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structure

검색결과 1,976건 처리시간 0.033초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개별문서의 지식구조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Automatic Generation of the Local Level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Using Clustering Methods)

  • 한승희;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1-267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인쇄매체 환경에서 지식에 대해 지역적인 접근법을 제공하는 권말색인과 목차의 기능에 착안하여 용어 클러스터링 실험과 클러스터 대표어 선정 실험을 통해 개별문서의 지식구조 자동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자동 생성된 지식구조가 갖는 기능성을 평가하여 정보 검색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용어 클러스터링 실험에서는 워드 기법의 성능이 중복 분류를 허용하는 퍼지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에 비해 높았으며, 클러스터 대표어 선정 기법으로는 단락빈도를 이용한 경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이용자 태스크를 기반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생성된 지식구조의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이 연구에서 자동 생성된 지식구조가 인쇄매체 환경에서의 권말색인과 목차가 갖는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지식경영 기반구조가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Knowledge Management-based Struc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 이재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9-252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 있어서 지식경영 기반구조가 지식경영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직구조 요인을 제외하고 조직문화, 조직관리, 정보기술 등의 지식경영 기반구조 요인은 지식경영활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식경영활동은 재무성과를 제외하고 고객, 내부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관점의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기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의 지식경영 평가는 재무적인 성과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짐에 따라 전사적 차원에서의 경영성과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경영의 도입과 추진을 통하여 나타나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장기적 목표와 단기적 목표 간의 균형을 통한 객관적 측정을 도모하는 경영성과 평가도구인 BSC를 활용하여 비재무적 및 재무적 성과를 4가지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식경영 효과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식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도입 추진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시해 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도출된 지식경영 기반구조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 성과측정 지표는 기업들이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식경영 도입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역할과, 동종 경쟁기업간 비교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터넷 지식거래소의 지식정보유통 실태분석 (An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Internet Knowledge Exchange Markets)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5-15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인 지식정보유통업체(지식거래소)들의 지식정보유통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지식거래소의 지식정보유통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식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지식정보의 유형, 지식정보량, 그리고 사이트 이용자의 규모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지식거래소들의 지식정보유통구조를 분석하였다. 넷째,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는 소지를 구체적으로 발견해 내고 설문조사를 통해 저작권 해결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넷째, DRM의 적용 여부는 물론 DRM 적용시 부여되는 사용권한 제어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지식구조 분석 (A study of business model research knowledge structur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 류재홍;최진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68
    • /
    • 2018
  • Business environment is shifting from industrial economy to knowledge based economy. Enterprises go through numerous trials for successful management in changing environment. Along with trial tests, research area has been growing simultaneously. Unlike initial research which focused on basic concepts such as: form of business model and success points. Current research emphasizes on actualization of business that enterprises plan, which brought academic research with perplex form of knowledg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mitation in understanding business model systematically due to preceding research primarily centered on analyzing definition and case study. In order to analyze knowledge structure, this study utilized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relationship". For the analysis, 13,412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36years worth of article or research related to business model stored in SCOPUS database. From the analysis, it was shown core research subject was INNOVATION and the number of co-authors has increased due to the academic diversity. Business model research i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E-commerce, SMEs, sustainability, open-source, and e-book). Through cognitive map analysis on each of research characteristics of sub-category, it has shown that E-commerce, SMEs, sustainability, and open-source are core categories.

BPM 도입을 통한 지식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nowledge Classification Structure Improvement through Adopting BPM)

