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ee surgery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36초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비교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son of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s with Hamstring Tendon Grafts)

  • 최성욱;오인석;김려섭;김명구;배주한;박해봉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08
  • 목적: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각각 60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슬건 군은 평균 42개월(범위$24{\sim}69$개월)이였으며 슬개건 군은 평균 51개월(범위 $24{\sim}84$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에 이학적 검사로 수술 전 후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활동도와 만족도, 기능적 상태는 전방 슬관절 통증 여부, Lysholm 점수, IKDC 활동도 등급,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전방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슬괵건과 슬개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군들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51예(85%)와 54예(90%)였으며, Pivot shift 검사에서는 각각 5예(8%)와 3예(5%)에서 양성으로 양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시 KT-2000 검사에서 건측과 비교한 최대 도수 전방 전위차는 3 mm미만이 각각 51예(85%), 54예(90%)였다. Lysholm 점수는 슬괵건군은 평균 51.0점에서 평균 79.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2점에서 평균 82.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IKDC 활동도 등급은 술후 각각 52예(87%)와 50예(83%)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Tegner 활동도 검사도 슬괵건 군에서 평균 4.8점에서 평균 7.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4.5점에서 평균 7.3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전방 슬관절 동통은 슬괵건군 4예(7%), 슬개건군 6예(10%)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 결과, 두 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군 간에 최종 추시시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의의 (이차관절경 검사의 평가) (Significance of tibial intra-tunnel fixation a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Second-look Arthroscopic Evalution))

  • 김영창;서승석;정경칠;곽희철;김윤준;김진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5-172
    • /
    • 2006
  •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건의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유용성을 이차 관절경 검사의 추시 관찰을 통하여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골측의 고정방법에 따라 나사못 실고정만을 시행한 군(제 1군)과 나사못 실고정과 간섭나사를 이용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을 함께 시행한 군(제 2군)으로 구분하였다. 이차 내시경 추시 관찰시의 평균 나이는 30세였으며 남자가 30례, 여자가 2례였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기간은 평균 21.3개월이었다. 결과는 마취하의 KT-1000 관절계와 IKDC 분석 및 경골측 골 터널의 크기와 Telos 스트레스 부하 검사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차 관절경 소견의 평가 또한 시행하였다. 결과: 평가한 IKDC분석 및 Telos스트레스 부하 방사선 검사상의 전이 정도와 KT-1000 관절계상의 전이정도는 제2군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관절 내시경상의 이식건의 긴장도, 이식건의 육안 소견, 이식건의 활액막 증식 정도도 제2군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 경골측의 골터널의 확장은 제1군에서 2.3 mm 및 제2군에서 1.7 mm로 측정되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42). 결론: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십자 인대 재건술에서 경골측 골 터널내 고정의 부가하는 시술은 경골측 골터널의 확대를 의미 있게 감소 시켰으나 수술 후의 임상적 결과, 관절의 동요 정도, 관절경적 소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경골측 고정을 위해 나사못 실고정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만족스러운 임상적 결과, 관절의 안정도, 이식건의 성숙을 얻을 수 있었고 경골측 골터널의 확대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비교 (The Prospective Comparing Study of Autologous Hamstring Tendon grafts with Autologous Bone-Patella Tendon-Bone Graft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안길영;남일현;문기혁;이영현;김기철;김정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11
  • 목적: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전향적으로 시술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한 명의 시술자에 의해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각각 순차적으로 교대로 사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양 군 모두 평균 38개월(범위 25~58개월) 이었다. 술전과 최종 추시 시에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 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기능은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전방 안정성은 Telometer를 사용하여 전방 전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자가 슬괵건을 사용한 군(1군)과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군(2군)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24명씩이었으며, Pivot shift 검사 또한 1군에서 22명 그리고 2군에서 21명이 음성으로 나타남으로서 두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0.18). 최종 추시 시 시행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검사에서 Lysholm 점수는 1군이 94.6점 이었고, 2군이 92.3점이었으며, Tegner 활동도 점수도 각각 8.5점과 8.1점으로 나타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3). 20도 굴곡위에서 Tel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방 전위 정도는 5 mm 미만이 1군에서 24명, 2군에서 23명이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골건골을 사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Lysholm 점수와 Tegner 활동도 검사상 1군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부착형태 유형의 분석 (Biceps Femoris Tendon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Analysis of Insertion Pattern Using MRI)

