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hlrabi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Kohlrabi Flesh and Peel)

  • 차선숙;이명렬;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8-96
    • /
    • 2013
  • 콜라비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물량 기준으로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의 일반성분은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콜라비 껍질이 조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이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콜라비 가식부가 껍질에 비하여 높았고,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 모두 유리당 중 gluc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fructose, ribose, mannose, galactose 순이었다.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 모두 검출된 16종의 구성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함량이 높았다.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며, 콜라비 가식부가 껍질에 비하여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콜라비 껍질이 가식부에 비하여 10% 정도 높았고, 가식부와 껍질 모두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콜라비 가식부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 함량이 각각 231.36 mg/100 g와 0.17 mg/100 g 이고, 콜라비 껍질은 402.74 mg/100 g와 0.24 mg/100 g로 검출되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콜라비 껍질이 콜라비 가식부에 비해서 높았고, 무기질 중 K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Ca, Mg, Na 순이었고, Fe, Zn, Mn 등은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무와 비교한 콜라비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 최승현;류동걸;박수형;안경구;임용표;안길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69-475
    • /
    • 2010
  • 무의 소비에 있어서 주된 문제점은 glucosinolate에 의한 쓴맛과 매운맛이다. 최근에 무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있는 콜라비가 한국에 도입되어 제주도에서 월동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두 작물의 식감과 맛이 비슷하여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콜라비의 환원당, cellulose, pectin의 함량은 무보다 낮았다. 식감은 콜라비가 무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은 콜라비가 무보다 약 2.7배 정도 높았다. 특히 aspartate, glutamate, arginine과 같은 수용성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무보다 콜라비에서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glucosinolate 함량은 콜라비가 무의 내부 보다 12.4배, 외부 보다 28.5배로 각각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콜라비의 쓴맛과 매운맛이 무보다 적게 나타났다.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glucoraphanin은 무 보다 콜라비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비의 환원당 함량이 무에 비해 적음에도 불구하고 관능평가에서 무보다 콜라비가 더 달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무보다 콜라비가 더 많은 수용성 유리 아미노산을 함유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콜라비는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무보다 높게 나타나 소비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색 콜라비 가식부와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Flesh and Peel Ethanol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 양명자;차선숙;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05-414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urple Kohlrabi fresh and peel ethanol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Hep G2 human liver, HCT-116 human colon, and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The tota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of purple Kohlrabi ethanol extracts were much greater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tive index of purple Kohlrabi peel extrac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BHA and the BHT.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purple Kohlrabi peel extracts on human cancer cells (Hep G2, HCT-116, and A549) strengthen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particular, the antiproliferation activity of purple Kohlrabi peel extracts exceeded 40% in colon cancer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urple Kohlrabi peel may contain bioactive compounds such as flavonoids as well as anthocyanin and that these compounds may facilitate cancer prevention.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3T3-L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3T3-L1 Cells)

  • 송미연;이재준;차선숙;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3
  • 본 연구는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_3T_3-L_1$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의 등지방에서 분리했다. 세포를 접종한 1일 후에 세척했고(day 0),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일 동안(day 0~day 2) 25 ng/ml과 100 ng/ml의 콜라비 알코올 추출물(과피와 과육)를 처리했다. 세포분화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DMEM/F- 12 배지에 6일 동안(day 0~day 6) 배양하고 배양초기 2일 동안(day 0~day 2) 콜라비를 처리하고 day 6에 세포 분화를 측정했다. 콜라비 과피 25 ng/ml와 100 ng/ml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각각 4.59%, 17.7% 억제했고, 콜라비 과육은 각각 11.4%, 19.2% 억제했다. 반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다. 콜라비가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돼지 지방전구세포처럼, 세포 배양초기 2일간 콜라비를 처리했는데 콜라비 과피와 과육 둘 다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비는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고, 한편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장 기간에 따른 콜라비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hlrabi Kimchi during Storage)

  • 구혜진;진소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35-942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kohlrabi-kimchi was prepared for assessment of changes in sensory qualities and measurement of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for the purpose of using kohlrabi as an ingredient of Kimchi. Examin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hlrabi-kimchi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showed that the acidity increased steadily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while soluble-solids content, pH and hardness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elapsed. Meanwhile, the L value increased and then it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elapsed, but, the a value increased and the b value gradually decreased after day 14 of storage. Reducing sugars increased up to day 10 of storage, and then they decreased slowly after day 15 of storage. Measurement of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in kohlrabi-kimchi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showed bacterial growth showing typical tendencies of Kimchi with a rapid increase on day 5 of storage and a decrease thereafter. Assessment of sensory qualities of kohlrabi-kimchi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s for appearance and sourness, odor, texture, and overall scores were obtained on day 15 of stor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optimal maturity period of kohlrabi-kimchi is day 15 of storage.

