 가능성 (Potential Use of a Smartphone to Evaluate Gait during Walking in Stroke Patients)

  • 안보라;기경일;우영근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1호
    • /
    • pp.67-73
    • /
    • 2018
  • Purpose: Smartphones, which are widely used worldwide to detect acceleration and position, have been used in the area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recent clinical research studies and tes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center of movement (COM) displacement to measure gait parameters in stroke patients in the clinical field of rehabilitation medicine.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30 stroke patients. The COM was measure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Gait Analysis Pro, during a 6-m walk. Each patient performed three 6-m walking trials, and the smartphone application measured gait duration, gait speed, step length, cadence, and vertical and lateral displacement of the COM. The Kolmogorov-Smirnov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ormality in gait parameters, and a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sistency among the three trials. A p value of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e tests. Results: In all the measured parameters, the smartphone application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e Kolmogorov-Smirnov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repetitive walking tria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be used for evaluating gait in stroke patients, as well as in healthy adults. However, prior to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further research involving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is needed to enhance the confidence level of the findings.

목표변수의 형태에 따른 신용평점 모형 구축 (Building credit scoring models with various types of target variables)

  • 우현석;이석형;조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85-94
    • /
    • 2013
  • 금융시장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짐에 따라 고객정보 관리 미숙 또는 부실한 의사결정, 즉 신용 리스크 관리 실패로 인한 손실이 막대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신용 리스크 관리가 점차 더 중요해지고, 이런 신용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기본적인 도구인 신용 평점 모형이 절실히 요구된다. 신용평점 모형은 주로 이항형 목표변수만 이용하여 개발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순서형 다항 자료 또는 경시적 이항 자료 같은 다른 형태의 목표 변수를 고려한 신용평점 모형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그 개발된 모형을 실제 자료와 랜덤화한 자료에 적용하여 Kolmogorov-Smirnov 통계량으로 비교 분석한다.

Accuracy of intraoral scans of edentulous jaws with different generations of intraoral scanners compared to laboratory scans

  • Kontis, Panagiotis;Guth, Jan-Frederik;Schubert, Oliver;Keul, Christi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5호
    • /
    • pp.316-326
    • /
    • 2021
  • PURPOS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different intraoral scans versus laboratory scans of impressions and casts for the digitiz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MATERIALS AND METHODS. A PEEK model of an edentulous maxilla, featuring four hemispheres on the alveolar ridges in region 13, 17, 23 and 27, was industrially digitized to obtain a reference dataset (REF). Intraoral scans using Cerec Primescan AC (PRI) and Cerec AC Omnicam (OMN), as well as conventional impressions (scannable polyvinyl siloxane) were carried out (n = 25). Conventional impressions (E5I) and referring plaster casts were scanned with the inEOS X5 (E5M). All datasets were exported in STL and analyzed (Geomagic Qualify).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s were evaluated by virtually constructed measurement points in the centers of the hemispheres (P13, P17, P23, P27) and lines between the points (P17-P13, P17-P23, P17-P27). Kolmogorov-Smirnov test and Shapiro-Wilk test were performed to test for normal distribution, Kruskal-Wallis-H test, and Mann-Whitney-U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eness, followed by 2-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cision (P < .008). RESULTS. Group PRI showed the highest trueness in linear and angular parameters (P < .001), while group E5I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P < .001). CONCLUSION. Intraoral scan data obtained using Primescan showed the highest trueness while the indirect digitization of impressions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To enhance the workflow, indirect digitization of the impression itself appears to be a reasonable technique, as it combines fast access to the digital workflow with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impression of mucosal areas.

체간안정화 융합운동을 접목한 가슴압박이 요통예방과 가슴압박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st compressions on the quality of back pain prevention and chest compressions by applying body stabilization Convergence movement)

  • 홍은정;조병준;김경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5-94
    • /
    • 2019
  • 본 연구는 체간안정화 운동인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융합한 가슴압박이 요통예방과 가슴압박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19구급대원(응급구조사) 15명을 대상으로 동작분석, 근전도, 가슴압박 질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으로 정규분포(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검정)을 실시하였고 가슴압박 형태에 따른 전 후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 측정시점 차이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은 LSD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복부 드로잉-인 상태로 가슴압박을 하면 근활성도 및 가슴압박 성공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구급대원의 요통을 예방하면서 가슴압박 성공률도 높일 수 있는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향성을 고려한 장기 파랑관측자료의 극치파랑조건 분석 (Analysis of Extreme Wave Conditions for Long-Term Wave Observation Data Considering Directionality)

  • 김건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00-71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칠발도, 거문도, 동해에서 20년 이상 관측된 파랑자료를 16 방위별 극치확률분석을 통해 재현빈도별 심해설계파를 산정하였고, 이 값을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전방향파의 심해설계파와 비교하였다. Weibull 분포함수를 확률분포함수로 사용하였으며, 최소자승법을 사용해서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추정된 분포함수는 Kolmogorov-Smirnov 방법을 사용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방향별로 구한 심해설계파가 전방향파의 심해설계파보다 모든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향별로 구한 50년 빈도 설계파고는 칠발도, 거문도, 동해에서 각각 7.46 m(NNE), 12.05 m(S), 9.69 m(SSW)가 최대값이지만, 전방향파로 구한 설계파고는 각각 7.91 m, 13.82 m, 10.38 m이었다. 이는 현재 해양 및 연안 구조물 설계에 사용하고 있는 16 방위별 심해설계파고가 과소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Assessing the variability of climate indices and the role of climate variables in Chungcheong provinces of South Korea

  • Adelodun, Bashir;Cho, Hyungon;Odey, Golden;Adeola, Khalid Adeyemi;Choi, Kyung So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4-154
    • /
    • 2022
  •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floods and drought events, driven by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in recent times. Investigating the climate regimes and the roles of climate variables are indispensable to forestall future climate change-related disasters. This study compares the variability of two popular and widely used climate indices i.e.,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aridity index and the Modified De-Martonne (MDM) index to assess the trend of climate change in the Chungcheong provinces of South Korea. The trend of annual and monthly climate indices was conducted using a non-parametric Mann-Kendall test and Kolmogorov-Smirnov normality test with daily climate data of 48 years (1978-2020) from 10 synoptic sta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UNEP and MDM indices had a wet climate regime for the annual trend, with the UNEP index indicating a relatively humid trend of 60% humid, 20% semi-arid, and 10% sub-humid for the 48-years study period. However, the MDM index showed a high frequency of a severe wet climatic condition followed by the semi-arid condition.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had the highest occurring frequency of the wet climatic condition (90%) for both UNEP and MDM indices. Comparing the two provinces, Chungnam showed a relatively wetter climatic condition using the UNEP index, while the MDM index indicated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in climate regime between the two provinces. The Kolmogorov-Smirnov normality test showed that all the 10 stations are normally distributed for monthly climate conditions at a 5% significant level in the two provinces except five stations for UNEP index and four stations for MDM index in the month of Janu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