  • 신윤경;류경남;박지선;이정은;진욱;박소영;윤소희;이경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3호
    • /
    • pp.225-231
    • /
    • 2014
  • 목적: 슬관절에서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는 병합건을 형성하여 비골에 붙는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나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는 여러 형태로 비골두에 붙는다. 우리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의 부착 형태를 분류하였고 외측 측부인대가 비골두에 붙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7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에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470명의 환자의 총 494개의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224명의 남자, 246명의 여자가 포함되었으며 나이는 10세에서 88세(평균, 48.6세) 범위였다. 배제기준은 이전의 수술을 받거나 영상질이 나쁜 경우였다. 3T 지방억제 수소밀도 강조영상을 이용하여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의 비골부착 형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유형 I (외측 측부인대가 대퇴이두건 장골의 전방팔과 직접팔 사이로 지나간다), 유형 II (외측 측부인대가 대퇴이두건 장골의 전방팔과 합쳐진다), 유형 III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가 병합건을 형성한다), 유형 IV (외측 측부인대가 대퇴이두건의 전방으로 돌아 외측으로 지나간다), 유형 V (외측측부인대가 대퇴이두건 장골의 직접팔의 후방으로 지나간다). 결과: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의 494 증례 가운데, 유형 I이 433 (87.65%)예, 유형 II가 21 (4.25%)예, 유형 III이 2 (0.4%)예, 유형 IV가 16 (3.23%)예, 유형 V가 22 (4.45%)예 였다.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가 비골두에 붙지않는 경우는 26 (5.26%)예 였다. 결론: 대퇴이두건과 외측 측부인대의 비골두 부착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다양한 형태를보인다. 외측 측부인대는 어떤 환자에서는 비골두에 부착하지 않는다.

뇌성마비 환자에서 수술중 근전도 감시를 이용한 선택적 후근 절제술의 효과에 관한 연구 (Selective Dorsal Rhizotomy for Spastic Paraplegia in Cerebral Palsy Using Intraoperative Electromyography Monitoring)

  • 김종민;왕규창;방문석;정진엽;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1호
    • /
    • pp.19-25
    • /
    • 1999
  • Background & Objectives : In cerebral palsy, spastic paraplegia is one of the most crippling motor manifestations. Reducing the spasticity may improve gait and decrease the incidence of lower-extremity deformities. The spasticity may result from abnormally increased afferent signals via dorsal roots onto interneurons and anterior horn and spreading of reflex activation to other muscle groups. To assess the influence of dorsal rhizotomy to spasticity, the authors analyzed five cerebral palsy patients with spastic paraplegia. Methods : The operation entailed and L1-2 laminectomy, ultrasonographic localization of conus medullaris and identification of lumbosacral dorsal roots. The innervation patterns of each dorsal root were examined by electromyography (EMG)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Tetanic stimulation was applied to individual rootlets of each root after reflex threshold was determined. the reflex responses were graded and rootlets producing high grade response were selected and cut. Short-term postoperative evalu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 Intraoperative EMG monitoring was satisfactorily performed in all five cases.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s, all patients showed greatly reduced spasticity which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al gait analysis. Bilateral knee and ankle jerks were normalized and tip-toe gait with scissoring disappeared in all patients. Conclusion : Intraoperative EMG monitoring seems useful for the selective dorsal rhizotomy to reduce spasticity.

  • PDF

회내족 대상자의 스쿼트 동안 능동적 족궁 지지가 하지근육의 근전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e Foot Arch Support on Lower Extremity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Squat Exercise in Persons with Pronated Foot)

  • 남기석;박지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5호
    • /
    • pp.57-6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ctive foot arch support on the muscles of lower extremity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squat exercise in persons with pronated foot.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6 persons with pronated foot. They have no history of surgery in lower extremity and trunk and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or pain when performing squat exercise. Each subject was measured the navicular drop (ND) to determine the pronated foot. And then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ree repetitions of a $90^{\circ}$ knee flexion squat in both conditions which are 1) preferred squat and 2) squat with active foot arch support. Results: Paired t-test revealed that squat with active foot arch support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EMG activities in abductor hallucis (p=0.00), proneus longus (p=0.03) and gluteus medius (p=0.04) than preferred squat. But the EMG activities of tibialis anterior,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were no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oth squat condi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tive foot arch support during squat increase th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y muscles which are the abductor hallucis, proneus longus and gluteus medius. Also, the abductor hallucis which is one of the planter intrinsic muscle and peroneus longus play a role in support of the foot arch and active foot arch support induced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gluteus medius. Therefore active foot arch support can change the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as well as passive foot support such as foot orthotics and taping.

