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Map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1초

노약자 활동 감시를 위한 구글 맵 3D 기반의 실시간 웹 위치 추적 시스템 (Real-time Web Location System for the elderly active surveillance based on Google Map 3D)

  • 이영민;최옥경;김기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122
    • /
    • 2011
  • 과학 기술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 인구 비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화 인구 증가 현상에 대한 대책 방안의 하나로 U-HealthCare 시스템에 구글맵(Google Map) 3D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기법을 적용 시켜 노약자들이 이동하는 중간에 실시간 위치 추적을 실시하여 추후 발생 할 수 있는 위험 사태에 대비하고자 한다. 제안 방식은 구글 맵 3D 서비스 방식이기에 2D 서비스나 문자 서비스 방식보다 시각적으로 건물의 생김새나 주변의 건물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여 노약자들의 위치 정보에 대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다.

제품개발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 프레임워크 (Ontology-based Knowledge Framework for Product Development)

  • 서효원;이재현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8-96
    • /
    • 2006
  • This paper introduces an approach to ontology-based framework for knowledge management in a product development domain. The participants in a product life cycle want to share the product knowledge without any heterogeneity. However, previous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do not have any conceptual specifications of their knowledge. We suggest the three levels of knowledge framework. First level is an axiom, which specifies the semantics of concepts and relations. Second level is a product development knowledge map. It defines the common domain knowledge which domain experts agree with. Third level is a specialized knowledge for domain, which includes three knowledge types; expert knowledge, engineering function and data-analysis-based knowledge. We propose an ontology-based knowledge framework based on the three levels of knowledge. The framework has a uniform representation; first order logic to increase integrity of the framework. We implement the framework using prolog and test example querie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식구조 변화 연구 : 비즈니스 모델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Knowledge Structure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Focus on Business Model Research)

  • 류재홍;최진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3-163
    • /
    • 2018
  • The business models has a great impact on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enterprises.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shifting from industrial economy to knowledge-based economy. Enterprises go through numerous trials for successful management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long with trial tests, research areas have been growing simultaneously.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business models, it is very insufficient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knowledge flow of research. Accordingly, successive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the business model may find it difficult to establish the orientation of future application research based o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have accumulated so far.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business model research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knowledge structure changes in keywords that appear in 2,667 business model articles in the SCOPUS database. Identifying the knowledge structure has been completed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 methodology based on the 'relationship', and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structure were identifi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different periods.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number of business model co-author increases over time with the need for academic diversity. Second, the 'innovation' keyword has the biggest center in the network, and over time, the lower-rank keyword which was in the former period has emerged as the top-rank keyword. Third, the cohesiveness group decreased from 12 before 2000 to 5 in 2015 and also the modularity decreased as well. Finally,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through a cognitive map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omains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The study has provided a systematic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business model research and the process of changing knowledge structur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no research has ever systematically analyzed the knowledge structure accumulated by individual researches, it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study.

스토리텔링의 시각화를 위한 개념적 맵들의 특성분석 (An Analytic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maps for the Visualization of Storytelling)

  • 이지수;정겨운;이경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64-369
    • /
    • 2008
  • 이 연구는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적 맵(Conceptual map)들의 종류와 그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활용 방안으로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의 적용 가능성과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현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조직하기 위해 다이어그램, 그래프, 맵 등 정보시각화를 통한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 맵을 이용한 시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개념적 지도가 정보와 지식을 표현해 줄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관계를 조직해주는 데에도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시각화는 대량의 정보 속에서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빠르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일련의 스토리 라인을 갖고 있는 책의 시각화의 경우 등장인물과 그들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관계를 형상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개념적 맵에서는 개개인이 알고 있는 이야기와 그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며 그 정보와 지식들이 확장될 수도 있어, 이는 지식시각화의 좋은 활용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개념적 맵의 세 가지 종류인 개념맵(Concept map), 지식맵(Knowledge map), 토픽맵(Topic map)의 정의와 특성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시각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맵의 특성과 차이점을 이용해 루이스 캐롤(Lewis Carroll)의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의 이야기 요소들을 각각의 개념적 맵들로 구성해봄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스토리텔링을 개념적 맵을 이용하여 표현할 경우, 사용자들은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은 개념적 맵을 제작할 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태그 기반 토픽맵 생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opic Map Generation System based Tag)

