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omparison of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s with Hamstring Tendon Grafts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비교

  • Choi, Sung-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 Oh, In-S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 Kim, Ryuh-Sup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 Kim, Myung-K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 Bae, Joo-H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 Park, Hae-B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 최성욱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오인석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려섭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명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배주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해봉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120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hamstring tendon(60 cases) and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BPTB)(60 cases). The mean followed up period of hamstring tendon group was 42 months(range $24{\sim}69$ months) and patellar tendon group was 52 months(range $24{\sim}84$ month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sixty patients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activity level, patients' satisfaction, functional status, and objective anteriror stability using KT-2000 arthrometer. Results: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 up we compared the two groups who had ACL reconstruction using either autologous hamstring tendon or BPTB, and the final results of the Lachman test showed negative, or mildly positive in 85%(51 cases) of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90%(54 cases) of the BPTB group. Pivot shift test indicated positive in both groups, 8%(5 cases) and 5%(3 cases) respectively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valuation of the anterior laxity using the KT-2000 arthromete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mstring and BPTB groups: differences less than 3 mm compared to the healthy side were 85%(51 cases) and 90%(54 cases)(p>0.05).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51 to a postoperative score of 79.1 in the hamstring groups and from 52 to 82.2 in the BPTB groups. According to the IKDC rating system, 87%(52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in the hamstring group. In the BPTB group, 83%(50 cases) were normal or near normal. The Tegner score for the hamstring groups was 4.8 preoperatively and 7.1 at the final follow up, and the Tegner score for the BPTB groups was 4.5 preoperatively and 7.3 after the last follow-up. The anterior knee pain was found in 7%(4 cases) in the hamstring tendon group and 10%(6 cases) in the patellar tendon group. Conclusion: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both the autologous hamstring tendon and the patellar tendon during their mid term follow up period demonstrated excellent results. However, the final results during their last follow 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목적: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자가 슬괵건과 자가 슬개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각각 60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슬건 군은 평균 42개월(범위$24{\sim}69$개월)이였으며 슬개건 군은 평균 51개월(범위 $24{\sim}84$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에 이학적 검사로 수술 전 후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Lachman 검사 및 pivot shift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활동도와 만족도, 기능적 상태는 전방 슬관절 통증 여부, Lysholm 점수, IKDC 활동도 등급, Tegner 활동도 점수를 조사하였으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전방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슬괵건과 슬개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군들 간의 비교에서, Lachman 검사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이 각각 51예(85%)와 54예(90%)였으며, Pivot shift 검사에서는 각각 5예(8%)와 3예(5%)에서 양성으로 양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시 KT-2000 검사에서 건측과 비교한 최대 도수 전방 전위차는 3 mm미만이 각각 51예(85%), 54예(90%)였다. Lysholm 점수는 슬괵건군은 평균 51.0점에서 평균 79.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2점에서 평균 82.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IKDC 활동도 등급은 술후 각각 52예(87%)와 50예(83%)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Tegner 활동도 검사도 슬괵건 군에서 평균 4.8점에서 평균 7.1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4.5점에서 평균 7.3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전방 슬관절 동통은 슬괵건군 4예(7%), 슬개건군 6예(10%)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또는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 결과, 두 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군 간에 최종 추시시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eywords