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lb's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일반화 및 정당화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rs by Learning Styles)

  • 유미경;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391-410
    • /
    • 2017
  • 본 연구는 학습유형이 상이한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및 정당화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 3명의 학습유형을 판별하고 주어진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행과정을 추적 관찰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지필환경과 함께 지오지브라를 활용한 동적기하환경이 제공되었으며,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지오지브라의 활동이 기록된 학생의 산물, 두 연구자가 관찰하며 작성한 현장관찰일지, 과제 탐구 후 개별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의 일반화 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그에 비해 정당화 수준은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개별화 지도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Focusing on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medium-sized university)

  • 이경희;이성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73-486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학습유형을 살펴보고, 학습유형과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보다 적합한 대학수학교과 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olb의 LSI에 대한 신뢰도분석을 한 후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자연대학과 공과대학 신입생 282명을 대상으로 LSI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유형은 수렴형, 동화형, 조절형, 확산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상적개념화(AC)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구체적경험(CE)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수렴형이 조절형과 확산형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넷째, 학습유형과 학업성취 도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의 학문적 특성과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고려하는 맞춤형의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4단계의 학습사이클을 개별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1학년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특성 (Character of Achievement Goal and Learning Styles of the First year Students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 노효련;강신욱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3
    • /
    • 2012
  • 목적 : 본 논문은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전문적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물리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대학과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 일학년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학습양식에서는 융통자가 가장 많았고 확산자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3년제와 4년제에서 학습양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 목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회피 목표에서는 물리치료학과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의 상호관련성에서는 수행회피 목표가 높을수록 집중자의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와 물리치료학과의 신입생들의 성취목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학습양식은 학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 가장 많은 학습양식인 숙달목표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각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Learning style,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하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5-36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263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8th to April 7th, 2011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learning attitude inventor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Results: Learning styles of the subjects were assimilator 33.8%, converger 31.9%, accommodator 24.7%, and diverger 9.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among grades. However, the total mean score of learning attitude (F=8.30, p<.001)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2.85, p=.038)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grades. Learning attitude positively cor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62, p<.001). Learning attitud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and accounted for 36.5% of the variance in self-directed lea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se all four learning styles rather than to rely solely on one style. There should be more emphasis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Kolb의 학습양식에 기반 한 팀 조직 지원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Kolb's Learning Style Based Team Organization Support System)

  • 박수홍;정주영;홍진용;김성옥;류영호;강은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22
    • /
    • 2008
  • 본 연구는 Kolb의 학습양식 기반의 팀 조직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시스템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아이디어와 핵심 활동,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 그리고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개발 전략을 도출하고, 둘째, 교수설계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을 설계한 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학습양식 검사를 통하여 효과적인 팀을 조직하는 것이다. 우선, 학습양식 검사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 환경이나 특징을 파악한 후, 다양한 학습양식을 가진 사람들이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팀 조직하기는 각 팀 구성원의 학습양식을 공개한 후, 이를 기준으로 하여 팀 구성원의 특성에 맞는 역할을 분담한다. 개발된 시스템의 가치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시스템의 개선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반영한 최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양식 검사를 수행하여 즉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학습양식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성향을 가진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팀이 자동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불특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웹기반 프로젝트학습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Libraries, Learning Styles, Users' Experience, and Task Complexity

  • Sangari, Mahmood;Zerehsaz, Mohammad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55-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nd users'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ir experience of information systems.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four different factors including learning style, task complexity, and user experience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digital environments. Sixty participants (30 pairs) were randomly chosen from volunteer graduate students of Kharazmi University (Iran). Participants completed Kolb'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and a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then performed two information seeking tasks (one simple and one difficult) in a lab setting. They coul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ir partners or a librarian using Skype. The sessions were recorded using Camtasia.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an increase in task difficulty,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increased and more interactions with partners and the librarian occurred. The number of executive help-seeking requests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instrumental help-seeking request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learning style is related to the way users interact with the digital library and help seeking. The research showed that in difficult tasks, the differences among users with different learning styles become more evident, and that generally interactions increase in more difficult tasks. Among the learning styles, the accommodating style had the highest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Most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users' prior computer experience and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time variable.

PBL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차이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Analysing Differences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in Project-Based Programming Learning)

  • 김병욱;김한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27
    • /
    • 2010
  • PBL(Project Based Learning)은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습 초기의 진입장벽이 높은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PBL의 장점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수업설계시에 학습동기 유발전략이 요구된다. 이러한 학습동기 유발전략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적용하였을 때에 효과적이지만, 아직까지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학습양식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동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RCS 모델을 중심으로 설계된 시뮬레이션을 제작해보는 PBL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학습동기검사,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조치 후 사후 학습동기를 검사한 결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양식에 따른 ARCS 모델의 하위 요소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QAR 전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AR Strategy on 5th Graders'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 오승민;정진우;김형범;정소피아(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3-13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질문전략 중 QAR(Question-Answer-Relationship)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9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49명과 비교집단 48명을 선정하였다. 수업실시 전과 후, 각 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기질문전략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유형에 따른 과학적 태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태도에 있어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적응자(46.9%), 수렴자(24.5%), 분산자(20.4%), 융합자(8.2%) 순이었다. 자기질문전략을 적용한 수업 후 과학적 태도에 있어 학습유형 집단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유형 중 융합자 보다는 적응자, 수렴자, 분산자의 과학적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비판적 사고성향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 양선희;하은호;이옥철;심인옥;박영미;남현아;김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4-342
    • /
    • 2012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SDL),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TD)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40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Academic Achievement in Fundamental Nursing and Health Assessment,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One third of respondents were shown to be Convergers in their learning style (33.3%).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were Converg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Divergers or Accommodators (F=5.95, p=.001). The SDL and CTD of students who were Converg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ivergers and Assimilators (F=9.67, p<.001 and F=8.42, p<.001).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DL or CTD,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DL and CTD (r=.68,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arning style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SDL and CTD.

교육과정별 간호학생의 학습유형과 간호분야 선호에 관한 일 연구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of Nursing Students)

  • 이명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4-7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learning styles, learning stages, and preferred nursing specialties between two groups of nursing programs, regular BSN and RN-BSN. The survey instrument was a simplified version of the Kolb's Learning-Styl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 self- reported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with twelve questions related to the four learning stage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the 218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in Korea which consisted of 58 junior and 67 senior students in the regular BSN program, and 58 junior and 35 senior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Over all, the major learning style was either the diverger or the accomodator; the most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concrete experience and the leastly preferred learning stage was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nd the most preferred nursing specialty in the future was the clinical nursing. 2) Students in the BSN program preferred four learning stages with rather equal proportion, whereas the students in the RN-BSN program preferred the concrete experience learning stage as high as 60.3% and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learning stage as low as 9.5%. 3)For the future career, the ju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educational nursing areas, and the senior students of both programs preferred clinical and research areas. The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seemed to result from the different courses such as Health Education or Teaching Method for the juniors and the Nursing Research for the seniors of both groups. Because the sampl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 univers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for the entire nursing students in Korea. Continuous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 educators, and experimental studies measuring the effects of new curricula are needed for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