  • 황진원;최형원;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20-724
    • /
    • 2008
  • 급변하는 기업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의 무형자산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하나로 지식경영이 많은 기업에서 도입되고 있으며, 다양한 참여자와 업무 수행자의 역량이 프로젝트 성패에 큰 영향을 끼치는 건설 산업에서도 지식경영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업무 프로세스와 연계되지 못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인해 기대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업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IT시스템, 업무 수행자의 통합을 목표로 하는 BPM의 주요 기능인 업무 프로세스의 설계, 운영, 모니터링, 지속적인 개선 등을 검토하고, 기존 지식분류체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 그 개선기회를 도출하여 BPM 도입을 통한 건설기업의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한 지식분류체계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한국 제조업 지식네트워크 구조변화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Change in Knowledge Network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 김문수;오형식;박용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71-98
    • /
    • 1998
  •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knowledge flow-structure of Korean manufacturing in dynamic perspective. In doing that, the concept of the knowledge network is introduced which is defined as a set of industries and their interaction(knowledge flow) or linkage. The analysis of the inter-industrial knowledge flows is based on the technological similarity by using R&D researchers' academic background in the year of 1984, 1987, 1990. The analysis is carried out by such methodology as network analysis, indicator analysis and simpl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final results are drawn both in absolute terms(dimension effect) and in relative terms(proportion effect)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Korean manufacturing knowledge network appears to strengthen existing inter-industrial knowledge linkages rather than to construct new linkages. Second, the network seems to form a dualistic structure in that some high-technology sectors(knowledge production sectors) emerge along with traditional sectors(knowledge absorbing sectors). Third, since the mid-1980s, an inter-industrial fusion is witnessed among technologically intensive sectors, indicating that some sophisticated innovation modes are emerging in Korean manufacturing system. And fourth, by using the relations of the inter-industrial knowledge-flows, we classified manufacturing industries into 3 type ; knowledge-outflow sector, knowledge-inflow sector and knowledge intermediary sector.

  • PDF

지식 공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접근법 : 어떻게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이 지식 공유를 지원하는가? (Social Network Approach for Sharing Knowledge: How Ca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upport for Sharing Knowledge?)

  • 이정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1-74
    • /
    • 2010
  • 지식관리 프로세스에서 지식공유는 지식의 생성 및 분배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지식기반 정보기술 환경이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 정보서비스 등의 라이브러리 2.0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식유통이 활성화되고 있다. 지식공유의 영향 요소에 사회연결망 구조 및 특징에 대한 네트워크의 관계 요소가 조직의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조직화를 통해 유기체와 같이 성장하고 있는 조직 내부의 사회연결망의 구조 및 특성을 사회연결망 분석도구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1) 사회연결망의 연결구조와 지식공유와의 관계, 2) 구조적 공백과 중심성의 지식공유 영향도, 3) 개인적인 능력, 정보기술 및 업무 인식과 지식공유 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식 기반 사출 금형 설계시스템 구조 (On the Structure of a Knowledge-Based Mold Design System)

  • 강무진;엄광호;김태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123
    • /
    • 2005
  • Mold design is a knowledge-intensive decision making process where product designer, injection molding engineer as well as mold designer affect each other.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design knowledge is a prerequisite for an intelligent design system, which aims to guide and support designer to carry out design activity in more efficient way by avoiding or minimizing unnecessary trial and errors.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in knowledge-based mold design, and describes the structure of a knowledge-based mold design system fur parts with micro features under development.

  • PDF

다문화연구의 지식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The Knowledge Structure of Multicultural Research Papers in Korea)

  • 장임숙;장덕현;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3-37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지식체계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발행된 등재(후보) 학술지에 수록된 다문화분야의 논문에서 저자가 부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시단어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k-core분석을 수행한다. 먼저, 2010년까지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다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다문화분야의 핵심 연구주제를 추출한다. 둘째, 다문화연구가 집중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다문화 지식구조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셋째,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다문화연구가 활성화된 학문분야를 중심으로 분야별 핵심 주제와 다문화 지식구조의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지식 간 상호참조적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온톨로지 기반 프로세스 중심 지식지도 (Ontology-Based Process-Oriented Knowledge Map Enabling Referential Navigation between Knowledge)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61-83
    • /
    • 2012
  • 지식지도는 관련된 지식의 현황을 네트워크 형식으로 보여주는 일종의 도식으로, 지식 간의 상호참조적 네비게이션 관계를 기초로 하는 지식 분류 및 저장 체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지식 및 이들 지식이 또 다른 지식과 갖는 관계를 네트워크 형식으로 형식적이고 객관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지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왔다. 본 논문은 지식 간의 상호참조적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지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에 의해 구현되는 온톨로지 기반 지식지도는 지식 간의 상호참조적 네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 간 네트워크 관계에 의해 추가적인 지식 간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제시된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실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지식지도를 구현하였고, 구현된 지식지도에 나타나는 지식 간 네트워크 구성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