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teacher

검색결과 1,249건 처리시간 0.026초

An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Using mathematical Tasks for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 Cho, Cheong-So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39-51
    • /
    • 2002
  • This study described an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selecting and using mathematical tasks for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The informant of this ethnographic inquiry was a third grade teacher and has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ultiple data sources, this study showed that based on his beliefs about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nd discourse, he continually employed two different types of tasks: open-ended tasks and tasks from students' mistakes and comments during discours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mathematics and the classroom norms for student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are suggested to be given atten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

  • PDF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ddress Student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Ratio and Rate)

  • 강향임;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4호
    • /
    • pp.613-63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들의 오류와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TRED)을 조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인 특수내용지식(SCK)과 내용교수지식(PCK)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와 비율의 개념과 오개념, 오류와 어려움을 살펴본 후 학생용 질문지를 개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한 문항에 대하여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하는가를 조사하였다. 3명의 현직교사의 질문지 반응과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양의 곱셈적 비교를 넘어서는 좀 더 깊이 있는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SCK와 교과서의 개념 정의와 기술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SCK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비와 비율의 수학적 표현과 개념을 구분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판단하는 KCS와 학생들의 본질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여 비를 도입할 수 있는 KCT, 학생들의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시각적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KCT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rea-wise relational knowledge distillation

  • Sungchul Cho;Sangje Park;Changwon Lim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30권5호
    • /
    • pp.501-516
    • /
    • 2023
  • Knowledge distillation (KD) refers to extracting knowledge from a large and complex model (teacher) and transferring it to a relatively small model (student). This can be done by training the teacher model to obtain the activation function values of the hidden or the output layers and then retraining the student model using the same training data with the obtained values. Recently, relational KD (RKD) has been proposed to extract knowledge about relative differences in training data. This method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 model compared to conventional K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RKD by introducing a new loss function for RKD. The proposed loss function is defined using the are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model and the student model in a specific hidden layer, and it is shown that the model can be successfully compressed, and the generaliza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can be improved. We demonstrate that the accuracy of the model applying the method proposed in the study of model compression of audio data is up to 1.8%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ethod. For the study of model generalization, we demonstrate that the model has up to 0.5% better performance in accuracy when introducing the RKD method to self-KD using image data.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High School Calculus Lessons)

  • 고희정;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57-18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의 교사지식(MKT) 중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을 조사하여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서로 다른 학교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초임교사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그들의 미적분 수업을 중심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SCKT는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 그리고 수학적 규칙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미적분 영역에서 교사의 SCKT는 다양하게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는데 그것은 학생의 질문에도 SCKT의 개별화된 수학 지식을 제시하지 못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었다. 교사 스스로는 수학내용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 하위구조의 지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범대학의 교사교육에서 현장의 수학수업의 실제와 연계된 학교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SCKT가 더욱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비지도학습 기반의 뎁스 추정을 위한 지식 증류 기법 (Knowledge Distillation for Unsupervised Depth Estimation)

  • 송지민;이상준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09-215
    • /
    • 2022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for training an unsupervised depth estimation algorithm. The objective of unsupervised depth estimation is to estimate pixel-wise distances from camera without external supervision. While most previous works focus on model architectures, loss functions, and masking methods for considering dynamic objects,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ining framework to effectively use depth cue. The main loss function of unsupervised depth estimation algorithms is known as the photometric error. In this paper, we claim that direct depth cue is more effective than the photometric error. To obtain the direct depth cue, we adopt the technique of knowledge distillation which is a teacher-student learning framework. We train a teacher network based on a previous unsupervised method, and its depth predictions are utilized as pseudo labels. The pseudo labels are employed to train a student network. In experiments, our proposed algorithm shows a comparable performance with the state-of-the-art algorithm, and we demonstrate that our teacher-student framework is effective in the problem of unsupervised depth estimation.

불간섭주의와 교사협력 - 과학수업을 위한 두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사례 연구 - (Noninterference and Teacher Collaboration - The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on for Science Classes -)

  • 신채연;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00-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science PCK between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the school. We chose the case that two teachers collaborated spontaneously in the 5th-grade science classes. Even though they had similar teaching experiences, one of them had the science PCK while the other did not.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teachers began to collaborate to avoid comparisons of science classes between them. They shared the same teaching plan but practiced science teaching individually. During they taught science, they usually collaborated on the instructional sequences,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ntent of assessments. They had an in-depth collaboration when the teacher who lacked the science PCK asked help to teach problem-centered learning by science inquiry. During the collaboration, their science PCK components, especially the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shared and it affected the teacher's science practices who lacked the science PCK. However, they did not usually share the knowledge of teaching for their everyday science classes because two teachers had the perception of noninterference about their science classes. This case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but teacher collaboration shows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rofessionalism by having peers in the school who can help them in science classes.

예비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및 자기효능감 발달에 미치는 동료멘토링의 영향 (The Influence of Peer Mentoring on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er Self-efficacy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53-3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및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발달에 미치는 동료멘토링의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37명의 예비음악교사들이 16주간 동료멘토링을 통해 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을 진행하였다. 예비음악교사들의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활용하여 PCK의 구성요소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환경상황지식 및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해 분석하였다. 반구조화된 인터뷰 내용과 성찰저널 분석은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경험 연구'방법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인터뷰와 성찰저널 분석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동료 멘토링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에 대해 자신감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음악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교사로서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실질적인 수업시연 및 교수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법 개발에 대한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 전미현;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91-71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을 확장하여서 이를 적용한 측정을 통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수준의 수학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교사 5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는데,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문항에서 나타내는 학습 내용에 관한 지식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등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과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과정에서도 내용의 본질을 충분히 담지 못하며 학습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특성을 기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관점 (Promoting Teacher Learning: Implications for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김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19-633
    • /
    • 2010
  • 이 연구는 교수학습 이론에서 상황이론을 토대로 미국의 수업 전문성 신장 실천 사례를 분석하고 교사의 학습 지원 방향을 탐색한 문헌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의 수업활동 개선을 위해 교사의 학습 지원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유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은 교사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학습에 관한 상황이론의 내용 분석과 미국의 수업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으로 설정하였다. 상황이론은 인지활동이 상황적, 사회적, 그리고 분산적으로 일어난다고 설명한다. 나아가 상황이론은 수업활동의 변화를 위한 교사의 새로운 교수 방법에 대한 학습과 그러한 교사 학습을 어떻게 계속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가에 대한 틀을 제공한다. 첫째,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실제 수학적 태스크 활동을 통해 살펴보고 수학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는 교사학습에 매우 중요한 실제적인 도구다. 둘째, 수업전문성 신장 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교사 혹은 교사-연구자의 협력적 활동을 장려하도록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협력적 활동은 교사의 지식 증대와 효과 적인 수업활동을 촉진하며, 협력을 통해 교사들은 새로운 교수 방법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보다 혁신적인 수업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게 한다.

  • PDF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and Representational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Fractions

  • Rosli, Roslinda;Han, Sunyoung;Capraro, Robert M.;Capraro, Mary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1-241
    • /
    • 2013
  • The data for the present paper was a part of a large research project conduct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nd place value at a southwestern public university in 2007. The study utilized convenience sampling, consisting of 15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before their student teaching. The results demonstrat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comparison,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a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se should be basic knowledg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hould emphasize profound knowledge for teaching fractions using re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