Anatomical Variants of "Short Head of Biceps Femoris Muscle" Associated with Common Peroneal Neuropathy in Korean Populations : An MRI Based Study

  • Yang, Jinseo;Cho, Yongjun;Cho, Jaeho;Choi, Hyukjai;Jeon, Jinpyeong;Kang, Sukh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4호
    • /
    • pp.509-515
    • /
    • 2018
  • Objective : In Asians, kneeling and squatting are the postures that are most often induce common peroneal neuropathy. However, we could not identify a compatible compression site of the common peroneal nerve (CPN) during hyper-flexion of knees. To evaluate the course of the CPN at the popliteal area related with compressive neuropathy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of healthy Koreans. Methods : 1.5-Tesla knee MRI scans were obtained from enrolled patients and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normal popula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natomical course of the CPN. Type I included subjects with the CPN situated superficial to the lateral gastocnemius muscle (LGCM). Type II included subjects with the CPN between the short head of biceps femoris muscle (SHBFM) and the LGCM. We calculated the thickness of the SHBFM and posterior elongation of this muscle, and the LGCM at the level of femoral condyles. In type II, the length of popliteal tunnel where the CPN passes was measured. Results : The 93 normal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PN passed through the "popliteal tunnel" formed between the SHBFM and the LGCM in 36 subjects (38.7% type II). The thicknesses of SHBFM and posterior portions of this musc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ype II subjects. The LGCM thickness was comparable in both groups. In 78.8% of the "popliteal tunnel", a length of 21 mm to <40 mm was measured. Conclusion : In Korean population, the course of the CPN through the "popliteal tunnel" was about 40%, which is higher than the Western results. This anatomical characteristic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CPNe by posture.

전슬관절치환술을 위한 3차원 영역기반 영상정합 기술 (Region-Based 3D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for TKR)

  • 기재홍;서덕찬;박흥석;윤인찬;이문규;유선국;최귀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92-401
    • /
    • 2006
  • Image Guided Surgery (IGS) system which has variously tried in medical engineering fields is able to give a surgeon objective information of operation process like decision making and surgical planning. This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3D images which are acquired from image modalities like CT and MRI for pre-operation. The technique of image registration is necessary to construct IGS system. Image registration means that 3D model and the object operated by a surgeon are matched on the common frame. Major techniques of registration in IGS system have been used by recognizing fiducial markers placed on the object. However, this method has been criticized due to additional trauma, its invasive protocol inserting fiducial markers in patient's bone and generating noise data when 2D slice images are acquired by image modality because many markers are made of metal.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shape-based registra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limitation of fiducial marker based IGS system. Iterative Closest Points (ICP) algorithm was used to match corresponding points and quaternion based rotation and translation transformation using closed form solution applied to find the optimized cost function of transformation. we assumed that this algorithm were used in Total Knee replacement (TKR) operation. Accordingly, we have developed region-based 3D registration technique based on anatomical landmarks and this registration algorithm was evaluated in a femur model. It was found that region-based algorithm can improve the accuracy in 3D registration.

자가연골 세포이식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 정화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9-166
    • /
    • 2008
  • 연골 세포는 무혈관성, 신경과 림프계가 없는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연골 손상에 대한 치료가 어렵다. 연골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간단한 변연 절제술로부터 천공술, 미세 골절술, 연골 이식술, 자가 연골 이식술 등 다양한 방법이있으며 이들 중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은 장기적 예후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기대되는 수술로 신체적 활동 요구도가 높은 15 ~ 55 세의 환자에게 좋은 적응이 된다.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은 1984년 Peterson 등의 동물 실험 결과를 토대로 발전하여 1994년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의 적응증, 수술 술기 등을 잘 숙지하여야 하며, 수술 후 연골 세포의 재생 과정에 따른 술 후의 관리 및 환자 교육이 필요하다.

  • PDF

슬관절 후외방 불안정성의 치료 (Treatment of Posteolar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Knee)

  • 김진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4
    • /
    • 2011
  • 슬관절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흔치 않으나 심한 불안정성과 관절 연골의 손상을 초래하여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 및 진단과 치료 방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은 주로 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후외방 불안정성을 치료하지 않고 그냥 두었을 경우에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실패에 이르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후외방부 구조의 손상의 진단은 신체 검진, 방사선 소견,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 소견을 종합하여 이루어 진다. 후외방부 구조 손상의 치료 방법은 손상 시기 및 손상 정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최근의 해부학적 재건술은 다양한 결과를 보이던 이전의 비해부학적인 재건술에 비하여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에서 좋은 임상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 추시를 시행한 임상 연구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저자는 후외방부 구조와 관련되어 최근까지 발표된 문헌들을 정리하고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