콜라비의 저장 중 품질 및 이차대사산물의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kohlrabi during storage)

  • 박미희;서정민;김선주;김원배;이정수;최지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01-608
    • /
    • 2014
  • 콜라비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이 유지되는 적정 유통기간 설정을 위해, 2차대사산물 및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콜라비를 상온에 저장할 경우, 저장 2주후부터 부패가 발생하기 시작함과 더불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저온저장의 경우, 저장 2개월간 품질의 변화가 거의 없고 기능성 성분도 초기값을 유지하거나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콜라비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저장으로 증가하였고, 상온저장 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또한 포장처리에 관하여, 콜라비의 페놀함량은 저장기간동안 포장처리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05 mm PE 필름 밀봉시 이들 성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콜라비를 포장하여 저장하는 것이 플라보이드 함량 보존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성분으로 알려진 glucosinolate는 저장 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콜라비가 장기 저온저장동안 이들 유용한 성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콜라비의 저장기간 동안 2차대사산물과 외관 품질변화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페놀화합물과 같은 2차대사물질이 콜라비의 저장수명 구명을 위한 품질 지표로서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한다.

The First Report of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Kim, Joon-Young;Aktaruzzaman, Md.;Afroz, Tania;Hahm, Young-Il;Kim, Byung-Sup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09-411
    • /
    • 2014
  • In March 2014, a kohlrabi stem rot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cold storage room of Daegwallyong Horticultural Cooperative, Korea. White and fuzzy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on the stem, symptomatic of stem rot disease. The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infected stem and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for further fungal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to confirm its pathogenicity, according to Koch's postulates. Morphological data, pathogenicity test results, and rDNA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ITS 1 and 4) showed that the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was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ostharvest stem rot of kohlrabi in Korea.

자색 콜라비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purple kohlrabi powder)

  • 차선숙;정해옥;손희경;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24-830
    • /
    • 2014
  • 본 연구는 자색 콜라비를 이용한 쿠키의 개발로 콜라비의 활용방안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콜라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콜라비 쿠키의 관능검사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콜라비 쿠키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콜라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반죽의 pH와 밀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콜라비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콜라비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가장 컸으며,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색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콜라비 쿠키의 경도는 콜라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쿠키의 향,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쿠키의 색, 맛 및 외형은 콜라비 분말을 3%와 5%를 첨가한 군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쿠키제조 시 콜라비 분말 첨가는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능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een and Red Kohlrabi Cultivars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 Jung, Hyun Ah;Karki, Subash;Ehom, Na-Yeon;Yoon, Mi-Hee;Kim, Eon Ji;Choi, Jae Su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281-290
    • /
    • 201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potential,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of green and red kohlrabi cultivars.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via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and rat lens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ssays and cell-bas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inhibitory assays in RAW 264.7 murine macrophages. In addition, scavenging ass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and peroxynitrite ($ONOO^-$) were used to evaluate antioxidant potential and TPC was selected to assess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kohlrabi cultivars, red kohlrabi (RK) had two times more TPC than green kohlrabi (GK) and showed significant antioxidant effects in DPPH, ABTS, and $ONOO^-$ scavenging assays. Likewise, methanol (MeOH) extracts of RK and GK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at was further clarified by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 production. The MeOH extracts of RK and GK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TP1B with the corresponding $IC_{50}$ values of $207{\pm}3.48$ and $287{\pm}3.22{\mu}g/mL$,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e RK MeOH extract exhibited significantly stronger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than that of GK MeOH extract. As a result, our study establishes that RK extract with a higher TPC might be useful as a potent anti-diabet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hlrabi Slices Dehydrated by the Addition of Maltodextrin

  • Wang, Shu-Mei;Yu, Dong-Jin;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9-193
    • /
    • 2011
  •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L.) slices were dehydrated with maltodextrin (MD) at concentrations of 20, 30, and 40% (w/w), and the dried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e freeze-dried and hot-air dried samples regarding various physicochemical qualities. The MD-treated samples had better results than those of freeze-dried or hot-air dried samples in terms of rehydration ratio and colo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MD-treated sample was similar to that of the freeze-dried and higher than that of hot-air dried sample.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the MD-treated sample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hot-air dried 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hlrabi can be dehydrated with MD instead of hot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