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lifecycl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4초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 적용도 분석 (Analyses of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Domain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he Perspec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허광호;이유미;유영진;김진회;오유상;김인재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9-225
    • /
    • 2021
  • 제품수명주기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는 8개의 지식영역으로 구성된 잘 정의된 관리방법이다. 4차 산업혁명이 스마트 팩토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제품의 아이디어 생성에서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수명주기관리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의 현재와 향후 적용정도를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이 현장에서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를 현재의 관점과 가까운 미래의 관점에서 전문가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의 현재 및 미래의 적용정도를 분석하고, 적용정도의 관점에서 지식영역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향후 흐름을 제시하였다.

Strategy Focused CoP Using BSC Method And Building Lifecycle For Strategy Focused CoP

  • Lee, Hyun-Hee;Suh, Eui-Ho;Kim, Sung-Ji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0-275
    • /
    • 2008
  • The various research on Communities of practices (CoP) for propagation of softer type knowledge in new Knowledge Management (KM) strategy having been performed for past couple of years. CoP is one of effective process innovation tool for diffusion of knowledge. Based on CoP's voluntary and spontaneous characteristic, it performs a function of delivering softer type knowledge of workers to the other colleagues of organization. But one step further to CoP's function of propagation of internal knowledge, research on function of CoP's contribution in enterprise strategy are insufficient yet. This paper presents enterprise CoP should be managed and aligned to strategic objectives of enterprise, and also, suggests the methodology for CoPs to maintain a lifecycle as a tool to contribute in strategic goal attainment. Although CoPs are voluntary and spontaneous informal organization, it can display a contribution as tool for KM strategy when it is aligned to strategy properly and form efficient lifecycle.

  • PDF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전문가그룹 분석: 제품수명주기관리의 관점에서 (Analyses of Expert Group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spective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오원근;김인재
    • 서비스연구
    • /
    • 제10권4호
    • /
    • pp.89-100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축이 되는 것이 스마트 팩토리이다. 스마트 팩토리는 사물인터넷과 지능형 감지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산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최대한 유도하는 체제이다. 스마트 팩토리에서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소비자의 사후 관리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품수명주기관리 기법이다. 제품수명주기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제품수명주기관리 지식영역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분석했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세부 지식영역에 대해서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변화되는 내용을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정성적 자료 분석(Qualitative Data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였다. 전문가의 의견을 기반으로 총 30개의 세부 지식영역으로 구성된 제품수명주기관리에 대해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보완하거나 대비해야 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을 재정립하고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제품수명주기 관리 지식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의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을 다시 정의하고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문화, 기술적인 변화 요인을 고려하여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영역, 범위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of PKMS for Business Innovation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in Public Organization

  • 지승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1호
    • /
    • pp.243-249
    • /
    • 2008
  • Based on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reflects lifecycle requirements of KMs and BPMs, we propose an PKMS(Process based KMS) for integrating KMs and BPMs in order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two paradigms.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priority order of knowledge according to knowledge type and classifies it into three groups which consist of Basic KM, Practical KM and Reference KM. Then, it suggests PKMS knowledge map composed of much core-knowledge each of which has information about a unit of the related business process. Using the PKMS Knowledge map, we can directly provide related core-knowledge related for the business process while a person is working a unit of business process. This paper designed the PKMS applied to employment insurance business part. Long term goal of the concepts is to concern a change management organization of knowledge on PKMS.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고객 중심의 신제품 개발 필요성 인식 제고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Customer-Oriented New Produc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오원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1호
    • /
    • pp.97-109
    • /
    • 2020
  • It is expecte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specially as it will cause big changes in industry, economy as well as socio-cultural. To cope with this situation, each country is promoting the policy of cultivating its manufacturing. This study derives the effe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for smart manufacturing through expert's cognitive analysis. The knowledge area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is divided into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Customer Needs Management, Direct Material Sourcing, Product Data Management, Digital Manufacturing & Engineering, R&D Foundation, New Product Development through academic research. The expert survey was conducted in five different perspectives: Importance, Insufficiency. Then, us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academic research the implication about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were deri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rives the change areas and factors of the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knowledge domain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mportance and insufficiency.