  • 이시화;이만형;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30-739
    • /
    • 2010
  • 웹2.0환경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태깅이며, 현재 블로그와 같은 웹 문서에서부터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태깅에 사용된 태그가 정보 검색에 재사용되어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실제로는 태그가 가지는 근본적인 한계들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한 검색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그 클러스터링을 통한 이미지 검색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의미론적 지식체계인 토픽맵 생성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 결과 클러스터 내의 태그 정보들은 토픽맵에서의 토픽으로 자동 생성되었으며, 생성된 토픽맵의 토픽들 간에는 WordNet을 적용하여 의미연관관계를 부여하였다. 또한 토픽 쌍에 적합한 어커런스 정보들을 추출하여 토픽들에 부여함으로서 의미론적 지식체계인 토픽맵을 생성하였다. 이와 같이 생성된 토픽맵은 사용자의 정보검색 요구에 대한 시맨틱 내비게이션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풍부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Childcare Teacher's Concept Map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al Contents)

  • 이송이;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통해 보육교사들의 유아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 4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의 개념도를 사용하여 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고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이 개념도에서 사용한 상위개념은 194개였으며, 위험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행동하기(77.8%)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종속개념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개념도에서 나타난 종속개념은 1,270개였고, 종속개념의 내용을 표준보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위험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행동하기'에 총684개로 가장 많은 수의 종속개념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교사 각 개념도의 밀도를 구하여 교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자율이동로봇의 초음파지도에 근거한 위치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onar map based position estim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mobile robot operating in an unknown environment)

  • 강승균;임종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589-1592
    • /
    • 1997
  • Among the prerequisite abilities (perception of environment, path planning and position estim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position estimation has been seldom studied by mobile robot researchers. In most cases, conventional positioin estimation has been performed by placing landmarks or giving the entrir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dvance. Unlikely to the conventional ones, the study addresses a new method that the robot itself can select distinctive features in the environment and save them as landmarks without any a priori knowledge, which can maximize the autonomous behavior of the robot. First, an orjentaion probaility model is applied to construct a lcoal map of robot's surrounding. The feature of the object in the map is then extracted and the map is saved as landmark. Also, presented is the position estimation method that utiliz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landmarks and current local map. In dong this, the uncertainty of the robot's current positioin is estimated in order to select the corresponding landmark stored in the previous steps. The usefulness of all these approaches are illustrated with the results porduced by a real robot equipped with ultrasonic sensors.

  • PDF

취업준비를 위한 career map and course map 추천 시스템 (Career map and course map recommendation system for employment)

  • 권원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6-279
    • /
    • 2022
  • 4차 산업혁명은 지식의 생산속도가 빠르고 지식산업의 비중이 매우 증가하는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혁명이 지속되고 있다. 신기술에 의한 산업구조의 재편과 직업·직무의 변화는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경계가 없고 개별적이며 역동적인 교육이 새로운 교육의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정규 과정 학위보다는 신기술에 관한 나노 학위(Nano Degree)나 핵심강좌에 집중된 마이크로 디그리(microdegree)에 대한 관심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유다시티(Udacity)는 직업과 연계된 온라인 나노디그리 과정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고, 주요 기업들과 협업하여 기업에 필요한 핵심 교육과정을 개발 및 교육함으로 기업의 인재 확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온라인 직업 및 직무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이제 개인 스스로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목표를 세우고 포트폴리오 방식의 지속가능한 학습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 졌다. 그러나 효과적인 직업 교육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개인 맞춤형 교육컨텐츠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시대에 직업준비를 위한 개인 맞춤형 career and course map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마인드맵, 컨셉트맵 그리고 브이맵과 수학학습 (Learning Mathematics with Mind map, Concept map and Vee maps)

  • 정인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85-403
    • /
    • 2006
  • 본 연구는 마인드맵, 컨셉트맵 그리고 브이맵을 활용하여 수학학습하는 방법에 대해서 모색한다. 각각의 맵의 특성, 맵의 구조, 맵의 작성방법과 활용가능성 및 의의를 상세히 분석하고 수학교육과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제시한다. 마인드맵은 인간의 사고를 최대한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학습의 개념으로서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그 학습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으며 컨셉트맵은 학습자들이 학습한 수많은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브이맵은 학습자들의 살아있는 생생한 지식이 되고 또 다른 탐구를 유도하는 그런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도움이 되며 탐구를 시작하기 전에 알고자하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시작한다.

  • PDF

위치 정보 검색을 위한 모바일 벡터 지도 일반화 연산 알고리즘 연구 (Study on Algorithms of Mobile Vector Map Generalization Operators fo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 김현우;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67-170
    • /
    • 2005
  • 모바일 환경에서 벡터 지도 서비스를 위해서는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 과정을 통한 지도 간소화 작업이 지도 인지도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일반화 연산은 selection, aggregation, simplification, displacement 등 다양하지만 아직 정형화된 연산 알고리즘이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도 일반화 알고리즘을 위해서는 자동화되기 어려운 상당한 전문적 지식과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도된 일반화 연산 알고리즘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고찰하고 제시한다. 복잡한 공간 객체를 제한된 자원의 모바일 기기에 효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모바일 환경에 적용하는 과정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