4차 산업혁명이 스마트 제조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apability of Smart Manufacturing)

  • 오원근;김인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5호
    • /
    • pp.111-118
    • /
    • 2018
  •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제조업에 대한 영향은 국가별로 자국의 제조 경쟁력을 확보 또는 강화하려는 정책적 노력으로 확산되고 있다. 제조업에 대한 강화 정책은 필연적으로 스마트 제조에 대한 인력을 육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 제조 인력 육성을 목적으로 한 지식 영역 중에서 제품개발 전반적인 지식영역을 포괄하고 있는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전문가들은 현재 제품수명주기 지식의 교육커리큘럼에 대한 보완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디지털개발 및 생산, 신제품개발 영역에 대해서 향후 변화가 예상되고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제품수명주기 지식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향후 교육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Lifecycle of Construction Projects at Gaza Strip

  • El-Sawalhi, Nabil;Mahdi, Mahdi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5권2호
    • /
    • pp.1-10
    • /
    • 2015
  • There is a high confidenc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at climate is changing over time. Now climate chang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hallenges fac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no project is risk free and climate change has a strong impact on the different phase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a platform of knowledge fo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actitioners abou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construction projects lifecycle, identify the most dangerous climate change factor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and identify the most affected phase by climate change factors through the construction projects lifecycle. The study depended on the opinions of civil engineers who have worked in the construction projects field among the reality of Gaza Strip. Questionnaire tool was adopt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objectiv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127 factors in order to obtain responses from 88 construction practitioners out of 98 representing 89.79% response rate about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generic lifecycle of construction projects. The results deduced that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was related to the extreme weather events, rainfall change, and temperature change respectively. There was a general agreement between the respondents that the most affected phase by temperature, rainfall, and extreme weather events is the execution phase. The results also asserted with a high responses scale on the need to alternative procedures and clear strategies in order to face the climate change within construction industry.

The ISDF Framework: Towards Secure Software Development

  • Alkussayer, Abdulaziz;Allen, William 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1호
    • /
    • pp.91-106
    • /
    • 2010
  • The rapid growth of communication and globalization has changed the software engineering process. Security has become a crucial component of any software system. However, software developers often lack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develop secure software. Clearly, the creation of secure software requires more than simply mandating the use of a secure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the components produced by each stage of the lifecycle must be correctly implemented for the resulting system to achieve its intended goa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secure software can result from the integration of carefully selected security patterns into appropriate stages of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to ensure that security designs are correctly implement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velopers with an Integrated Security Development Framework (ISDF) that can assist them in building more secure software.

프로세스 지식 관리 프레임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ramework for Process Knowledge Management)

  • 최인준;송민석;정지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150-1156
    • /
    • 2003
  • This paper suggests process knowledge management (PKM) which aims at lossless integration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and knowledge management (KM). To implement PKM,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process knowledge and explores how to use them to extend the functionalitie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process management systems by considering the lifecycle requirements of both knowledge and business processes. The framework and extended functionalities can provide a new corporate paradigm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BPM and KM. Further, important corporate knowledge about business processes can be defined and managed in a single framework.

  • PDF

R&D기획의 범위에 대한 고찰 : 에너지·자원 생산기반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ope of Government R&D Planning : Focused on the Energy and Resources Production Technology)

  • 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79-587
    • /
    • 2012
  • 본 연구는 우수한 R&D성과의 창출을 유인하기 위하여 정부 R&D기획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현재 정부 R&D기획은 과제발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구팀의 구성, 공동연구, 지식유입 전략 등 R&D수행에 대한 개략적인 가이드가 없으며 연구책임자의 재량에 따라 전략이 수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자원 생산기반 기술분야 특허의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우수한 R&D성과를 유인할 수 있는 R&D수행과 관련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술수명주기에 대한 개념을 도입하여 R&D수행과 관련한 전략 수립이 기술개발단계별로 차별화 되어야 함을 동시에 보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